Theater |
Young Rang, Kim |
Seoul Arts Center |
Manager for Performing Arts |
Opera, Theatre, Dance, Ballet |
Korea |
1. 극장소개 |
극장명 |
두산아트센터 |
극장규모 |
연강홀-620석, Space111-200석, 두산갤러리 |
연간 공연 작품수 |
국내작품 |
10 |
해외작품 |
3 |
프로그램 기본방향 |
연극, 음악, 무용, 다원예술, 뮤지컬 등 다양한 공연예술 장르의 젊은 예술가와 함께 새로운 작품을 발굴, 개발하고 유통하는 '아트 인큐베이팅'
|
대표작품 |
연극<가모메>, <목란언니>, <잠 못 드는 밤은 없다>/ 무용 <조상님께 바치는 댄스>/ 뮤지컬 <모비딕> |
홈페이지 |
http://www.doosanartcenter.com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김요안 |
 |
직위 |
수석 프로듀서 |
전문분야 |
신작 개발/제작, 국제 공동제작, 신진예술가 지원 |
프로그래밍 주요이력 |
- · 2004년~2006년 공연기획사 악어컴퍼니 기획팀 재직. 연극과 뮤지컬 기획/마케팅 담당
- · 2006년 동숭아트센터 씨어터컴퍼니 재직. 연극과 뮤지컬 제작 프로듀서 담당
- · 2007년~현재 두산아트센터 재직. 두산아트센터 프로듀서로 개관 프로그램, 창작자육성프로그램, 기획연극 시리즈(경계인, 과학연극, 인인인 시리즈) 및 두산인문극장, 국제 공동제작 프로그램 기획 및 제작
|
|
국제교류관련 주요이력 |
· 2015년: 라비 무르에 <구름을 타고> 초청, 극단 세이넨단 <모험왕><신모험왕> 공동기획, 극단 첼피쉬 <야구에 축복을> 신작 워크샵, 트레버스 씨어터 신작 워크샵
· 2013년: 극단 첼피쉬 공동제작 <현위치>, 영진리 씨어터 컴퍼니 초청 <우리는 죽게 될거야>
· 2012년: 극단 세이넨단 공동기획 <혁명일기>
· 2011년: 극단 신주쿠 양산박 공동기획 <도라지>,
안은미컴퍼니 공동제작 <조상님께 바치는 댄스> 팜스초이스 선정
|
기타이력사항 |
주요 수상실적:
- 2014년: <죽음과 소녀> 동아연극상 신인연출상, <추물/살인> 동아연극상 새개념연극상, 신인연기상 등
- 2013년: <가모메> 동아연극상 작품상, 연출상, 시청각상, <나는 나의 아내다> 한국연극 베스트 3 등
- 2012년: <목란언니> 대한민국연극대상 작품상, 한국연극 베스트 7, 한국연극 베스트 3,
<모비딕> 예그린어워드 혁신상
- 2010년: <잠 못 드는 밤은 없다> 대한민국연극대상 작품상, 한국연극 베스트 7, 평론가협회 베스트 3 / 대한민국연극대상 특별상 등
|
이메일 |
ragtime1@doosan.com |
|
|
KIM Yoahen |
Doosan Art Center |
Executive Producer |
Producing new contemporary-works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Supporting young artists |
Korea |
1. 극장소개 |
극장명 |
국립중앙극장 |
극장규모 |
해오름극장(프로시니엄/1,500석), 달오름극장(프로시니엄/500석),
별오름극장(블랙박스/100석), KB 청소년하늘극장(원형극장/600석)
|
연간 공연 작품수 |
국내작품 |
55~60편 ※ 대관 제외
|
해외작품 |
5~10편 |
프로그램 기본방향 |
"국립중앙극장은 전속단체를 두고 자체적으로 공연을 직접 기획·제작해 선보이는 제작극장(Producing theater)으로 지
난 60여 년간 수많은 공연을 무대에 올렸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유일한 국립극장으로 좋은 공연을 국민들에게 보여주어야 하는 사명감을 가지고 있으며, 2012년 9월부터 시작된 ‘국립극장 레퍼토리시즌’을 통해 예술성뿐만 아니라 재미까지 겸비한 기획공연들로 관객과 언론, 공연계 관계자들로부터 많은 호평을 받고 있다.
국립창극단, 국립무용단, 국립국악관현악단을 전속단체로 두고 있으며, 국립극장의 시즌은 3개 전속단체의 신작과 인기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위해 국립극단, 국립발레단, 국립현대무용단의 대표작들도 함께 선보이며, 국립극장 제작공연, 영국 National Theatre Live 상영 등 해외우수공연, 외부단체와의 공동주관 등을 9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기획․편성한다. "
|
대표작품 |
국립창극단 <서편제><메디아><변강쇠 점 찍고 옹녀><내 이름은 오동구><배비장전><숙영낭자전> 등
국립무용단 <묵향><단><회오리><토너먼트><춤, 춘향> 등
국립국악관현악단 <파트 오브 네이처><시나위 프로젝트><땅속 두더지, 두디><리컴포즈> 등
국립극장 제작공연 <단테의 신곡><마당놀이 심청이 온다> 등
|
홈페이지 |
http://www.ntok.go.kr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이양희 |
 |
직위 |
공연기획 팀장 |
전문분야 |
국립극장 공연기획팀 업무총괄(레퍼토리시즌 기획운영, 전속단체 및 극장기획 공연 기획·제작, 국제교류, 마케팅 등) |
프로그래밍 주요이력 |
- 명동예술극장 공연기획팀장 (2009-2013)
- 학전 기획실장 등 (1996-2006)
|
국제교류관련 주요이력 |
해외예술가, 해외공연단체·극장과의 협업작품 기획, 제작 해외공연작품 초청 공연
|
이메일 |
yhlee0587@korea.kr |
성명 |
신민경 |
 |
직위 |
프로듀서 |
전문분야 |
국립극장 국제교류 및 해외공연초청 |
프로그래밍 & 국제교류관련이력 |
- 프로듀서, 트래블링 홈타운 (서울, 타이베이, 홍콩, 마카오 공동제작) (2010-2012)
- 해외팀장, 의정부음악극축제 (2008-2009)
- 국제교류부, 예술경영지원센터 (2006-2008)
- 국제교류 및 홍보팀장, 서울프린지네트워크 (2003-2006)
|
이메일 |
minattheatre@gmail.com |
|
|
LEE, Yang-Hee / Min K. Shin |
National Theater of Korea |
General Manager of Performing Arts Planning Team / Producer |
Responsible for international program/collaboration/relations at National Theater of Korea |
Korea |
1. 극장소개 |
극장명 |
LG아트센터 |
극장규모 |
1개 공연장, 1100석 |
연간 공연 작품수 |
국내작품 |
3 |
해외작품 |
17 |
프로그램 기본방향 |
동시대를 살면서 우리 관객들이 꼭 보아야 할 세계 공연예술계의 위대한 거장들과 향후 공연예술계를 이끌어갈 미래의 거장들의 작품을 균형있게 소개한다.
한국의 창작자들의 작품 제작을 지원하며, 세계 무대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국내외 다양한 예술가들간의 경계 없는 교류와 협업을 통해 새로운 공연예술에 대한 경험을 관객들에게 제공한다.
|
대표작품 |
제작공연 : 이자람의 억척가, 서재형 & 최우정의 더 코러스 오이디푸스, 양정웅 연출 페르귄트
해외초청 공연 : 피나 바우쉬 부퍼탈 탄츠 테아터, 로베르 르빠주 <달의 저편> & <안데르센 프로젝트>,
레프도진의 말리극장, 피터 브룩의 <11 그리고 12>,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 등
|
홈페이지 |
http://www.lgart.com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이현정 |
 |
직위 |
기획팀장 |
전문분야 |
연극, 무용 기획 |
프로그래밍 주요이력 |
개관연도인 2000년부터는 LG아트센터 공연기획팀장으로서 혁신적이고 참신한 LG아트센터의 기획공연을 총괄하고 있다. 연간 20편 가량의 다양한 장르의 기획공연 중 특히 연극, 무용, 재즈/월드뮤직 공연의 프로그래밍을 직접 담당하고 있으며, 피나 바우쉬 부퍼탈 탄츠 테아터, 로메오 카스텔루치, 레프도진의 말리극장, 빔 반데키부스, 데레보, 아이슬란드의 기슬리 가다르손 등을 처음으로 한국에 소개하는 등 해외 우수한 공연의 소개와 발굴에 힘쓰고 있으며, 이자람의 억척가, 서재형 연출의 더 코러스 오이디푸스, 정영두 안무의 제 7의 인간, 양정웅 연출의 페르귄트 등을 제작하며 국내 공연의 창작과 해외 진출을 위해 일하고 있다.
