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2024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24년 10월 3일(목) ~ 27일(일) 총 25일
  • 장소 국립극장 달오름, 서울문화재단 대학로극장 쿼드, 아르코·대학로 예술극장, 플랫폼엘, 아트코리아랩, LG아트센터
  • 주최/주관 (재)예술경영지원센터, 국립중앙극장, (재)서울문화재단
  • 작품 총 17작품
  • 관객집계 총 -명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우먼, 포인트 제로 Woman at Point Zero
LOD 뮤직시어터 LOD muziektheater
2
콜로서스 Colossus
스테파니 레이크 컴퍼니 Stephanie Lake Company
3
침묵 속에 기록된 Scored In Silence
미나미무라 치사토 Chisato Minamimura
4
바이 하트 By Heart
티아고 호드리게즈 Tiago Rodrigues
5
새비지 콜로나이저 The Savage Coloniser Show
FCC/투시아타 아비아 FCC/Tusiata Avia
6
망자를 위한 오페라 Opera For The Dead, OFTD
모니카 림 & 민디 멩 왕 Monica Lim & Mindy Meng Wang
7
이것은 대사관이 아니다 This is not an Embassy
리미니 프로토콜/슈테판 카에기 Rimini Protokoll/Stefan Kaegi
8
뮤지엄 THE MUSEUM
바샤르 무르쿠스 & 쿨르드 바젤 - 카사비 시어터 Khashabi Theatre
9
카메라 루시다 Camera Lucida
프로젝트 이인 x 캐나다내셔널엑세스아트센터 Project YYin x The National accessArts Centre
10
사람들 Crowd
지젤 비엔 Gisèle Vienne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걸리버스 Gulliverse
성북동비둘기 Seongbukdong Beedoolkee Theater
2
에즈라스 Ezras
주목댄스씨어터 JUMOK Dance Theater
3
커뮤니티 대소동 Unseen Turmoil
코끼리들이 웃는다 Elephants Laugh
4
새들의 날에 On the Bird’s Day
알오티씨 Robot Theater Company
5
피엔오 PNO
김재훈컴퍼니 KIMJAEHOON COMPANY
6
카메라 루시다 Camera Lucida
프로젝트 이인 x 캐나다내셔널엑세스아트센터 Project YYin x The National accessArts Centre
7
오류의 방 The False Room
입과손스튜디오 IPKOASON
8
내가 물에서 본 것 What I Sense in the Matter
국립현대무용단 KNCDC
2023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23.10.6.(금) - 10.29.(일) 총 24일
  • 장소 국립극장 해오름, 정동 세실극장,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여행자극장, 종로 삼일대로 일대
  • 주최/주관 (재)예술경영지원센터, 국립중앙극장, 국립정동극장
  • 작품 총 17작품
  • 관객집계 총 8,906명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익스트림 바디 Corps extrêmes
사요 국립무용극장 Chaillot-Théâtre national de la Danse
2
플레시 Flesh
프랑크 비그루 Franck Vigroux
3
파이브 아트센터 A Notional History
파이브 아트센터 Five Arts Centre
4
하마티아 3부작: 롤링 앤 롤링, 한국 연극의 역사, 쿠쿠 Lolling and Rolling, The History of Korean Western Theatre, Cuckoo
구자하/캄포 Jaha Koo/Campo
5
마치, 내가 나를… As if, I have missed myself
무오비 MUOVI
6
베케트의 방 Beckett's Room
데드센터 Dead Centre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지상의 여자들 Women on Earth
극단 돌파구 Theatre Company Dolpagu
2
싸움의 기술,<졸>_2.0 The Art of War, Zol_2.0
작당모의 Zaakdangmoee
3
이들은 그냥 존재한다 They just exist
최강 프로젝트 Choi x Kang Project
4
구조와 의식 Structure and Consciousness
강요찬 YOCHANKANG
5
웰컴투유어코리아 Welcome to Your Korea
안은미컴퍼니 Ahn Eun-Me Company
6
연극연습3. 극작 연습-물고기로 죽기 Theater Practice III. Playwright practice-To Die as a Fish
연극연습 프로젝트 Theater Practice Project
7
인.투 In.To Independent. Together
거인아트랩 GeoinArtLab
8
조동 Jodong
김성훈 댄스프로젝트 Kim Sung Hoon Dance Project
9
내일은지금이고오늘은어제이다 Tomorrowisnowtodayisyesterday
허 프로젝트 HER Project
10
이장 Grave Relocation
극단 골목길 Theatre Golmokil
11
에너지_보이지 않는 언어 Energy_Invisible Words
지연 X 전환 Delay X Transition
2022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22.10.6.(목) - 10.30.(일) 총 25일
  • 장소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대학로 극장 쿼드, 정동 세실극장, 라이트 하우스, 하땅세 극장
  • 주최/주관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재)서울문화재단
  • 작품 총 23작품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더블빌: Intensional Particle, indivisible substance
히로아키 우메다
2
뫼비우스
컴퍼니 XY
3
부재자들의 회의
리미니 프로토콜
4
제너레이션: 자화상의 결투
R.A.M.a트
5
빛 퍼포먼스: 심연의 숲
에릭 아르날 부르취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나무는 신발가게를 찾아가지 않는다
그린피그
2
콜타임
호랑이기운
3
play/games/under fragility
5Edges
4
잠자리 연대기
코끼리들이 웃는다
5
모든사람은아프다
유진규
6
꼭두각시
고물X고블린파티
7
칭창총 소나타 1번
프리즈마
8
피스트: 여덟 개의 순간
모든 컴퍼니
9
만 마디를 대신하는 말 한마디 2
하땅세
10
섬 이야기
크리에이티브 VaQi
11
포스트음악극 시
조은희
12
돼지춤
오!마이라이프 무브먼트 씨어터
13
움직이는 숲 씨어터게임 1.0
무제의 길
14
땡큐, 돈키호테
극단 바다와 문화를 사랑하는 사람들
2021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21.10.7.(목) - 11.7.(일) 총 32일
  • 장소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플램폼 라이브, 플램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JTN 아트홀 1관, 남산골한옥마을, 라이트 하우스
  • 주최/주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재)예술경영지원센터
  • 작품 총 22작품
  • 관객집계 총 4,720명 (객석 거리두기제 시행)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블랑
얀 마루시치
2
뱅 브리제
얀 마루시치
3
돌과 판지
한국-스위스 공동창작 프로젝트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이것은 실존과 생존과 이기에 대한 이야기
글과무대
2
전미숙무용단
Talk to Igor_결혼, 그에게말하다
3
기계장치의 음악
무지카 엑스 마키나
4
움직임이움직임을움직이는움직임
열혈예술청년단
5
맥베스
프로젝트그룹일다,강량원,정재일,지현준
6
오버더떼창: 문전본풀이
박인혜
7
무악
윤종연 개인전
8
기가막힌 흥
아트프로젝트보라
9
유령극단 “심각한 밤을 보내리”
권병준
10
호모 플라스티쿠스
프로젝트그룹 빠-다밥
11
물의 정거장
극단 무천
12
그런데 사과는 왜 까먹었습니까?