|
|
국제교류관련 주요이력 |
피나 바우쉬 무용단의 한국 주제 작품(러프 컷, 2005년), 프랑스 안무가 피에르 리갈과의 협업작품(작전구역, 2012),
더 코러스 오이디푸스 싱가포르 아트 페스티벌 초청 공연(2014.8월) 프로듀서 등 |
이메일 |
tency@lgart.com |
|
|
Tency Hyung Jung Lee |
LG Arts Center |
Head of Programming and Marketing |
Theater & Dance |
Korea |
1. 극장소개 |
극장명 |
국립극단 |
극장규모 |
명동예술극장(558석) 백성희장민호극장(200~400석 가변형), 소극장판(200석 내외 가변석) |
연간 공연 작품수 |
국내작품 |
20편 내외 |
해외작품 |
2편 내외 |
프로그램 기본방향 |
2015년 4월부터 명동예술극장을 승계하여 국내 최대 규모의 연극제작전문극장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 국립극단의 원래 기조인 국내 기성 및 신예 극작가들의 창작극 및 한국고전 희곡의 재발견 시리즈 연간 5편 내외를 비롯하여 세계고전 및 현대고전 10편 내외, 해외신작 및 국제공동제작 2-3편 내외 제작
|
대표작품 |
<3월의 눈(배삼식 작 손진책 연출)> <리처드 2세(펠릭스 알렉사 연출)> <이영녀(김우진 작 박정희 연출)> <문제적 인간 연산 (이윤택 작 연출)> 외 다수
|
홈페이지 |
www.NTCK.or.kr www.MDtheater.or.kr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정명주 |
 |
직위 |
홍보마케팅팀장 |
전문분야 |
축제경영, 국제공동제작(연극), 해외협력 기반 신작 개발, 극작가 및 연출가 양성 프로그램 |
프로그래밍 주요이력 |
서울예술단 <바람의 나라 (1999)> 에이콤 인터네셔널 <보이체크(2015)> 뮤지컬 작품개발
제1회 의정부음악극축제 해외초청작 기획(2002)
명동예술극장 <줄리어스 시저> <길떠나는 가족> <한 때 사랑했던 여자에게 보내는 우주비행사의 마지막 메시지> <반신> 국립극단 <아버지와 아들> <빛의 제국>
|
|
국제교류관련 주요이력 |
체코 소재 국제연극스튜디오 Farm in the Cave의 프로듀서 및 투어 매니저(2008-2011). 국제공동제작 전문 프로듀서로 예술경영지원센터와 IETM이 공동 출판한 <국제공동제작 매뉴얼> 공동집필. 2014년 도쿄예술극장과 명동예술극장의 공동제작 <반신(노다 히데키 작 연출)> 기획 및 제작총괄, 2016년 예정인 <빛의 제국(국립극단과 오를레앙국립연극센터의 공동제작인 김영하 작, 발레리 므헤젠 각색 아르뛰르 노지시엘 연출)> 기획
|
기타이력사항 |
주요 수상실적:
1997년 세계연극제(Theater of Nations, Seoul/Gyeonggi)의 해외담당을 시작으로 1998년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제1회 베세토연극제, 제1회 의정부음악극축제 등의 축제창설시 기획 및 운영을 담당. 2013년부터 명동예술극장의 공연기획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립극단에서 작품개발, 국제교류 및 홍보마케팅 전반을 담당.
|
이메일 |
mjchung@ntck.or.kr |
|
|
M.J. Chung |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
Director, Internati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s |
International co-productions
New Writing development with internatinal partners
International training programme for theater directors |
Korea |
1. 극장소개 |
극장명 |
국립극악원/금요공감 |
프로그램 기본방향 |
국립국악원은 우리 전통 음악과 춤의 맥을 잇고 또 널리 알리기 위해 설립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악기관이다. 국립국악원은 신라시대의‘음성서’로 출발하여, 고려시대의‘대악서’, 조선시대의 ‘장악원’, 근대시대의 ‘이왕직아악부’로 이어 온 국립음악기관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1951년 개원하여 명실상부한 국가 최고의 음악기관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국악의 보존과 발전을 위한 창작과 학술 연구 활동, 국악의 보급과 진흥을 위한 교육, 공연 등 다채로운 사업을 국내뿐 아니라 세계를 무대로 추진하고 있다.
매주 금요일, 공연자와 관객 사이의 벽을 허물고 자유로운 소통이 어우러지는 공감과 교감의 무대를 선보이는 '금요공감' 프로그램은 한국 전통음악을 중심으로 한 여러 장르 예술가들의 협업 작품을 선사한다.
|
홈페이지 |
http://www.gugak.go.kr/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김서령 |
 |
직위 |
예술감독 |
전문분야 |
무용, 음악, 다원 |
프로그래밍 주요이력 |
2004. 2-2012. 12 문화예술기획 이오공감 대표
2010-2012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차세대공연예술인큐베이션 공통프로그램 운영
2013.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무용분야 책임심의위원
2013-2014. 예술경영지원센터 공연예술행사 평가위원
2013. 2.1-2014. 12.31 문화역서울284 예술기획팀 공연감독(크리에이티브 디렉터, PD)
2015. 3.-12.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금요공감 예술감독
2014-5 아르코 AYAF(Arko Young Art Frontier) 심사
|
이메일 |
eocreative@gmail.com |
|
|
Kim Seo-Ryoung |
The National Gugak Center |
Artistic Director |
Dance, Music, Multi displinary |
Korea |
1. Theater Overview |
Official Name |
The National Gugak Center
|
Program Features |
"National Gugak Center has been the primary institution to perform and perpetuate traditional music for more than one thousand years. The roots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can be traced back to the Royal Music Institute of the Silla Dynasty (BC 57~AD 935).
The National Gugak Center will continue to creatively inherit and cultivate traditional performing art forms filled with the philosophy of a pure Korean art tradition.
Poongryu-sarang-bang of National Gugak Center is a small theater with 130 seats, opened in 2013. The theater, where Korean traditional music can be enjoyed with its natural sound without any microphones or amplifiers, hosts special concerts by day.“Geumyogonggam” is held every Friday and is a collaborative series betwee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other various arts."
|
Website |
http://http://www.gugak.go.kr/ |
|
2. Specialist Information |
Name |
Kim Seo-Ryoung
|
 |
Job Title |
Artistic Director
|
Fields of Interest |
Dance, Music, Multi displinary
|
Experience in regards to Theater Programming |
In 1999, started her career as planner at Performing arts agency 210. since 2004 to present, as co-president of Eocreative, she plans, operates, and consults the dance, theater, festival, and art educational programs. Since 2013, as performance/multidisciplinary arts director at Culture Station Seoul 284, she discovers and experiments about new space and multidisciplinary art. As a result, she plans regular performances like , , and project . Since March 2015, as an artistic director of Poongryu-sarang-bang of National Gugak Center, she programs experimental original Gugak, Gugak collaborated with other genre every Friday to find diverse possibility of Gugak as contemporary art.
|
E-mail |
eocreative@gmail.com |
|
|
Jiang Shan |
National Ballet of China |
Director of Operation and Promotion |
Dance |
China |
1. 축제 소개 |
축제명 |
극장 Q (Q Theatre) |
2015 Edition |
오클랜드에서 개최되며 다양한 예술 공간 목적으로 연극, 춤, 음악, 코미디, 영화를 포함하여 전문적인 공연예술의 다양한 영역을 보여주는 프로그램들을 매해 관장한다. 축제는 89,000명 이상의 유료관객들이 매년 Q Theatre에서 500개 이상의 공연을 관람하는 대규모 축제이다.
|
2014 공연 작품수 |
70+ 프로덕션 / 530 이벤트 |
프로그램 소개 |
연극, 무용, 음악, 코메디, 시각예술, 아이디어 |
장르 |
공연예술분야 |
홈페이지 |
www.qtheatre.co.nz
|
|
2. 전문가 이력 |
|
|
Liao Yanru |
China National Symphony Orchestra |
Deputy Director/Programming Department |
Music |
China |
1. 축제 소개 |
축제명 |
화이트 버드 (White Bird) |
2015 Edition |
10월부터 5월 초까지 시즌 |
2014 공연 작품수 |
2014-2015기준 12 컴퍼니 31가지 퍼포먼스 |
프로그램 소개 |
전 세계 현대 무용 컴퍼니 중 최고 12가지 선별
|
장르 |
현대무용
|
홈페이지 |
www.whitebird.org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폴 킹(Paul King) |
 |
직위 |
공동창립 |
전문분야 |
무용 |
주요이력 |
18번째 시즌에 접어들고 있는 White Bird는 전 세계 최고의 현대무용을 오리건주 포틀랜드에 유치한다. White Bird는 매 시즌 12개의 무용단과 매 해 최소 25가지의 퍼포먼스를 소개한다. 이들은 모두에게 무용이 흥미롭고, 교육적이며,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헌신한다. 뛰어난 무용을 프로그래밍하는 것 이외에도 교육적인 공동체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하는데 매해 대략 5000명의 학생들이 참여한다. 또한 활발한 커미션 프로그램을 운영중, 지금까지 34개의 작품이 커미션되었다.
|
이메일 |
pking@whitebird.org |
|
|
Li Dong |
National Theatre of China |
Director of International Coopertation Center |
|
China |
1. 축제 소개 |
축제명 |
재팬 소사이어티(Japan Society Performing Arts) |
2015 Edition |
라이브음악과 오키나와 전통 무용,차란 포 란탄 콘서트+ 파티, Company Derashienra Spectator,만사쿠 노무라와 만사쿠 노 카이 교겐 컴페니와 함께하는 교겐의 밤,토시키 오카다 갓 블레스 베이스볼, Ripe Time/PlayCo Sleep, 플레이 리딩, 오토모 요시히데와 소리 탐험/FEN+파티 |
2014 공연 작품수 |
10 |
프로그램 소개 |
슌지 오노드라, 만사쿠 노무라, 토시키 오카다, 오토모 요시히데 |
장르 |
연극, 무용, 음악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요코 시오야(Yoko Shioya) |
 |
직위 |
예술감독 |
전문분야 |
연극, 음악, 무용, 다원 |
주요이력 |
1953년 공연예술프로그램의 시초부터 지금까지 Japan Society는 약 700명의 일본 공연예술을 미국 관객들에게 선보였다. 프로그램은 노, 교겐, 분라쿠, 가부키 등 전통예술부터 최신의 연극, 무용, 음악까지 다양하게 섭렵한다. 이 프로그램은 일본인이 아닌 아티스트의 새로운 작업도 지원하며, 네셔널 투어도 제작하고, 미국인과 일본인 아티스트들을 위한 기숙프로그램도 구성하며, 교육 프로그램도 발전시키고 배포한다.