YJK 댄스프로젝트
13
놀이터
고블린파티
14
정조와 햄릿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15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
극단 돌파구
16
켜(couche)
모션아키텍트
17
디스토피아
이루다 블랙토
18
만 마디를 대신하는 말 한마디
극단 하땅세
19
덤 웨이터
프로젝트 그룹-이동
2020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영상촬영) 2020.10.8.(목) - 10.31.(일)
    (영상송출) 2020.11.12.(목) - 2020.11.29.(일) 총 18일
    - 프리 프로그램 11.12. - 11.13. | 온라인 상영 11.14. - 11.29.
  • 장소 (영상촬영)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영상송출) 네이버TV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주최/주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재)예술경영지원센터
  • 작품 3개국 19작품
    [장르] 연극 8편, 무용 10편, 음악극 1편
    [참가국] 독일, 프랑스, 한국
  • 관객집계 3,682명 / 100%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갈라
제롬 벨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요나답
극단 무천
2
널 만나러 무작정 나왔어
극단 놀땅
3
소멸
그라운드 제로 프로젝트
4
보더라인
크리에이티브 VaQi & 레지덴츠 테아터
5
나는 그 사람이 느끼는 것을 생각한다
황수현
6
판소리 필경사 바틀비
창작집단 희비쌍곡선
7
Pool
김성훈 댄스프로젝트
8
기가막힌 흥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
9
나는 광인입니다
극단 신세계
10
제(祭)Ⅱ
99 아트 컴퍼니
11
딸에 대하여
쇼빌컴퍼니
12
NOT FOR SALE
최진영
13
13 후르츠케이크
노래하는 배우들
14
넛 크러셔
허성임
15
나는 스무살입니다
안은미컴퍼니

기획프로그램 탭 내용 시작

1
전통의 조건들
연희집단 갱
2
전통의 조건들
몸춤

부대행사 탭 내용 시작

관객과의 대화
공연 종료 후 연출가 또는 안무가, 작가, 배우 등이 무대 위로 올라와 관객들과 공연에 관련된 의견을 나누는 시간이다. 공연 직후 관객들이 공연에 대해 느꼈던 감상부터 공연을 보며 갖게 되는 궁금증을 해소하고, 작품 평가 및 의견 제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아티스트와 직접 나누었다.
2019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19.10.3.(목) - 10.20.(일)
  • 장소 아르코예술극장, 대학로예술극장, 세종문화회관,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극장
  • 주최/주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재)예술경영지원센터
  • 작품 10개국 22작품
    [장르] 연극 9편, 무용 11편, 다원 1편, 피칭 1편
    [참가국] 독일, 덴마크, 러시아, 불가리아, 벨기에, 이스라엘, 프랑스, 핀란드, 일본, 한국
  • 관객집계 7,787명 / 77.3%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카프카
고골센터
2
연극 잊혀진 땅
포인트제로
3
연극 크로닉 라이프: 만성적 인생
오딘극단
4
무용 푸가
이스라엘 인발 핀토 댄스컴퍼니
5
무용 네스티: 여성, 억압과 해방
수잔나 라이노넨컴퍼니
6
무용 보더라인: 경계에서
왕 라미레즈 컴퍼니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해피투게더
극단 떼아뜨르 봄날
2
연극 낙타상자
극공작소 마방진
3
연극 보이지 않는 도시
서울괴담
4
연극 브라더스
크리에이티브 바키
5
무용 놀음 – Hang Out
Company J
6
무용 여집합 집집집 합집여
최강 프로젝트
7
무용 검정감각
황수현
8
무용 창백한 푸른 점
춤나 댄스컴퍼니
9
무용 The Answer
Yochan Kang
10
다원 생사의_죽음에 관한 삶의 음악
WhatWhy Art
11
협력프로그램 레드 올랜더스
아시아문화원, 프로젝트 내친김에
12
협력프로그램 그 숲의 심연
히라타 오리자
13
협력프로그램 두려움에 갇혀
원파운데이션, 가야댄스컴퍼니
14
스탭바이스파프 부드러운 몸
온앤오프무용단
15
스탭바이스파프 공공하는 몸 1.
정다슬
16
체르노빌의 목소리 공공하는 몸 1.
글과무대

부대행사 탭 내용 시작

오딘극잔 작업시연 :
침묵의 메아리
덴마크 오딘극단과 44년째 함께 해온 줄리아 발리(Julia Varlet)의 주도 하에 진행된 작업 시연이다. 본 워크숍은 배우의 신체와 음성의 자극, 노래와 발화, 그리고 텍스트와 연기의 관계를 다루는 내용으로 총 1시간 30분 동안 진행되었다.
  • 일시 : 10.3.(목) 11:30 ~13:00
  • 장소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극장 대연습실
  • 패널 : 줄리아 발리 (배우), 이동일 (경희대학교 산업협력중점교수, 사회 및 통역)
  • 참가인원 : 29 명
오딘극단 마스터 클래스 :
의도가 있는 춤
오딘극단의 배우 로베르타 카레라(Roverta Carreri)의 주도 하에 마스터 클래스 ‘의도가 있는 춤’이 진행되었다. 배우의 현존을 일깨우는 신체 훈련과 목소리 훈련으로 무대 공간을 탐색하고, 참가자들 각 개인의 특성의 에너지를 발산하는 방식을 익힐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1시간 30분 동안 진행되었다.
  • 일시 : 10.4.(금) 11:30 ~13:00
  • 장소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극장 대연습실
  • 패널 : 로베르타 카레라 (배우), 이동일 (경희대학교 산업협력중점교수, 사회 및 통역)
  • 참가인원 : 30 명
수잔나 라이노넨
무용 워크숍
수잔나 라이노넨 무용 워크숍은 그녀의 작품 스타일과 안무 방식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역량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무용수들과 무용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참가자들 각 개인의 에너지를 발산하고 수잔나 라이노넨 컴퍼니의 트레이닝 동작을 익힐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1시간 30분 동안 진행되었다.
  • 일시 : 10.11.(금) 19:00 ~ 21:00
  • 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연습실2 (중연습실)
  • 패널 : 수잔나 라이노넨 (안무)
  • 참가인원 : 17명
포인트제로 움직임
(오브제) 워크숍
포인트제로 워크숍은 대표적인 오브제 인형의 활용 기법을 공유하고 배우와 인형의 상호 관계성을 함께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인형을 다뤄본 적이 없는 참가자들도 자유롭게 워크숍에 참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인형을 직접 조종해보고 다루는 테크닉과 함께 즉흥 연기를 펼치며 2시간 30분 동안 진행되었다.
  • 일시 : 10.19.(토) 10:30 ~ 13:00
  • 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연습실1
  • 참가인원 : 32명
관객과의 대화
공연 종료 후 연출가 또는 안무가, 작가, 배우 등이 무대 위로 올라와 관객들과 공연에 관련된 의견을 나누는 시간이다. 공연 직후 관객들이 공연에 대해 느꼈던 감상부터 공연을 보며 갖게 되는 궁금증을 해소하고, 작품 평가 및 의견 제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아티스트와 직접 나누었다.
구분 공연 장소 일시 진행(통역)
해외작 크로닉 라이프: 만성적 인생 The Chronic Life 한예종 예술극장 10.4.(금) 19:30 이동일 (이동일)
푸가 Fugue 아르코 대극장 10.12.(토) 17:00 김예림 (장유경)
네스티: 여성, 억압과 해방 Nasty 대학로 대극장 10.12.(토) 19:30 김예림 (장유경)
네보더라인: 경계에서 Boderline 아르코 대극장 10.18.(금) 20:00 심정민 (장유경)
잊혀진 땅 The Forgotten Land 아르코 소극장 10.19.(토) 19:00 문정원 (문정원)
국내작 생사의_죽음에 관한 삶의 음악 세종 S씨어터 10.19.(토) 17:00 이수은
낙타상자 대학로 대극장 10.19.(토) 19:00 김성희
그 숲의 심연 세종 M씨어터 10.20.(일) 15:00 이성곤
협럭프로그램 (ACC in SPAF) 레드 올랜더스 대학로 대극장 10.5.(토) 19:30 최윤우
2018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18.10.07.(일) ~ 11.04.(일)
  • 장소 아르코예술극장, 대학로예술극장, 설치극장 정미소
  • 주최/주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재)예술경영지원센터
  • 작품 8개국 23작품
    [장르] 연극 10편, 무용 8편
    [참가국] 리투아니아, 벨기에, 세르비아, 싱가포르, 일본, 프랑스, 핀란드, 한국
  • 관객집계 9,625명 / 73.3%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드라나 강의 다리
세르비아 국립극장
2
연극 갈매기
OKT/빌뉴스시립극단
3
연극 트리스테스_슬픔의 섬
다스 프로이라인(컴퍼니)
4
무용 픽셀
프랑스 국립 크레테유 카피그 무용단
5
무용 메도우,메도우,메도우
조디악센터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스프레이
초인
2
연극 오이디푸스 – 알려고 하는 자
극단 놀땅
3
연극 광인일기
극단 신세계
4
연극 한여름 밤의 꿈
사다리움직임연구소
5
연극 그때, 변홍례
극단 하땅세
6
무용 안은미의 북.한.춤
안은미컴퍼니
7
무용 비보이픽션 ‘코드네임 815’
퓨전엠씨
8
무용 은장도
고블린파티
9
무용 숨그네
Ninety9 Art Company
10
무용 발림
리케이댄스
11
무용 간 때문이야!
춤판야무
12
무용 공상물리적 춤
오!마이라이프 무브먼트 씨어터
13
서울연극제 in SPAF 일상의 광기에 대한 이야기
프로젝트 아일랜드
14
창작산실 in SPAF 일상의 광기에 대한 이야기
㈜아이엠컬 프로젝트 아일랜드

부대행사 탭 내용 시작

<드리나 강의 다리>
북콘서트
<드리나 강의 다리> 연출가인 코칸 믈라데노비치 (Kokan Mladenović) 와 한국외국어대학교 유고슬라비아어학과 교수인 김상헌 교수와 사회자인 이동섭 작가가 토론자가 되어 노벨문학상 수상작인 원작소설 [드리나 강의 다리]가 갖는 문학적 우수성을 소개한다.
  • 일시 : 2018.10.12.(금) 16:00 ~ 18:00
  • 장소 : 대학로 이음센터 이음홀
  • 패널 : 코칸 믈라데노비치(세르비아 국립극장 연출), 김상헌(한국외국어대학교 세크어과 교수), 이동섭(사회자)
  • 참가인원 : 43 명
<트리스테스_
슬픔의 섬>
토킹세션 -
무대를 넘나드는
영화적 상상력
공연에서 활용된 영화 기법을 기술 감독인 다미엔 아리(Damien Arrii) 와 함께 짚어보고, 한국 연출가 윤시중, 이경성 2명을 발제자로 그들의 영화적 기법을 활용한 공연을 함께 소개한다.
  • 일시 : 2018.10.28.(일) 15:00 ~ 16:00
  • 장소 : 대학로 이음센터 이음홀
  • 참가인원 : 40 명
수잔나 라이노넨
무용 워크숍
중원청소년수련관의 2018 부처간 협력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방과 후 청소년> 상상학교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갬블러크루가 진행하는 ‘춤! 함께하는 즐거움-스트릿댄스’에 퓨전엠씨가 일일특강으로 참여했다.
  • 일시 : 2018.9.19.(수) 17:00 ~ 20:00
  • 장소 : 중원청소년수련관
  • 장소 : 청소년(15-19세)
  • 참가인원 : 17 명
<픽셀> 안무워크숍
카피그무용단의 아멜리에 주쏨 Amelie Jousseaume의 전문무용수 대상으로 진행된 안무워크숍이다.