|
이메일 |
Yshioya@japansociety.org |
|
|
Zheng Shangjing |
China International Culture & Arts Co. Ltd |
Production & Promotion Center Project Manager |
|
China |
1. 축제 소개 |
축제명 |
Barbican Centre, London |
프로그램 소개 |
런던에 위치한 바비칸센터는 예술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기 위해 존재한다. 우리는 뛰어난 아티스트들의 오늘과 내일에 투자함으로써 복함문화예술의 국제적 프로그램을 만들어 낸다. 세계적 수준의 예술 및 교육기관인 Barbican은 무용, 영화 음악, 연극, 비주얼아트를 포함한 모든 주요 장르의 예술을 독려한다. 매년 18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Barbican의 독창적인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전세계 수백여 명의 아티스트들을 만날 수 있다.
런던시의회 The Cith of London Corporation 는 Barbican centre의 소유주체이자 창립주체이다.
|
장르 |
무용, 음악, 연극, 시각예술 외 |
홈페이지 |
www.barbican.org.uk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크리스 샤프(Chris Sharp) |
 |
직위 |
Contemporary Music |
주요이력 |
Chris Sharp는 바비칸센터의 현대음악 프로그래머로, 4AD의 디렉터를 역임했고, 이전에는 Rough Trade, Beggars Banquet, XL Recordings 등 다수의 인디레이블에서 경력을 쌓았다. 2008년부터 바비칸에 재직해왔으며 현존하는 최고의 작곡가들, 뮤지션들과 함께 작업하고 있다. 또한 전세계 현대음악, 월드뮤직 뮤지션들을 Barbican의 무대에 세우고 있다.
|
|
|
Luo Yuchun |
The song and dance Ensembie of Liaoning China |
Head |
|
China |
1. 축제 소개 |
축제명 |
쿠리치바 페스티벌 (Festival de Curitiba) |
축제개요 |
24회, 2015.3.24~4.4 |
초청작품수 (2014년 기준) |
35(해외초청 5개), 프린지 400개 작품 |
장르별 |
공연전반 |
프로그램 소개 |
쿠리치바 페스티벌은 2014년 3월 26일에서 4월 13일까지 쿠리치바에 전역에 있는 66개 공연장을 통해 공식 초청공연 35개(해외 5작품, 브라질작품 31개), 비공식 초청공연 약 400개, 마술쇼 및 서커스 6개, 스탠딩 코미디 33개, 아동극6개, 거리공연 4개, 음식부스 27개 등을 운영했다. 연극을 중심으로 한 축제이다.
|
홈페이지 |
www.festivaldecuritiba.com.br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셀소 큐리(Celso Curi) |
 |
직위 |
큐레이터 |
전문분야 |
연극, 무용, 다원
|
프로그래밍 주요이력 |
쿠리치바 페스티벌 (2008~2015)
오스왈드문화원, 예술감독 (2013~2014)
OFF PRODUCOES CULTURAIS 공연예술잡지 편집장 (1991~2014)
|
|
|
|
Zhu Zhizhong |
Chinese Folk Literature and Art Society Music Committee |
President of Music Committee |
|
China |
1. 축제 소개 |
축제명 |
샌프란시스코 국제 아트 페스티벌(SFIAF) |
축제개요 |
12 |
초청작품수 (2014년 기준) |
70 앙상블의 141 퍼포먼스
|
장르별 |
서커스, 무용, 연극, 음악, 오페라 |
홈페이지 |
www.sfiaf.org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앤드류 우드 (Andrew Wood) |
 |
직위 |
총감독 |
전문분야 |
연극, 무용, 다원 |
주요이력 |
잉글랜드 출생의 Andrew Wood는 미국에서 공연예술분야에 25년 가까이 몸담았다. 그는 샌프란시스코 국제 예술 축제의 창립자이다. 2002년부터 현재까지 미서부 지역에서 국제적인 공연예술가들이 모이는 가장 크고 영향 있는 행사로 나아가고 있는 샌프란시스코 국제 예술 축제는 18일 동안 베이 지역과 16개 국가들에서 150가지 정도의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
이메일 |
andrew@sfiaf.org |
|
|
Zhang Mingxing |
Shanxi Huajin Dance Drama Ensemble |
Manager |
|
China |
1. 축제 소개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자야찬드란 팔라지 (Jayachandran Palazhy) |
 |
직위 |
예술감독 |
전문분야 |
무용 |
주요이력 |
Jayachandran Palazhy는 Attakkalari Centre for Movement Arts를 거쳐 현대 무브먼트아트를 확장시키는데 깊이 전념해있다. 현재 인도의 현대움직임예술이 국내외로 더 잘 나타나도록 만들기 위한 다양한 통합 프로그램과 활동을 시작했다. 주요활동으로는 무브먼트아트 & 믹스 미디어 과정, 재능학교(전문가 과정의 직업 트레이닝 프로그램), 교육과 원조활동, 국제적 평판의 Attakkalari Repertory Company, 스테이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트랜스 미디어 기술, 그리고 춤과 디지털아트 국제 축제 the Attakkalari India Biennial가 있다.
|
이메일 |
jayachandran.palazhy@gmail.com |
|
|
Wang Jing |
Leshan Culture and Arts Co., Ltd |
Vice General Manager |
|
China |
1. 축제 소개 |
축제명 |
포르모사 국제 연극제 International Theater Festival of Integration and Recognition Formosa |
축제개요 |
프로그래머, 크리에이터, 프로듀서들의 46가지 쇼 |
초청작품수 (2015년 기준) |
46 |
장르별 |
무용, 연극,음악, 복합장르 |
프로그램 소개 |
포르모사 주(州) 정부와 국립공연예술협회 포르모사 지부가 공동 주최하는 연극 중심의 국제 공연예술 페스티벌이다. 2005년부터 개최된 축제는 2015년에 11회를 맞이하였으며 11년동안 30개국으로부터 2,500명의 예술가, 350개의 단체가 참가하여 600개의 작품을 상연, 이를 찾은 관객은 300,000명에 이른다. 축제는 ‘공연관계자들 간의 교류와 소통을 위한 정보망 구축’과 ‘지역주민의 생산적이고 평등한 문화소비’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축제에서는 공연 뿐 아니라 세미나, 워크숍, 아티스트 토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다. 2015년에는 아르헨티나와 쿠바를 포함한 중남미에서 23명의 프로그래머가 참가하였다. 2015년에는 15개국으로 부터 46개의 작품이 초청되었으며 이는 북미, 중남미, 유럽과 한국을 포함하였다. 한국으로부터 초청된 두 개의 작품은 체험예술공간 꽃밭의 미디어 체험극 <종이창문>과 극단 로.기.나래의 인형극 <선녀와 나무꾼>이다.
|
홈페이지 |
www.formosateatral.com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다니엘 루포 (Daniel Luppo) |
 |
직위 |
감독 |
전문분야 |
연극 |
주요이력 |
티비 칼럼리스트, 라디오, 저널리스트, 쿠바 하바나의 우수 예술 교육기관인 국제적 플랫폼 “Traspasos Escenicos” 의 고문으로 활동한다. 아르헨티나의 Cultural Matters for the Executive Power of Formosa 고문, 연극 감독, 배우, 투자자, 에디터 그리고 문화 매니저. 연극 관련 다양한 전문 강연, 세미나, 워크샵, 컨퍼런스를 듣고 강의한다.
|
이메일 |
riodemisterio2004@yahoo.com.ar |
|
|
Gao Pei |
Beijing poly theatre management Co, LTD. |
Director of Performance Operation Center |
|
China |
1. 축제 소개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김응옥 (Kim Ngoc)
|
 |
직위 |
예술감독 |
전문분야 |
음악, 다원 |
주요이력 |
하노이 뉴 뮤직 페스티벌은 돔돔에 의한 중요한 프로덕션으로 국내외의 신인음악가와의 그리고 다른 예술장르와의 소통과 콜라보레이션을 촉진시켜 줄 수 있는 방아쇠가 되기를 희망한다.