  • 일시 : 2018.10.21(일) 10:00 ~ 11:30
  • 장소 : 대학로 예술극장 중연습실
  • 참가인원 : 15 명
관객과의 대화
공연 종료 후 연출가 또는 안무가, 작가, 배우 등이 무대 위로 올라와 관객들과 공연에 관련된 의견을 나누는 시간이다. 공연 직후 관객들이 공연에 대해 느꼈던 감상부터 공연을 보며 갖게 되는 궁금증을 해소하고, 작품 평가 및 의견제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아티스트와 직접 나누었다.
구분 공연 장소 일시 진행(통역)
해외초청작 갈매기 The Seagull 대학로 대극장 10.20(토) 15:00 전강희(홍미라)
픽셀 Pixel 아르코 대극장 10.21(일) 17:00 이지현(신나정)
메도우, 메도우, 메도우
Meadow, meadow, meadow
대학로 대극장 10.26(금) 20:00 김예림(김선정)
국내초청작 오이디푸스-알려고 하는 자 대학로 소극장 10.13(토) 15:00 엄현희
비보이픽션-코드네임815 아르코 대극장 10.17(수) 20:00 이지현
그때, 변홍례 대학로 대극장 11.02(금) 20:00 김옥란
한 여름 밤의 꿈 설치극장 정미소 11.03(토) 16:00 엄현희
광인일기 아르코 소극장 11.03(토) 19:00 엄현희
SPAF 비평살롱
연출가, 드라마투르기 등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5인의 연극인과 회차 별 진행자로 섭외된 평론가가 합께 하는 한국연극평론가협회 협력 워크숍으로, 주요 SPAF 국내외 초청공연관람 후 매주 월요일 예술경영지원센터(이하 센터) 내 마련된 공간에서 연극적 담론을 형성하고 비평적 사고를 나누었다.
  • 일시 : 2018.10.22(월), 10.29(월), 11.5(월) 16:00 ~ 18:00 총 3회
  • 장소 : 예술경영지원센터 내 3층 회의실
제15회 젊은 비평가상
문화예술의 발전은 작품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에서 비롯된다. SPAF는 제14회 젊은 비평가상을 통해 미래의 비평가들이 현대 공연예술에서 새롭게 제기되는 경향과 가치들을 적극적으로 발견하고 평가하여 한국 공연예술의 내일을 이끌어 가도록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구분 공연 선정자 선정작
연극 광인일기 차성환 미쳐버리고 싶은, 미쳐지지 않는 (<광인일기> 관련)
그때, 변홍례 김유진 Playing Play: 연극적 재현 너머 연극적 수행으로서의 <그때, 변홍례>
2017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17.9.15 (금) ~ 10.15 (일)
  • 장소 아르코예술극장, 대학로예술극장
  • 주최/주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재)예술경영지원센터
  • 작품 9개국 33작품
    [장르] 복합 1편, 연극 7편, 무용 9편
    [참가국] 그리스, 루마니아, 싱가포르, 아일랜드, 영국, 일본, 프랑스, 캐나다, 한국
  • 관객집계 11,266명 / 95.96%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SPAF 해외공동제작 위대한 조련사
그리스 디미트리스 파파이오아누
2
연극 줄리어스 시저
헝가리 클루지 헝가리안 씨어터
3
연극 수브니르 :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인도 데드 센터
4
연극 애니웨어
프랑스 떼아트르 드 랑트루베르
5
무용 언틸 더 라이언즈
영국 아크람 칸 컴퍼니
6
무용 추억에 살다
캐나다 카롤린 로랭 보카주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SPAF기획공연 하얀 토끼 빨간 토끼
낫심 술리만푸어
2
연극 나는 바람
극단 유랑선
3
연극 위대한 놀이
극단 하땅세
4
연극 로봇을 이겨라 3
열혈예술청년단
5
무용 모르는 사이에
김영희무트댄스
6
무용 데카당스시스템
[Mu:p]
7
무용 Understand
LDP무용단
8
무용 심연(深淵)
Company J
9
무용 모래의 여자
마홀라 컴퍼니
10
창작산실 in SPAF 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
연희단거리패
11
한·영 프로젝트 미인:MIIN
Collective A/Arrary

부대행사 탭 내용 시작

개·폐막식 및
네트워킹 파티
1) 개막식
  • 일시 : 2017. 9. 15 (금) 19:00 ~ 19:40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1층 로비
  • 개막공연 : 줄리어스 시저
  • 참석인원 : 나종민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 이용훈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사무처장, 주한루마니아대사관 참사관, 구자흥 SPAF 위원장, 남정호 SPAF 위원, 손혜리 SPAF위원, 이병훈 SPAF위원, 주요 국공립·민간 극장장, 공연예술 주요 협회장·단체장, 국내 주요 연극인·무용인 등 70여명이 참석했다.
2) 네트워킹 파티 공연 일정별로 총5회의 네트워킹 파티를 진행하여 서울국제공연예술제에 참가한 해외 예술가와 국내 단체 및 스태프가 교류를 활성화했다.
  • 일시 : 2015. 9. 16 (토) - 10. 12 (목) / 총 5회
  • 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씨어터카페(4회), 일반음식점(1회)
3) 폐막식
  • 일시 : 2017. 10. 15 (일) 19:00 ~ 19:40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1층 로비
  • 폐막공연 : 언틸 더 라이언즈
  • 참석인원 : 안신희 서울댄스컬렉션 심사위원장, 이병훈 SPAF위원, 국내외 연극·무용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제11회 서울 댄스
컬렉션 & 커넥션
(The 11th Seoul
Dance Collection
& Connection)
11회를 맞은 서울댄스컬렉션은 총 57개의 작품, 64명의 안무가들이 지원했고, 12개의 작품이 본선에 선발되어 9월13일부터 17일까지 총 3일간 경연 공연을 했다. 마지막 본선 공연이 끝난 직후 총7명의 외부 심사위원들이 최종 3개의 작품을 선바여 선정된 작품의 안무가들은 해외 페스티벌 및 워크숍 참관, 국제 레지던시, 쇼케이스 등으로 작품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글로벌 커넥션’에 참여하게 되었다.
  • 일시 : 2018.10.28.(일) 15:00 ~ 16:00
  • 장소 : 대학로 이음센터 이음홀
  • 참가인원 : 40 명
수잔나 라이노넨
무용 워크숍
중원청소년수련관의 2018 부처간 협력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방과 후 청소년> 상상학교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갬블러크루가 진행하는 ‘춤! 함께하는 즐거움-스트릿댄스’에 퓨전엠씨가 일일특강으로 참여했다. 1) 서울댄스컬렉션 ① 예선
  • 접수기간 : 2017. 4.17(월) ~ 5.12(금)
  • 접수현황 : 총57개 작품
  • 심사발표 : 6.2(금)
  • 예선통과 : 총 12작품
② 본선
  • 대회기간 : 2017. 9. 13 (수) ~ 9. 17 (일)
  • 대회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 수상작품 : 김호연·임정하 <최초의 풍요사회>, 박상준 <쿵, 짝> 서윤신 <루인>
  • 시상내역 : 해외 예술가와의 교류 기회 제공 등
2) 글로벌커넥션 ① 커넥션 글로벌 커넥션은 전년 서울댄스컬렉션의 본선 수상자가 경연의 지원 혜택인 해외 교류의 성과를 발표하는 자리로, 현지 안무작 및 해외 예술가와의 협업 작품으로 이루어진다. 독일 포츠담 탄츠타게 페스티벌, 일본 요코하마 댄스컬렉션 그리고 싱가포르 M1 컨텍트 페스티벌과 커넥션을 이루었다.
  • 접수기간 : 2017. 4.17(월) ~ 5.12(금)
  • 접수현황 : 총57개 작품
  • 심사발표 : 6.2(금)
  • 예선통과 : 총 12작품
② 커넥션 공연 서울-포츠담 커넥션 (방식 : 신작창작)
  • 작품명 : 첵갈피
  • 안무 : 신규상
  • 출연 : 신규상, 박지훈, 장수용
서울-싱가포르 커넥션 (방식 : 공동창작)
  • 작품명 : 에피소드(#002)
  • 안무 : 선정찬, 이영훈, 주오 즈하즈
  • 출연 : 선정찬, 이영훈, 주오 즈하즈
  • 서울-요코하마 커넥션 (방식 : 작품교류)
  • 작품명 : 맛[만]난 대화
  • 안무 : 김지연
  • 출연 : 김지연, 장경민
  • 작품명 : Tiger Lily
  • 안무 : 유 키티가와 (요코하마댄스커넥션 선정 안무가)
  • 출연 : 유 키티가와, 모리미치 켄타로
<줄리어스 시저>
연출가의
연극세계와 음악작업
<줄리어스 시저> 연출가의 연극세계와 음악작업 워크숍은 바질레 시를 음악감독의 강의로 진행되었다. <줄리어스 시저> 작품 속 음악 표현과 연출가 실비우 푸카레트와의 작업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 일시 : 2017. 9. 16(토) 11:00 ~ 13:00
  • 장소 : 대학로 예술가의 집 다목적홀
  • 참여인원 : 20명
디미트리스
파파이오아누의
작품세계와 움직임
<위대한 조련사> 연출가인 디미트리스 파파이오아누 Dimitris Papaioannou의 안무적 특징과 작품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전문가 대상 움직임 워크숍을 유료로 진행했다.
  • 일시 : 2017. 9. 29(금) 10:00 ~ 13:00
  • 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 참여인원 : 28명
아크람칸 컴퍼니
워크숍
아크람칸 컴퍼니의 <언틸 더 라이언즈> 공연의 주요 무용수인 칭-잉 치앙 Ching-ing Chien과 조이 알푸에르토 리터 Joy Alpuerto Ritter가 진행한 전문 무용수와 무용전공자들을 위한 아크람 칸 컴퍼니의 안무스타일을 배울 수 있는 전문 워크숍을 유로로 진행했다.
  • 일시 : 2017. 10. 10(화) 12:00 ~ 14:00
  • 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연습실 2
  • 참여인원 : 18명
<애니웨어>
컴템포러리
인형극 워크숍
혁신적이고 복합적인 형식의 인형극을 선보이고 있는 프랑스 떼아트르 드 랑트루베르 Théâtre de l’Entrouvert의 설립자이자 연출가인 엘리즈 비네롱 Elise Vigneron가 신체의 마리오네트화 훈련과 신체와 인형에 관련된 다양한 조작 테크닉, 그림자의 움직임을 탐구하는 실루엣 표현 훈련 등을 전문가를 대상으로 워크숍을 진행했다.
  • 일시 : 2017. 10. 14(토)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스튜디오 다락
  • 참여인원 : 10명
예술가와의 대화
공연 종료 후 연출가 또는 안무가, 작가, 배우 등이 무대 위로 올라와 관객들과 공연에 관련된 의견을 나누는 시간이다. 공연 직후 관객들이 공연에 대해 느꼈던 감상부터 공열을 보며 갖게 되는 궁금증을 해소하고, 작품 평가 및 의견제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아티스트와 직접 나누었다.
구분 공연 장소 일시 진행(통역)
해외초청작 줄리어스 시저 아르코 대극장 9.15(금) 20:00 최영주(박도형)
수브니르 대학로 대극장 9.16(토) 20:00 최영주(김시연)
위대한 조련사 아르코 대극장 9.29(금) 20:00 남상식(이상은)
언틸 더 라이언즈 아르코 대극장 10.12(목) 20:00 오선명(박도형)
애니웨어 대학로 대극장 10.13(금) 20:00 임혜경(문소영)
국내초청작 나는 바람 아르코 대극장 9.29(금) 20:00 김옥란
위대한 놀이 대학로 대극장 9.30(토) 19:00 김옥란
창작산실
in SPAF
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 대학로 대극장 9.22(금) 20:00 김옥란
제14회 젊은 비평가상
문화예술의 발전은 작품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에서 비롯된다. SPAF는 제14회 젊은 비평가상을 통해 미래의 비평가들이 현대 공연예술에서 새롭게 제기되는 경향과 가치들을 적극적으로 발견하고 평가하여 한국 공연예술의 내일을 이끌어 가도록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총6편(연극 4개, 무용 2개)의 작품이 응모되어 우수작 없이 가작으로 2편의 작품이 선발되었고, 수상작들에게 소정의 상금이 수여되었다.