돔돔은 2012년 첫 번째 통합 독립 센터로 베트남 실험 음악의 발전과 실험 그리고 다른 장르의 예술과 통합적 콜라보레이션을 위해 헌신한다. 돔돔 센터는 베트남 실험음악을 위해 설립된 첫 번째 creative platform으로서 베트남의 실험적이고 현대적인 세대를 맞이하고, 강한 토대를 만들어주기 위하여 젊은 작곡가나 음악가를 위한 음악 트레이닝을 제공한다.
|
이메일 |
kimngoc.tran@gmail.com |
|
|
Deborah McSmith |
Q Theatre |
Business Development Manager |
Performing arts venue |
New Zealand |
1. 축제 소개 |
축제명 |
국제 탄츠메세 무용 박람회 (Internationale Tanzmesse NRW) |
초청작품수 (2014년 기준) |
55 |
장르별 |
무용 |
프로그램 소개 |
마켓플레이스와 콩그레스로 이루어진 페스티벌 프로그램
|
홈페이지 |
www.tanzmesse.com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캐롤린다 딕키 (Carolelinda Dickey) |
 |
직위 |
프로그래밍팀 |
전문분야 |
무용 |
주요이력 |
국제 탄츠메세 무용페스티벌 시니어 프로그램 팀
아메리칸 댄스 어브로드 공동감독
피츠버그 무용 협회 감독
Bill T. Jones/Arnie Zane Dance Company 총감독
|
이메일 |
Carolelinda@tanzmesse.com |
|
|
Paul King |
White Bird |
Co-Founder |
Contemporary Dance |
U.S.A |
1. 축제 소개 |
축제명 |
플로란스 섬머 페스티벌 |
초청작품수 (2014년 기준) |
400가지가 넘는 이벤트 |
장르별 |
다원 |
홈페이지 |
www.ef2015.it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토마소 사치 (Tommaso Sacchi) |
 |
직위 |
문화부 사무국 국장 |
전문분야 |
다원 |
주요이력 |
토마소 사치는 2015 플로란스 섬머 페스티벌(ef2015.it)의 예술감독이다. 그는 56회 오쿠이 엔위저가 예술감독한 베니스 현대 예술 비엔날레에 공식적으로 초정되었다. 그는 코모호 아카데미아 미술관에서 강사직에 있으며, 피렌체 유러피안 디자인 기관 (IED)에서 전시 기획과 매니지먼트를 담당하고 있다. 크로스 국제 퍼포먼스 어워드의 큐레이터이다. 그는 투모로우 에디토리얼 프로젝트 (theTomorrow.net)의 공동 창립자이기도 하며, 14회 베니스 현대예술 비엔날레와 8회 베를린 현대예술 비엔날레의 공동 큐레이터이기도 했다. 밀라노의 문화, 패션, 디자인회의 자문 역할을 맡기도 했으며, 2011년과 2013년 사이에는 건축가이자 도시설계사인 스테파노 보에리의 자문위원회에서 예술공연 관련 리서치에 집중하기도 했다.
|
이메일 |
SACCHI.TOMMASO@gmail.com |
|
|
Yoko Shioya |
Japan Society Performing Arts |
Artistic Director |
Theater, Dance, and Music |
U.S.A |
1. 축제 소개 |
축제명 |
뉴질랜드 페스티벌 |
축제개요 |
2년에 한번씩 개최되는 페스티벌로, 지난 페스티벌은 2014년데 개최되었다. 다음 페스티벌은 2016년 2월 26일부터 3월 20일까지 열린다.
도시전반에 걸쳐 실내외 공간에서 300여개 이상의 이벤트가 열리는 뉴질랜드 최대의 예술축제로 수도 웰링턴에서 격년으로 개최한다.
|
초청작품수 (2014년 기준) |
36 프러덕션과 총 270개의 퍼포먼스 |
장르별 |
모든 장르 |
프로그램 소개 |
이 프로그램은 국제적인 현대 공연예술에 포커스한다.
|
홈페이지 |
www.festival.co.nz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셸러 마가자(Shelagh Magadza) |
 |
직위 |
예술감독 |
전문분야 |
연극, 음악, 무용, 다원 |
주요이력 |
예술감독, 뉴질랜드 페스티벌 2012 - 현재
예술감독, 퍼스 페스티벌, 호주 2008-2010
조감독, 퍼스 페스티벌, 호주 200-2007
2016년 축제와 오클랜드 축제에서 한국의 프리젠터를 맡을 예정이고 또한 매년 2015년 6월 8일~12일에 열리는 웰링턴 재즈 페스티벌을 주관하였다.
|
이메일 |
nzfestival@festival.co.nz |
|
|
Chris Sharp |
|
Music Programmer (Contemporary) |
|
United Kingdom |
1. 축제 소개 |
축제명 |
나우히어 페스티벌 (Nowhere Festival) |
축제개요 |
오클랜드에 위치한 음악기관 Audio Foundation 이 2년마다 개최하는 음향 예술가를 위한 순회투어이다. Audio Foundation은 라이브 공연, 전시,얼터네티브 뮤직 투어링 프로그램 등 3개의 메인 프로그램 운영한다.
|
장르별 |
혁신적 실험적 음악 |
프로그램 소개 |
연 2회 5일 밤 동안 하는 축제로 뉴질랜드와 국제적인 수준 높은 사운드 아티스트 들과 혁신적이고 실험적인 뮤지션들의 쇼케이스가 열린다. 라이브 음악 퍼포먼스 이벤트, 워크숍, 예술가들과의 대화, 전시, 등등
|
홈페이지 |
http://www.audiofoundation.org.nz/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크리스 커드비(Chris Cudby) |
 |
직위 |
아시아 투어 코디네이터 |
전문분야 |
음악 |
주요이력 |
Facilitated and programmed events, exhibitions, touring artists and festivals with the Audio Foundation from 2011.
|
이메일 |
chris@audiofoundation.org.nz |
|
|
Festival |
LEE Jong-Ho |
Seoul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SIDance Festival) |
Artistic Director |
Artistic Director of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
Korea |
1. Theater Overview |
Official Name |
Seoul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SIDance Festival) |
Number of Shows Presented (2014 Edition) |
58 Shows from 18 Countries
Domestic : 40 / International : 18 pieces including collaboration |
Program Features |
-Int’l Entry, Local Entry, International Collaboration, Site-specific Program, Academic Program, Other event
-Top-notch selection of reputable dance performances that accentuate the brilliance of physicality and cultural diversity, Continuous collaborative projects based on mutual trust and collaborative relations, Offering a variety of dance performance to a wide range of audiences to take a social responsibility, Inveting efforts to make an academic advancement of dance, etc.
|
Website |
www.sidance.org |
|
2. Specialist Information |
Name |
LEE Jong-Ho |
 |
Job Title |
Artistic Director |
Fields of Interest |
Artistic Director of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
Work Experience |
Host and Organize SIDance from 1998 to 2015, Organize of Korean Dance Express in Africa, The Korean contemporary dance week in Russia (2014), A show on tour for celebrating the 5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2013), Focus Korea at OFF-CINAR 2012, Korean Dance Express to Cuba and Equador (2012), Programming of Center Stage Korea Europe for Korean Dance Companies (2011), Dispatch Korean Dance Companies to MAS DANZA, Dance Theater Festival Zawirowania, World Culture Festival, Hong Kong, etc |
E-mail |
yesno@sidance.org |
|
|
|
Kwangryul Jang |
Seoul International Improvisation Dance Festival(Simpro)
International Comic Dance Festival(ComicDance)
Busan International Dance Festival(BIDF) |
Artistic Director and Coordinator |
Dance |
Korea |
1. Theater Overview |
Official Name |
Seoul International Improvisation Dance Festival(Simpro)
International Comic Dance Festival(ComicDance)
Busan International Dance Festival(BIDF) |
2015 Edition |
Seoul International Improvisation Dance Festival(Simpro): 2nd-3rd week April (15days)
International Comic Dance Festival(ComicDance): 1st week June (6days)
Busan International Dance Festival(BIDF): 2nd week June (6days) |
Number of Shows Presented (2015 Edition) |
Seoul International Improvisation Dance
Festival(Simpro):( 32 ) Shows from ( 8 ) Countries
International Comic Dance Festival(ComicDance):
( 24 ) Shows from ( 5 ) Countries
Busan International Dance Festival(BIDF):
( 50) Shows from ( 10) Countries |
Domestic |
Simpro: 18
ComicDance: 15
BIDF: 35 |
International |
Simpro: 14
ComicDance: 9
BIDF: 15 |
Program Features |
Seoul International Improvisation Dance Festival(Simpro): Meet the purest body gestures. Every spring, it gives infinite creativity to dancers and imagination to audience. Each time there are about 30 official performances by guests artists from all oever the world, and 20 workshops for the professionals and the public-especially children. The festival open in Seoul for one week them move to Busan, Daegu and Fukuoka in Japan. The festival start 14 years ago.
International Comic Dance Festival(ComicDance): Organized by the iPAP, it will be the only comic-dance-themed festival in Asia inviting professional dance companies from all over the world to find the fun in the arts of dance and to humor the audience.