  • 응모기간 : 2017. 10. 23(월) ~ 11. 10(금)
  • 응모자격 : 만 45세 이하로서 연극, 무용 등 공연예술 장르 비평에 관심 있는 자
  • 응모작품 : 2017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공식 참가작을 대상으로 한 비평
  • 선정작품 :
구분 공연 선정자 선정작
연극 줄리어스 시저 우낙원 셰익스피어 죽이기, 트럼프 죽이기 – 뉴욕과 서울에서 올라간
각기다른 두 <줄리어스 시저>에 대해서
위대한 놀이 황아람 ‘놀이’의 형식으로 관객의 참여를 이끌어낸 공연 <위대한 놀이>
무용 당선작 없음
2016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16.9.30 (금) ~ 10.30 (일)
  • 장소 아르코예술극장, 대학로예술극장
  • 주최/주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재)예술경영지원센터
  • 작품 6개국 17작품
    [장르] 연극 8편, 무용 9편
    [참가국] 벨기에, 슬로베니아, 영국, 캐나다, 폴란드, 한국
  • 관객집계 12,118명 / 총 객석점유율 79.12%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우드커터 Woodcutters Holzfallen
크리스티안 루파 Krystian Lupa연출.
브로츠와프 폴스키 극장 Polski Theatre in Wroclaw
2
연극 복화술사의 학교 L´Ecole des Ventriloques
포인트 제로 Point Zero
3
연극 파우스트 Faust
토마스 판두르 Tomaž Pandur 연출. 류블라냐 국립극단 SNT Drama Ljubljana
4
무용 프리즘 Prisms
몬트리올 댄스 Montreal Danse
5
무용 스피크 로우 이프 유 스피크 러브 Speak Low if you Speak Love
울티마 베즈 Ultima Vez
6
무용 로잘린드 Rosalind
한·영 합작프로젝트
- 제임스 커즌즈 컴퍼니
James Cousins Company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두 코리아의 통일
극단 프랑코포니 Theatre Francophonies
2
연극 여보세요
판소리만들기-자
3
연극 맥베드-이것은 또 하나의 굿이다
극단 竹竹(죽죽)
4
연극 멀리 있는 무덤
극단 몸꼴
5
연극 카프카의 소송
사다리움직임연구소
6
무용 수치심에 대한 기억들
김용걸 댄스 씨어터
7
무용 노련한 사람들
다크서클즈 컨템포러리 댄스
8
무용 75분의1초
댄스프로젝트 뽑끼
9
무용 심연(深淵)
Ninety9 Art Company
10
무용 자유에 대하여
사단법인 트러스트무용단
11
창작산실 in SPAF 거울속의 거울
무용 : 마홀라컴퍼니

부대행사 탭 내용 시작

개·폐막식 및
네트워킹 파티
1) 개막식
  • 일시 : 2016. 9. 30 (금) 18:00 ~ 19:00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1층 로비
  • 개막공연 : 우드커터 Woodcutters Holzfällen
  • 참석인원 : 박명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 이용훈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사무처장, 박영국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정책실 실장, 주한 폴란드대사관 영사, 구자흥 SPAF 위원장, 남정호 SPAF
    위원, 손혜리 SPAF위원, 임병대 SPAF위원, 주요 국공립·민간 극장장, 공연예술 주요 협회장·단체장,
    국내 주요 연극인·무용인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2) 폐막식
  • 일시 : 2016. 10. 30 (일) 20:00 ~ 20:40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1층 로비
  • 폐막공연 : 파우스트 Faust
  • 참석인원 : 박명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 이용훈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사무처장, 리비아 판두르
    폐막작 파우스트 드라마트루그, SPAF 운영위원, 주요 국공립·민간 극장장, 국내외 연극·무용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제10회 서울 댄스
컬렉션 & 커넥션
(The 10th Seoul
Dance Collection
& Connection)
10회를 맞은 서울댄스컬렉션&커넥션은 총 57개의 작품, 64명의 안무가들이 지원했고 12개의 작품이 본선에 선발되었다. 9월13일부터 17일까지 총 3일간 경연 공연을 했으며 마지막 본선 공연이 끝난 직후 총7명의 외부 심사위원들이 최종 3개의 작품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작품의 안무가들은 해외 페스티벌 및 워크숍 참관, 국제 레지던시, 쇼케이스 등으로 작품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글로벌 커넥션’에 참여하게 되었다. 1) 서울댄스컬렉션 10주년 기념 역대 수상자 공연
안무가 작품명
손나예·김우진 영광주택 마동 201호
이재영 이퀄(=)
이동원·김준희 샬롬
Swee Boon Kuik Silences We Are Familiar With
최명현 소멸 그리고 교감
김보람·장경민 언어학 1장: 시간의 사용
김수정 What makes them?
KENTARO! The thther Going Round and Tying Front and Back Together
② 본선
  • 접수기간 : 2016. 4.18(월) ~ 5.6(금)
  • 접수현황 : 총42개 작품
  • 심사발표 : 6.22(수)
  • 예선통과 : 총 12작품
② 본선
  • 대회기간 : 2016. 10. 27 (목) ~ 10. 29 (토)
  • 대회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 수상작품 : 김지연<맛[만]난 대화>, 신규상<잉여의꿈>, 선정찬·이영훈<청춘예찬>
  • 시상내역 : 해외 예술가와의 교류 기회 제공 등
3) 글로벌커넥션 ① 커넥션 글로벌 커넥션은 전년 서울댄스컬렉션의 본선 수상자가 경연의 지원 혜택인 해외 교류의 성과를 발표하는 자리로, 현지 안무작 및 해외 예술가와의 협업 작품으로 이루어진다. 독일 포츠담 탄츠타게 페스티벌, 일본 요코하마 댄스컬렉션 그리고 싱가포르 M1 컨텍트 페스티벌과 커넥션을 이루었다. ② 커넥션 공연 서울-포츠담 커넥션 (방식 : 작품교류)
  • 작품명 : No.