Busan International Dance Festival(BIDF): The see dance festival aiming at world best in ocean capital, Busan of Korea. It is a annual open dance festival invites 10-12 international companies every year. One and only largest beach stage in Korea. The festival start 10 years ago.
|
Website |
Simpro: www.ipap.co.kr
ComicDance: www.ipap.co.kr
BIDF: www.bidf.kr |
|
2. Specialist Information |
Name |
Kwangryul Jang |
 |
Job Title |
Artistic Director and Coordinator |
Fields of Interest |
Dance |
Work Experience
in regards to Festival Programming |
Korea-Finland Conncetion Project
Korea International Dance Event
Korean Dance Company & Ireland, Arhentina, Finland Dance company Collaboration Project
Inviting World dance company to Korea Tour:
-Stuttgart Ballet, Aalto Essen Ballet Theatre, West Australlian Ballet, Inval Pinto Dance Company, Dance Theater of Ireland etc. |
Additional Work Experience |
Chairman of Korean Dance Critic Association
Chief Editor of monthly performing arts megazine 'Auditorium'
Guest Professor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Operation committee member of the National Ballet Company
Operation committee member of the Korea Foundation
Consultant of Kore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b
Board member of Seoul Performing Arts Company
Board member policy evaluation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Board member international exchange of Arts Council Korea
|
E-mail |
ipap2210@gmail.com |
|
|
|
KIM Sookhee |
ASSITEJ Korea International Summer Festival |
President |
Theatre for children and young people, Theatre in education, Vocalization
In charge of planning invitation of overseas performances |
Korea |
1. Theater Overview |
Official Name |
ASSITEJ Korea International Summer Festival |
2015 Edition |
The 23rd ASSITEJ Korea International Summer Festival, 2015 (July 21 - August 2) |
Number of Shows Presented (2015 Edition) |
( 23 ) Shows from ( 9 ) Countries
|
Category |
Theatre 16, Dance 3, Musical 2, Multidisciplinary 2 |
Domestic |
12 |
International |
11 |
Program Features |
Since the summer of 1993, ASSITEJ Korea has been organizing one of the prestigious performing arts festivals for children and young people in Korea. Every summer, it highlights one particular country in order to encourage Korean children to experience and understand different countries through theatre arts. Three or four pieces of a selected country are invited to the festival and it includes a co-production work between Korean and foreign artists. Furthermore, it offers a variety of other activities such as symposium, roundtable, fringe stage, drama workshop for children and exhibition.
The 22nd ASSITEJ Korea International Summer Festival, 2014 received a rating of “A (Very good)” for Performing/Visual Arts in the Korea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
|
Website |
www.assitejkorea.org |
|
2. Specialist Information |
Name |
KIM Sookhee |
 |
Job Title |
President |
Fields of Interest |
Theatre for children and young people, Theatre in education, Vocalization
In charge of planning invitation of overseas performances
New Writing development with internatinal partners
International training programme for theater directors |
Work Experience in regards to Festival Programming |
Artistic and executive director of ASSITEJ Korea International Summer Festival
Executive director of ASSITEJ Korea Winter Festival, Seoul
Chairwoman of the festival for disabled children, "The Way to the Theatre" |
Work Experience in regards to International Collaboration |
2013. Conduct a workshop invited by the Colombo University in Sri Lanka
2014. Lead a co-production work between Korean and Danish companies / Host the Asian Meeting in Seoul / Programming showcase of Korean TYA(Theatre for Young Audiences) aimed at international presenters
2015. Lead a co-production work between a Korean artist and an Australian company
2015. Speaker on Asian Culture at the Asian Meeting in India invited by ASSITEJ India
Speaker on Korean TYA Landscape at the National Arts Council in Singapore |
Additional Work Experience |
Visiting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Theatre and Acting at the Far East University
Board Member of the Players' Welfare Foundation of Korea & Jongno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Former Visiting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Acting for Theatre, Film and TV at Sungkyunkwan University
Former President of Korea Association for Drama / Theatre and Education |
E-mail |
president@assitejkorea.org |
|
|
|
YOON Jong-yeoun |
Ansan Street Arts Festival |
Artistic Director |
Street Theatre, Multidisciplinary Arts, Festival |
Korea |
1. Theater Overview |
Official Name |
Ansan Street Arts Festival |
2016 Edition |
2016.May.5-8 (TBD) |
Number of Shows Presented (2014 Edition) |
( 61) Shows from ( 10) Countries
|
Category |
Theatre 22, Dance 10, Circus 14, Multi 15 |
Domestic |
34 |
International |
6 |
Program Features |
With various types of arts including street theatre, circus, installation, media performance and sound performance, established in 2005. The main purpose of the festival is to be the platform of presenting and producing the world’s representative street arts by sharing them with the public in Korea. Official Program, Fringe Program, City of Clown program and Ansan Street Arts Creator Productions are the very core of our festival. By inviting and cooperating wi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artists and professionals every year, the festival was able to invigorate the audiences and stimulate the artists to broaden the perspectives.
|
Website |
www.ansanfest.com |
|
2. Specialist Information |
Name |
YOON Jong-yeoun |
 |
Job Title |
Artistic Director |
Fields of Interest |
Street Theatre, Multidisciplinary Arts, Festival |
Experience in regards to Theater Programming |
2015-Now Korea Street Arts Centre - Representative
2014-Now Ansan Street Arts Festival - Artistic Director
2013-2014 Seonyudo Street Arts Market - Director
2012-2013 Chuncheon Mime Festival - Vice Director
2011-2011 Gangdong Cultural Festival - Director
2008-2013 Chuncheon Mime Festival - Oprening Program Director |
Experience in regards to International Collaboration |
2014 Korea-Australia Connection - Presenter (KAMS)
2011 Europe Street Theatre and Festival Research (KAMS)
2007 (Korea-Netherlands Co-production) 2007 Europe and Korea Tour (40shows)
2006-2012 PAMS Choice, AWALN' ART Festival (Moroco) LES INVITES(France), Gwacheon Festival(Korea) |
E-mail |
dalkwasul@gmail.com |
|
|
|
OH Sunmyung / LIM Sue |
SPAF (Seoul Performing Arts Festival) |
Producer (Dance) / Producer (Theater) |
Seoul Performing Arts Festival Planning and Programming (Dance / Theater)
contemporary dance and multi-disciplinary performing art |
Korea |
1. Theater Overview |
Official Name |
SPAF (Seoul Performing Arts Festival) |
Number of Shows Presented (2015 Edition) |
22
|
Domestic |
15 |
Program Features |
period : Oct 2 – Oct 31 2015 / for 30days
Venue : Arko Arts Theater, Daehankro Arts Theater, etc.
Programme : 7 countries, 21companies, 22performances
Berminer Ensemble 'Shakespeare’s Sonnets', Workcenter of Jerzy Grotowski 'Living Room'
Peeping Tom 'A Louer', Christian Rizz 'D’après une histoire vraie', etc.
Countries : Germany, Belgium, Spain, Slovenia, Italy, France, Korea
Satelite Events : The 9th Seoul Dance Collections & Connection
The 12th Young Critic’s Awards
Korea-Germany Connection, Indian Dance&Music Workshop
Workcenter of Jerzy Grotowski & Thomas Richards Acting Workshop
|
Website |
www.spaf.or.kr |
|
2. Specialist Information |
Name |
OH Sunmyung |
 |
Job Title |
Producer (Dance) |
Fields of Interest |
"Seoul Performing Arts Festival Planning and Programming (Dance)
contemporary dance and multi-disciplinary performing art"
|
Experience in regards to Theater Programming |
- Seoul Performing Arts Festival Planning and Programming (Dance)
|
Experience in regards to International Collaboration |
-Seoul International Choreography Festival Steering Committee
|
Additional Work Experience |
- Paris 8 University Doctoral (Ph.D) ‘Estheiques, Sciences et Technologies des Arts’
|
E-mail |
smoh@arko.or.kr |
|
Name |
LIM Sue
|
 |
Job Title |
Producer (Theater)
|
Fields of Interest |
"Seoul Performing Arts Festival Planning and Programming (Theater)
contemporary dance and multi-disciplinary performing art"
|
Experience in regards to Theater Programming
|
Lim Sue works as a theater producer for the Seoul Performing Arts Festival. Inn this capacity, she not only presents works of theater and the performing arts from both Korea and other countries but also is involved with networking and cooperative projects for foreign theater professionals and producers.
|
E-mail |
soolim@arko.or.kr |
|
|
|
Victor Kye |
Jarasum International Jazz Festival |
Assist. Director Jarasum International Jazz Festival / Gwangju Worldmusic Festival / Yeo Woo Rak Festival |
Jazz |
Korea |
1. 축제 소개 |
축제명 |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Jarasum International Jazz Festival) |
축제개요 |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은 매년 10월 초 3일간 열리며 연 20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재즈 페스티벌이다. 2015 자라섬국제페스티벌은 10월 9일~11일 일정으로 가평군의 자라섬과 가평읍내 일대의 10개 남짓한 무대에서 펼쳐진다. |
초청작품수(2015년 기준) |
26개국 최정상급 아티스트의 45개 무대 예정 |
장르별 |
재즈 |
프로그램 소개 |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은 매년 10월 초 3일간 열리며 연 20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재즈 페스티벌이다. 10개 남짓의 무대는 가평군의 자라섬과 가평읍내 일대에 펼쳐지며 세계 각국의 정상급 재즈 아티스트들과 수려한 자연환경으로 이름이 높다. 지난 11회동안 53개국, 777팀의 아티스트가 방문하는 등 국제적 교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선정하는 문화관광 우수축제에 3년 연속으로 선정된데 이어 2014년부터는 최우수축제로 선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자연을 생각하는 페스티벌로 환경부의 녹색생활 홍보대사로 지정되었다. 축제 기간에는 가평의 농산물을 이용한 재즈 막걸리/재즈 와인/뱅쇼 등을 제작/판매하는 등 지역과 함께 성장하고자 한다.
|
홈페이지 |
www.jarasumjazz.com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계명국 (Victor Kye ) |
 |
직위 |
조감독 |
전문분야 |
음악 |
프로그래밍 주요이력 |
"2001년부터 서울의 LG아트센터의 음악담당 프로그래머로 일했으며, 2007년부터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2009년부터 광주월드뮤직페스티벌의 조감독을 맞고 있다. 거울못재즈페스티벌, 자라섬 리듬&바비큐페스티벌 등 유수의 크고, 작은 페스티벌을 만들고 진행하였으며, WOMEX, JAZZAHEAD, SOUND AOTEAROA, Molde Jazz expo, Shanghi Arts Market, PAMS 등 많은 음악 마켓에 참가하였다. 또한, 한국의 재즈 월드뮤직을 해외에 소개하는 일에도 관심을 가지고 Mosaic Korea, Black String, Tori Ensemble 등의 밴드의 프로듀서를 맡고 있으며, 대학과 각종 아카데미에서 강의를 통해 후배 기획자들의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
이메일 |
victor@jarasumjazz.com |
|
|
Celso Curi |
Festival de Curitiba |
Curator |
Theater, Dance, Multidisciplinary |
Brazil |
1. 극장소개 |
극장명 |
중국 국립 발레단
|
프로그램 기본방향 |
- 중국 국립 발레단 (The National Ballet of China, NBC)는 1959년 12월에 창립되었다. 소속 발레댄서들과, 무용수들, 뮤지션들과 무대 예술가들이 국제적인 상을 수상하며, 각자의 필드에서 국제적인 스타들과 협업을 하고 있다. 약 200가지의 발레, 클래식 중국 작품으로 알려진 작품들의 레파토리를 갖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잘 알려졌다. 세계적으로 알려진 단체로서 중국 국립 발레단은 문화사절 그리고 중국 문화를 널리 알릴 수 있는 중요한 창으로서 힘쓴다. 또한 세계적인 공연은 중국 관객들이 집에서 감상 할 수 있도록, 또 예술 행위가 대학, 커뮤니티, 더 나아가 어린 아이들에게도 장려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
|
장르 |
|
홈페이지 |
http://en.ballet.org.cn/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지앙 샨(Jiang Shan) |
직위 |
경영홍보관리자 |
|
|
Andrew Wood |
San Francisco International Arts Festival (SFIAF) |
Executive Director |
All Genre |
U.S.A
|
1. 극장소개 |
극장명 |
중국 국립 심포니 오케스트라 |
프로그램 기본방향 |
중국 국립 심포니 오케스트라 (The China National Symphony Orchestra, CNSO)는 1996년 1956년 창단된 센트럴 필하모닉 소사이어티를 기초하여 창단되었다. 국립 오케스트라는 오케스트라, 코러스, 긴 역사동안, 국립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국내외의 관객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세계를 이끄는 많은 아티스트들과 협업을 해왔으며, 국립 오케스트라는 유럽,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북미 권역에 주요 국가들을 투어해왔다. 한국 미디어에서는 중국 국립 오케스트라단을 ”아시아 최고의 심포니 오케스트라, “13억 인구의 자랑”등으로 표현하며 극찬했다. 중국 국립 오케스트라는 세계 심포니 오케스트라 페스티벌 개막 행사 콘서트에 참여하였으며, 대구 콘서트홀에서 열린 2013 아시아 오케스트라 페스티벌에서 역시 개막 콘서트에 참여했다.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랴오 얜루(Liao Yanru) |
직위 |
부감독/프로그래밍부 |
|
|
Jayachandran Palazhy |
Attakkalari India Biennial |
Executive Director |
All Genre |
India
|
1. 극장소개 |
극장명 |
중국 국립 극장 |
프로그램 기본방향 |
정부 문화부에 연계되어있는 중국 국립 극장 (National Theatre of China)은 드라마에 관한 아트 크리에이디브와 위대한 전통 문화에 다양한 리소스들을 갖고 있는 공연예술단체이다. 중국 국립 극장은 고대와 현대 그리고 중국과 외국의 수준 높은 연극들의 프로듀싱과 스테이징을 모두 위탁한다. 또한 베이징에 있는 국립 극장은 전 세계에 영향력이 있는 사람을 캐스팅하고, 국내외의 선구적 작품들을 중국 관객들에게 제공하며 국제 극장들과의 교류와 협업을 조장한다.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리 동(Li Dong) |
직위 |
국제협력센터 디렉터 |
|
|
Daniel Luppo |
International Theater Festival of Integration and Recognition Formosa (Argentina) |
Director |
All Genre |
Argentina
|
1. 극장소개 |
극장명 |
중국 국제 문화예술 유한공사 |
프로그램 기본방향 |
중국 국제 문화예술 유한공사 (CICAC)는 1990년에 등록되었다. 국가규모로 규모가 큰 전문 에이전시로 문화적인 공연과 쇼에 집중한다. 중국 국제 문화예술 유한공사는 국내외 문화 에이전시와 장기간 협력을 조장하기 위해 노력한다. 설립된 이래로, 천 가지 정도의 공연과 쇼를 열었으며, 백 개에 가까운 국가와 지역을 방문했다. 현재는 몽세라 카바예,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피츠버그 심포니 오케스트라, 비엔나 필하모니 등 각각 다른 나라의 세계적인 예술가들과 예술 그룹을 포함한 500개 정도의 그룹을 중국으로 초청하여 반기고 있다.
|
홈페이지 |
http://www.cicac.com/en/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쩡 샹징 (Zheng Shangjing) |
직위 |
프러덕션&홍보센터 프로젝트 매니저 |
|
|
Kim Ngoc |
Hanoi New Music Festival |
Artistic Director |
Experimental Music |
Vietnam
|
1. 극장소개 |
극장명 |
랴오닝 가무단 |
프로그램 기본방향 |
중국 랴오닝의 가무단은 1956년 11월 1일 처음 창단되었다. 과거 1951년 창단된 북동쪽 민족의 공연, 음악, 무용예술 그룹으로 알려져 있었던 이 단체는 신중국 건국 초반 A급의 사대 중국 앙살블 중 하나로 빠르게 자리잡았다. 반세기 동안 랴오닝 가무단은 깊은 예술적 재능을 갖고 국내외로 높은 평판을 받는 많은 무용수, 가수, 악기연주자와 지휘자들을 양성해왔다. 70개가 넘는 지방 혹은 장관급 수상을 하고, 6번 국제적인 금상 수상, 31번 국내에서 금상 수상, 24번 우수상을 수상했다.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루오 위춘(Luo Yuchun) |
직위 |
대표 |
|
|
Carolelinda Dickey |
Internationale Tanzmesse NRW |
Programming Team |
Dance |
Germany
|
1. 극장소개 |
극장명 |
중국 민족 문학과 예술 사회 음악 협회 |
프로그램 기본방향 |
"중국 민족 문학과 예술 사회 음악 협회, 동방지성원생태예술단, 인허스친 내몽고 원생태예술단은 이 단체들이 설립 된 이후로 그들만의 의무라고 여기며 원주민의 음악문화와, 56개의 소수민족의 예술을 널리 알렸다. 국가의 민속 음악문화를 10년 넘게 텔레비전, 라디오, 무대 그리고 중국의 멀티미디어 채널을 통해 배포해왔다. 2009년부터는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캐나다,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등등 해외를 방문하였다.
"
|
|
2. 전문가 이력 |
|
|
Tommaso Sacchi |
Estate Fiorentina 2015 |
Head of the Cultural Department |
Multidisciplinary |
Italy
|
1. 극장소개 |
극장명 |
카보 베르데 아틀란틱 뮤직 엑스포(AME) |
축제개요 |
3회, 2015. 4.6-9 |
초청작품수(2015년 기준) |
28개 쇼케이스, 7개 학술행사, 4개 네트워킹 행사 외 |
장르별 |
음악, 월드뮤직 |
프로그램 소개 |
Atlantic Music Expo는 아프리카의 Cabo Verde와 대서양 음악마켓이다. 대서양횡단의 문화교류 플랫폼으로서의 Cabo Verdean의 정체성을 잃지 않는 혼합에 대한 비전 확산의 매개점을 만들고자 올해로 3회 째 열리고 있다. Atlantic Music Expo – 수도 Praia에서 개최되는 AME는 학술행사, 네트워킹 행사, 마켓과 쇼케이스는 전세계 음악 전문가들과 아티스트들에게 완벽한 환경을 제공한다.