  • 안무 : 김정훈
  • 출연 : 김정훈, 이지민, 장두익
서울-싱가포르 커넥션 (방식 : 신작&공동창작)
  • 작품명 : Coincidance in Between
서울-요코하마 커넥션 (방식 : 신작&공동창작)
  • 작품명 : 82 vs 65
  • 안무/출연 : 강진안, 최민선, 잭키옹(Jackie Ong)
<복화술사의 학교>
포인트 제로 워크숍
언어에 대한 의문을 바탕으로 새로운 작업방식을 추구하는 포인트 제로의 배우들이 전문가 대상으로 연기 워크숍을 진행했다. <줄리어스 시저> 작품 속 음악 표현과 연출가 실비우 푸카레트 Silviu Pucarete와의 작업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 일시 : 2016. 10. 14(금) ~ 10. 15(토) 13:00 ~ 15:00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 참여인원 : 20명
토마스 판두르 워크숍
<파우스트> 드라마트루그인 리비아 판두르와 사진작가인 알로사 리볼리가 연출가인 토마스 판두르의 작품 및 연출 작업에 있어서 큰 특징들을 사진과 함께 보여주는 강의 형식으로 무료로 진행했다.
  • 일시 : 2016. 10. 27(목) 17:00 ~ 18:40
  • 장소 : 예술가의 집 3층 다목적 홀
  • 참여인원 : 38명
서울댄스컬렉션
10주년 기념 세미나
서울댄스컬렉션 10주년을 기념하여 ‘젊은 안무가, 어떻게 할 것인가? - 신진 안무가들의 위기점검과 활로모색을 위한 대화’를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들의 발제와 토론으로 진행되었다.
구분 내용
발제 서울댄스컬렉션 10년의 흐름과 오늘날 신진 안무가들의 성장과 위기
김예림 (무용평론가, 월간 ‘춤과사람들’ 편집위원)
젊은 창작춤의 위기점검과 활로모색, 그리고 서울댄스컬렉션의 성과
심정민 (무용평론가, 비평사학자)
해외사례Ⅰ(일본)
요시코 스웨인(후쿠오카 프린지 댄스 페스티벌 예술감독)
해외사례Ⅱ(일본)
타카오 노리코시 (무용평론가)
해외사례 Ⅲ (싱가포르)
스위 분 퀵(싱가포르 M1 CONTACT 페스티벌 예술감독)
종합
토론
김예림 Yelim Kim, 김윤수 Yunsu Kim (김윤수무용단 대표), 심정민 Jeongmin Shim, 이동원 Dongwon Lee
(원댄스프로젝트 대표), 최상철 Sangcheul Choe (중앙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스벤 틸 Sven Till(독일 포츠담
Tanztage 페스티벌 예술감독), 스위 분 퀵 Swee Boon KUIK, 요시코 스웨인 Yoshiko Swain, 타카오 노리코시
Takao Norikoshi
정리 오선명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기획팀장)
  • 일시 : 2016. 10. 29(토) 14:00 ~ 16:00
  • 장소 : 예술가의 집 3층 다목적 홀
  • 참여인원 : 25명
예술가와의 대화
공연 종료 후 연출가 또는 안무가, 작가, 배우 등이 무대 위로 올라와 관객들과 공연에 관련된 의견을 나누는 시간이다. 공연 직후 관객들이 공연에 대해 느꼈던 감상부터 공열을 보며 갖게 되는 궁금증을 해소하고, 작품 평가 및 의견제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아티스트와 직접 나누었다.
구분 공연 장소 일시 진행(통역)
해외작 우드커터 아르코 대극장 10.1 (토) 16:00 김미혜(이지원)
복화술사의 학교 대학로 소극장 10.13 (목) 20:00 김경옥(문소영)
프리즘 Prisms 대학로 소극장 10.23 (일) 20:00 오선명(이상은)
Speak Low if you Speak Love 아르코 대극장 10.25 (화) 20:00 오선명(이상은)
파우스트 아르코 대극장 10.29 (토) 19:00 장은수(박애영)
국내작 여보세요 아르코 소극장 10.21 (금) 20:00 김옥란
멀리 있는 무덤 아르코 대극장 10.22 (토) 19:00 김옥란
카프카의 소송 대학로 대극장 10.28 (금) 20:00 김옥란
창작산실
in SPAF
거울속의 거울 대학로 소극장 9.30 (금) 20:00 오선명
제14회 젊은 비평가상
문화예술의 발전은 작품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에서 비롯된다. SPAF는 제14회 젊은 비평가상을 통해 미래의 비평가들이 현대 공연예술에서 새롭게 제기되는 경향과 가치들을 적극적으로 발견하고 평가하여 한국 공연예술의 내일을 이끌어 가도록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총6편(연극 4개, 무용 2개)의 작품이 응모되어 우수작 없이 가작으로 2편의 작품이 선발되었고, 수상작들에게 소정의 상금이 수여되었다.
  • 응모기간 : 10. 23(월) ~ 11. 10(금)
  • 응모자격 : 만 45세 이하로서 연극, 무용 등 공연예술 장르 비평에 관심 있는 자
  • 응모작품 : 2017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공식 참가작을 대상으로 한 비평
  • 선정작품 :
구분 공연 선정자 선정작
연극 줄리어스 시저 우낙원 셰익스피어 죽이기, 트럼프 죽이기 – 뉴욕과 서울에서 올라간
각기다른 두 <줄리어스 시저>에 대해서
위대한 놀이 황아람 ‘놀이’의 형식으로 관객의 참여를 이끌어낸 공연 <위대한 놀이>
무용 당선작 없음
2015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15.10.2 (금) ~ 10.31 (토)
  • 장소 아르코예술극장, 대학로예술극장
  • 주최/주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센터
  • 작품 작품 7개국 22작품
    [장르] 연극 8편, 무용 14편
    [참가국] 독일, 벨기에, 스페인, 슬로베니아, 이탈리아, 프랑스, 한국
  • 관객집계 12,118명 / 총 객석점유율 86.1%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셰익스피어 소네트 Shakespeare’s Sonnets
베를린 앙상블 Berliner Ensemble
2
연극 리빙룸 The Living Room
예지 그로토프스키-토마스 리차드 워크센터 Workcenter of Jerzy Grotowski and Thomas Richards
3
연극 폭주기관차 The Crazy Locomotive
슬로베니아 류블리아나 국립극단 Slovenian National Theatre Drama Ljubljana
4
무용 아 루에 À Louer
피핑톰 PeepingTom
5
무용 사키난 Sakınan göze çöp batar
몽펠리에 국립안무센터 I.C.I-Centre Chorégraphique National de Montpellier/ Languedoc-Roussillon
6
무용 실화에 따르면 D’aprés une histoire vraie
몽펠리에 국립안무센터 I.C.I-Centre Chorégraphique National de Montpellier / Languedoc-Roussillon
7
무용 보스케아르도라 Bosque Ardora
로시오몰리나 Rocío Molina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믿음의 기원2: 후쿠시마의 바람
상상만발극장
2
연극 벗어난 원리들 ver.2 - 우는 사람들
무브먼트당당
3
연극 BluePoet
4
연극 햄릿_아바따
극단 서울공장
5
연극 상주국수집
극단 동
6
무용 권령은
7
무용 아이고
고블린파티
8
무용 기억의 양수
원댄스프로젝트그룹
9
무용 목신의 오후
최진한댄스프로젝트그룹
10
무용 판-Push/Pull
이정윤 DA.NCE Theatre
11
제5회 솔로이스트 김주원-김설진
12
제5회 솔로이스트 차진엽-빠키(Vakki)
13
제5회 솔로이스트 장윤나-이선태
14
창작산실 in SPAF 연극: 색다른 이야기 읽기 취미를 가진 사람들에게
극단 대학로극장
15
제5회 솔로이스트 무용: 심청
이경옥 무용단

부대행사 탭 내용 시작

개·폐막식 및
리셉션
1) 개막식
  • 일시 : 2015. 10. 2 (금) 19:00 ~ 19:40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1층 로비
  • 개막공연 : 아 루에 À Louer
  • 참석인원 : 박민권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우상일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국장, 프랑소아 봉땅 주한 벨기에 대사, 앙토니 쇼뮈조 프랑스 문화원장, 김영종 종로구청장, 주요 국공립·민간 극장장, 공연예술 주요 협회장·단체장, 국내 주요 연극인·무용인 등 100여 명 내외
2) 리셉션 공연 일정별로 해외 아티스트와 국내 아티스트 및 스태프 간 네트워킹이 가능한 파티를 마련했다.