|
홈페이지 |
http://www.atlanticmusicexpo.com/index.php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호세 다 실바 (Jose Da Silva) |
 |
직위 |
예술감독 |
전문분야 |
음악, 월드뮤직 매니지먼트 |
주요이력 |
음악레이블 'Lusafrica' 설립
Krioll Jazz Festival 예술감독
AME 예술감독
|
이메일 |
jose.dasilva@lusafrica.com |
|
|
Shelagh Magadza |
New Zealand Festival |
Artistic Director |
All Genre |
New Zealand
|
1. 극장소개 |
극장명 |
샨시화진무극단 |
프로그램 기본방향 |
샨시화진무극단은 문화 지구 설립을 수행하는 주요한 샨시의 직업 예술 학교로 2005년에 설립되었다. 샨시화진무극단은 큰 규모의 자국 무용드라마이자 국내외 평판이 높은 와일드 주주베(Wild Jujube), 오페라 워리어(Opera Warriors)을 제작하고 공연하였다. 또한 국내 10대 명작(Ten National Stage Masterpieces), 파이브-원 프로젝트 우수 드라마 어워드 (Outstanding Drama Award of “Five-One Project”)등 수많은 상을 수상하였다. 문화 사절에 따르면 샨시화진무극단은 문화교류를 위해 방문한 해외방문자들에게 중국을 대표한다. 샨시화진무극단은 칸영화제에서 공연한 첫 번째 중국 무용 단체이다. |
|
2. 전문가 이력 |
|
|
Chris Cudby |
Nowhere Festival |
Asian Touring Coordinator |
Innovative and experimental music performance, sound art |
New Zealand
|
1. 극장소개 |
극장명 |
베이징바오리극원관리유한공사 |
프로그램 기본방향 |
베이징바오리극원관리유한공사는 베이징에 기초하며 새로운 산업시스템과 수준 높은 매니지먼트 활동으로 전 세계 국가들을 맞이한다. 공사는 39개의 자회사, 세 개의 지사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 중앙과 남부지역, 남서지방, 장강삼각주, 진주강삼각주, 중원지역 등을 걸쳐 사업을 갖고 있으며, 공연 매니지먼트 집단산업화로 성장하고 있다. 마켓중심의 매니지먼트 개념과 매지니먼트 기준을 “높은 수준의 전문적인 레벨과 높은 기준, 높은 등급의 서비스 매니지먼트, 높은 사회적이미지”를 매니지먼트 목표로 두고 문화 산업의 탄탄한 플랫폼을 세우기 위하여 베이징, 상하이, 광동 지역의 전문적 트레이닝센터를 설립하고 베이징바오리극원관리유한공사의 브랜드 가치를 축적하며, 크고 작은 국내 도시의 문화마켓의 발전을 도모한다. |
|
2. 전문가 이력 |
|
|
Carolina Rosas Posada |
Circulart |
International Projects Coordinator |
Music |
Colombia
|
1. 극장소개 |
극장명 |
러샨 문화예술 유한공사 |
프로그램 기본방향 |
러샨(樂山)은 중국 남서부에 자리하고 있는 역사적 또 문화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관광지 중 하나이다. 러샨 문화예술 유한공사(낙산 노래와 춤 극단)는 1959년 창단되었다. 극단은 이 풍족한 땅에서 양성되며, 독창적인 쓰촨 민족 스타일을 발전시켰다. 그들의 끊임없는 수행을 통해, 중국 전통 민족 스타일과 동시에 활발히 발전하는 중국의 국제적 공연예술 마켓을 아우르는 일류 예술 단체로 거듭난다. 국제 문화 교류에도 매우 활발하게 임하고 있다. 최근 러샨 극단은 멜버린 아트 페스티벌과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아트 페스티벌과 함께 독특한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했다. 중국 문화부에서는 중국의 공연예술 작품을 세계에 진출시키는 러샨극단의 새로운 협업 패턴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
|
2. 전문가 이력 |
|
|
Zlata Holusova |
Colours of Ostrava |
Artistic director |
World Music |
Czech
|
1. 축제 소개 |
축제명 |
체코 컬러스오브 오스트라바 |
축제개요 |
14th edition, 2015.7.16-19 |
초청작품수 (2014년 기준) |
200회 공연, 17개 무대
|
장르별 |
음악, 월드뮤직 |
프로그램 소개 |
"
Colours of Ostrava는 체코에서 가장 큰 국제음악페스티벌로 2002년 시작되었다. 2014년에는 5개의 야외무대, 12개의 실내무대를 꾸며 200개의 콘서트와 연극, 영화, 워크샵, 토론 등을 진행하였으며 매일 4만4천여 명의 방문객을 기록하였다. 컬러스오브 오스트라바와 함께 개최되는 'Conference Music Crossroads – Music Crossroads'는 라운드테이블로 구성되는 체코국의 새로운 음악쇼케이스 페스티벌이다. 이는 록음악, 아방가르드, 재즈, 포크와 외국인 관객을 타겟으로 한 월드뮤직씬 등 고품질 크로스오버 지역음악의 소개를 목표로 한다. 또 경쟁력 있는 체코, 슬로바키아, 폴란드의 현대음악을 세계무대에 소개하기도 한다."
|
홈페이지 |
http://www.colours.cz/en/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즐라타 올루소바 (Zlata Holusova) |
 |
직위 |
예술감독 |
전문분야 |
음악 |
주요이력 |
즐라타 올루소바는 14년째 개최되고 있는 국제음악페스티벌인' Colours of Ostrava'의 창립자이자 감독이며 Colour Production, spol. s.r.o의 대표로 재직 중이다. 그녀는 연례행사인 Coulours of Ostrava의 Anděl(Angel) Music Awards를 두차례 수상했으며 또한 2010년에는 국가별 문화간 대화를 만드는 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Trebbia European Award를 수상하기도 했다. 즐라타는 Academy of Popular Music과 European Forum of Worldwide Music Festival의 멤버이기도 하며, Czech Radio의 음악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한다. 2014년에는 Crossroads의 첫 쇼케이스 컨퍼런스를 시작했다.
|
|
|
Kerry Clarke |
Walker Art Center |
Artistic Director |
Music |
Canada
|
1. 축제 소개 |
축제명 |
인도 조드푸르 페스티벌 (Jodhpurr) |
축제개요 |
10.23-27 |
초청작품수 (2014년 기준) |
4일간 32개 국내외 음악공연 |
장르별 |
음악 |
프로그램 소개 |
Jodhpur RIFF는 인도 Rajastahan과 전세계의 음악, 공연예술 유산을 기리는 민속음악, 월드뮤직 페스티벌이다. 페스티벌의 콘서트와 각종 행사는 Jodhpur 일대와 아시아의 주요 요새 중 하나인 Mehrangarh Fort에서 진행되며 북인도에서 일년 중 가장 빛나는 보름달이 뜰 때 열리는 Sharad Poornima과 동시에 개최된다.현재까지 1500명 이상의 Rajasthan 포크 아티스트가 RIFF를 통해 배출되었고, 호주, 네덜란드, 영국, 미국, Reunion Islands, 스페인, 스코트랜드, 세네갈, 헝가리, 프랑스, 콜롬비아, 터키, 스리랑카, 이스라엘 출신 200여명의 뮤지션이 Jodhpur RIFF를 통해 소개되었다.
|
홈페이지 |
http://www.jodhpurriff.org/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디비야 바티아 (Divya Bhatia) |
 |
직위 |
예술감독 |
전문분야 |
음악 |
주요이력 |
Jodhpur RIFF 예술감독
Aadyam Theatre 예술감독
ArThinkSouthAsia 교수
|
이메일 |
divyakumarbhatia@gmail.com |
|
|
Jose Da Silva |
Atlantic Music Expo |
Artistic Director |
World Music |
Cape Verde
|
1. 축제 소개 |
축제명 |
캐나다 캘거리포크페스티벌 (Calgary Folk Music Festival) |
축제개요 |
36th edition, 2015. 7.23-26 |
초청작품수 (2015년 기준) |
국내외 아티스트 70명, 107개 공연
|
장르별 |
음악 |
프로그램 소개 |
2016년(7월 21-24일)에 37회를 맞는 Clagary Folk Music Festival은 도심 속 숲으로 뒤덮인 Prince’s Island Park에서 매년 16여개국 70여명 이상의 아티스트가 참여하여 9개의 무대에서 100개 이상의 콘서트와 관련 행사로 이루어지며 매일 만3천명 이상의 관객이 찾는 축제다. 또한 페스티벌 고유의 공연장, Festival Hall 및 Calgary에 위치한 여러 공연장에서 40개 이상의 콘서트를 일년 내내 개최한다. 또한 5개 부문으로 나누어 Alberta 아티스트에게 시상하는 노래대회와 연례축제의 주간에 개최되는 부트캠프와 곡쓰기, 노래, 악기 연주를 주제로 하는 마스터클래스 등을 소개한다.
|
홈페이지 |
http://www.calgaryfolkfest.com/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케리 클라크 (Kerry Clark) |
 |
직위 |
예술감독 (Artistic Director) |
주요이력 |
Kerry Clarke는 20년간 Calgary Folk Music Festival에서 일했으며, 비영리 예술단체WRAD(the Canadian western festival mafia)의 멤버, Rwanda’s KigaliUp 페스티벌의 공동창립자, CJSW 라디오 프로그램인 ‘Alternative to What?’의 프리젠터
|
이메일 |
kerry@calgaryfolkfest.com |
|
|
Divya Bhatia |
Jodhpurr RIFF Festival |
Festival Director |
Music |
India
|
1. 축제 소개 |
축제명 |
WOMEX (월드뮤직엑스포) |
축제개요 |
21회, 2015.10.21-25 |
초청작품수 (2014년 기준) |
60개 쇼케이스, 뮤지션 및 단체 320, 7개의 베뉴 |
프로그램 소개 |
1994년 독일의 베를린에서 시작한 워멕스(WOMEX)는 세계 최고의 월드뮤직 박람회로 자리 잡은 행사로서, 세계 각국의 다양한 민속음악을 비롯하여 재즈, 포크, 전통음악 등을 집중적으로 소개한다. 박람회와 각종 쇼케이스, 컨퍼런스, 필름 마켓을 통해 페스티벌과 이벤트 기획자들은 물론, 음반사와 배급자, 아티스트와 매니지먼트사들에게 효율적이고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좋은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피라나아츠(Piranha Arts)는 워멕스의 주관사이다.
|
홈페이지 |
http://www.womex.com/ |
|
2. 전문가 이력 |
|
|
Alexander Walter |
World Music Expo (WOMEX) / Piranha Arts |
Director |
Music, World Music |
Germnay
|
1. 축제 소개 |
축제명 |
Circulart (서큘아트마켓) |
축제개요 |
6th edition,2015.7.1-4 |
초청작품수 (2015년 기준) |
2000 방문자, 90 프로그래머, 31 쇼케이스, 50명의 아티스트 |
장르별 |
음악 외 |
프로그램 소개 |
Circulart는 2010년 Redlat에 의해 관리 및 프로듀스, 개발되어 올해로 6회째를 맞은 아트마켓이다. Circulart는 남미음악산업의 유통과 전문가 플랫폼으로써 Medellin에 자리잡은 음악 행사로, (남미) 음악산업에 대한 교류의 장이자 토론과 반영의 장이다. 2015년에는 31개의 쇼케이스에 약 2000명의 방문객과 90여명의 프로그래머가 다녀갔으며, 약 1800번의 일대일 스피드 미팅을 진행했다. 또한 350명 이상의 아티스트가 무대에 섰다. 올해 쇼케이스에는 무료입장이 가능했으며, 4일간의 행사 기간 동안 총 15000명의 관객이 운집했다. 남미 음악생태계의 주요 미팅 포인트로 자리 잡은 이 행사는 아티스트, 사업가, 교육, 언론, 레이블, 다중기관 등 문화 산업의 주체들을 한자리에 모아 음악산업의 발전을 위한 대화의 장을 주도한다. Circulart는 쇼케이스, 컨퍼런스, 스피드미팅과 pitch, 카운슬링 세션을 진행한다.
|
홈페이지 |
www.circulart.orgwww.redlat.org |
|
2. 전문가 이력 |
성명 |
캐롤리나 로사스 포사다 (Carolina Rosas Posada) |
 |
직위 |
국제교류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
주요이력 |
콜롬비아 문화부와 Circulart의 주도로 해외에 콜롬비아 음악을 진출시키는 프로젝트 “Internationalize Colombian Cultural Industries”를 진행중이며, 콜롬비아 국내 문화 및 창작 산업의 발전과 강화를 위한 프로젝트인 Cultural Entrepreneurship Group of the Ministry of Culture의 전 고문으로도 활동했다.
|
이메일 |
carolinarojas@redlat.org |
|
|
Ramon Simo |
The GREC Festival de Barcelona |
Artistic director |
|
Spain |
1. Festival Overview |
Official Name |
The GREC Festival de Barcelona |
Program Features |
The GREC Festival de Barcelona is a major arts festival in Barcelona, encompassing programming theatre, dance, music, circus, performances and workshops. The festival takes up the whole of July, and presents mostly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
Website |
http://lameva.barcelona.cat/grec/
|
|
2. Specialist Information |
Name |
Ramon Simo
|
 |
Job Title |
Artistic director
|
Work Experience
|
Theatre Director and set designer. Graduate in Philosophy and Science of the Education by the University of Barcelona. Artistic director of Fira de Teatre al Carrer de Tarrega (International Street Theatre Meeting Point) during the 1996-1998. Manager of Speciality of scenic Direction and Drama of the Institute of the Theatre of Barcelona between 2006-2009.Since the 2012, he is the artistic director of the Grec Festival de Barcelona, the main international event of scenic arts in the city, programming theatre, dance, music, circus and performances.
|
E-mail |
rsimov@bcn.cat
|
|
|
|
Etc |
Kristopher McDowell |
KMP Artists |
CEO |
Music, dance, and multidisciplinary |
U.S.A |
1. 전문가 이력 |
성명 |
크리스토퍼 맥도웰 (Kristopher McDowell) |
 |
직위 |
KMP아티스트/최고경영자(CEO) |
전문분야 |
음악, 무용, 다원
|
주요이력 |
KMP는 2004년 창설된 라이브 공연예술을 위한 투어 매니지먼트 이자 제작사이다 KMP는 무용, 연극, 가족 그리고 음악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또한 KMP는 비주얼 아트 전시로 투어하거나, artists-with-residency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KMP는 전 세계의 exceptional 프로젝트들을 투어하며, 소통과 성숙한 이해를 장려하는 국제적 문화 교류를 행하고 있다. 특히 퍼시픽림 근방의 작품들에 초점을 두고 있다.
|
이메일 |
kristopher@kmpartists.com |
|
|
Pia Repo |
Van Baasbank & Vos |
Producer |
Music, dance, and multidisciplinary |
Netherlands |
1. 전문가 이력 |
성명 |
피아 르포 (Pia Repo) |
 |
직장/직위 |
Van Baasbank & Vos /프로듀서 |
전문분야 |
음악, 무용, 다원
|
프로그램 주요이력 |
피아는 2000년도 부터 핀란드와 네덜란드에서 현대무용 관련 회사와 프로젝트 매니저로 일해왔다. 2012년 부터는 van Baasbank & Vos. 에서 감독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Van Baasbank & Vos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기초해있는 공연예술 에이전시로 예술적으로 수준 높은 국제적 작품들에 집중하고 있다.
|
이메일 |
pia@baasank-vos.nl |
|
|
Phloeun, Prim |
Cambodian Living Arts (CLA) |
Executive Director |
Theater, Music, Dance, and Multidisciplinary |
Cambodia |
1. 전문가 이력 |
성명 |
플로운 프림 (Phloeun Prim) |
 |
직장/직위 |
캄보디아리빙아트/총감독 |
전문분야 |
연극, 음악, 무용, 다원
|
주요이력 |
예술문화사업가 플로운은 캄보디아 리빙 아트가 전통 예술의 재부활을 추구하는 기초 프로젝트에서 캄보디아의 새 문화를 선도하는 기관으로 변화하는데 있어 앞장 서 있다. 플로운은 캄보디아 리빙 아트를 지역사회에서 시작해 국제적으로 성장시켰으며, 그 역할을 전통의 전파에서부터 새로운 표현과 혁신을 고무시키는 것으로 진화시켰다. 플로운은 Aspen Institute부터 Salzburg Global Seminar까지 예술과 발전에 관한 국제적 회담에 꾸준히 초대받고 있다. 캄보디아 대량학살 중 태어난 플로운은 캄보디아에 돌아와 치유와 사회적 변화 그리고 경제적 발전을 위한 예술의 흐름에 몸담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
이메일 |
phloeun@cambodianlivingarts.org |
|
|
Makiko Yamaguchi |
Japand Foundation Asia Center |
Performing Arts Coordinator |
Theater |
Japan |
1. 전문가 이력 |
성명 |
마키코 야마구치(Makiko Yamaguchi) |
 |
직장/직위 |
일본 국제 교류 기금 아시아센터/ 공연예술 코디네이터 |
전문분야 |
연극
|
주요이력 |
1965 출생. 법을 공부한 후 짧게 은행업에 종사하다 국제 문화 분야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도쿄의 괴테 교육관과 쾰른의 일본문화교육원에서 일본 연극과 무용을 독어권 국가들과 교환하는데 책임을 갖고 있었다. 2011년 일본의 예술협회에서 문화와 예술의 국제적 네트워크를 빌드하기 위해 그녀를 임명한다. 그녀는 2015년 5월부터 일본 재단의 아시아 센터에서 일을 하며 TPAM(Performing Arts Meeting in Yokohama)를 통한 아시아권의 공연예술 콜라보레이션을 프로모션에 책임을 지고 있다. |
이메일 |
makikoymg@gmail.com |
|
|
Johannes Georg Theurer |
Rundfunk Berlin-Brandenbrug |
Editor, Presenter |
Music |
Germany |
1. 전문가 이력 |
성명 |
요하네스 조지 티우러 (Johannes Georg Theurer) |
 |
직위 |
Rundfunk Berlin-Brandenbrug/에디터 |
전문분야 |
음악
|
주요이력 |
Johannes Theurer(1956)은 공영방송서비스 Rundfunk Berlin-Brandenburg의 편집자이자 프리젠터이다. 1987년 World Music radio show를 시작한 그는, the monthly World Music Charts Europe의 시작(1991)을 함께 했으며 현재 World Music Workshop of the European Broadcasting Union(EBU)의 의장이다. 음악 카탈로그 DISMARC,org의 큐레이터이며 UNHCR과 협력하여 아프가니스탄 난민들로부터 음악을 제공받아 Weimar에 위치한 음악대학에 아카이빙하는 국제프로젝트 European Sounds의 RBB(Rundfunk Berlin-Brandenburg) 매니저이기도 하다.
|
이메일 |
johannes.theurer@rbb-online.de |
|
|
Michelle Mercer |
Freelancer Radio Producer |
Producer |
music, multi-disciplinary |
United States |
1. 전문가 이력 |
성명 |
미셸 머셔 (Michelle Mercer) |
 |
직위 |
Freelancer Radio Producer/프로듀서 |
전문분야 |
음악, 다원
|
주요이력 |
Michelle Mercer는 수상 경력이 있는 작가이며 라디오 프로듀서이다. 그녀가 National Public Radio에 기고하는 정기간행물은 뉴욕타임즈, 월스트릿저널, Village Voice 등 많은 매체를 통해 발행되며 12개국 이상의 국가에 리포트 되고 있다. Michelle은 Footprint: The Life and Work of Wayne Shorter(Penguin)과 Will You Take Me As I Am(Simon&Schuster)의 작가이며 그녀의 작업일지는 Where Music Matters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
이메일 |
michellemercer@mac.com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