  • 일시 : 2015. 10. 2 (금) - 10. 30 (금) / 총 6회
  • 장소 : 스튜디오 하늘(2회), 씨어터카페(4회)
제9회 서울 댄스
컬렉션 & 커넥션
(The 9th Seoul
Dance Collection
& Connection)
올해로 9회를 맞은 서울댄스컬렉션은 총 52개의 작품이 모집되었다. 해를 거듭할수록 커지는 국내외 무용계의 관심을 반영하여 기존 9개의 본선 진출 작 선정에 3개 작품을 추가, 총 12개 작품을 선정해 경연의 장을 확장했다. 치열한 예선을 뚫고 본선에 오른 12팀의 진출자들은 10월27일부터 29일까지 공연 형태의 경연을 거쳤고 그 중 3개의 수상작품이 외부 심사위원들에 의해 선발되었다. 1) 컬렉션 ① 예선
  • 접수기간 : 2015. 4. 6 (월) ~ 5. 8 (금)
  • 접수현황 : 총 52개 작품
  • 심사발표 : 7. 31 (금)
  • 예선통과 : 총 12작품
② 본선
  • 대회기간 : 2015. 10. 27 (화) ~ 10. 29 (목)
  • 대회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 수상작품 : 김정훈 , 전보람 <서로 엇갈리게 바짝 맞추다 They match tightly crossing each other> 최민선/ 강진안 <기초 무용>
  • 시상내역 : 해외 예술가와의 교류 기회 제공 등
2) 커넥션 ① 커넥션 2014년 제9회 서울댄스컬렉션은 독일 포츠담 탄츠타게 페스티벌, 일본 요코하마 댄스컬렉션 그리고 싱가포르 컨텍트 페스티벌과 커넥션을 이루었다. ② 커넥션 공연 서울-포츠담 커넥션
  • 작품명 : 에어로빅(Aerobics)
  • 안무 : 전흥렬
  • 출연 : 전흥렬, 표상만
서울-요코하마 커넥션
  • 작품명 : I with You
  • 안무 및 출연 : 김지욱, 리에 타시로(Rie Tashiro)
서울-싱가포르 커넥션
  • 작품명 : --:--
  • 안무 : 김환희, 쇼우이 고(ShouYi Goh)
  • 출연 : 김환희, 쇼우이 고, 신원민
한독커넥션
2013년 예술경영지원센터와 독일문화원의 주최로 독일의 대표적인 공립극장인 도이체스 테아터의 주관 하에 한국과 독일의 젊은 연극 예술인 10명이 만나 예술적 교류를 나누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창작 레지던시 및 워크숍 공연 <이피게니아×5>
구분 이름 소속 역할
한국 참여자 양정웅 극단 여행자 각색·연출
최진아 극단 놀땅 각색·연출
이곤 극단 작은신화 각색·연출
이경성 크리에이티브 VaQi 각색·연출
이단비 극단 고래 드라마터그
이희진 프로듀서그룹 도트 프로듀서
독일 참여자 소냐 앤더스 (Sonja Anders) 도이체스 테아터 드라마터그
울리히 벡 (Ulrich Beck) 도이체스 테아터 드라마터그
인도의 춤과 노래
워크숍
국내초청단체인 극단 서울공장의 작품으로 내한하는 인도 아티스트의 워크
  • 일시 : 2015. 10. 4(일), 5(월), 11(일)
  • 장소 : 스튜디오 하늘, 예술인복지재단 연습실,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 참여인원 : 100여명
클라우스 파이만
컨퍼런스
국내초청단체인 극단 서울공장의 작품으로 내한하는 인도 아티스트의 워크
  • 일시 : 2015. 10. 17(토) 20:30
  • 장소 : 스튜디오 하늘
  • 참여인원 : 00여명
토마스 리차드
컨퍼런스
그간 연극 교과서를 통해서만 접할 수 있었던 그로토프스키의 생애와, 토마스 리차드의 연극 인생, 스승과 제자가 함께 연구한 ‘수단으로서의 예술’ 이론, 그리고 ‘교과서의 현재’라고 할 수 있는 워크센터의 연구 현황 등을 토마스 리차드로부터 직접 들어보는 시간을 마련하고자 했다.
  • 일시 : 2015. 10. 25(일) 14:00 ~ 17:00
  • 장소 : 대학로 예술가의집 3층 다목적실
  • 참여인원 : 60여명
예지 그로토프스키
-토마스 리차드
워크센터 배우 워크숍
예지 그로토프스키-토마스 리차드 워크센터에서 ‘수단으로서의 예술’ 집중 연구팀을 이끌고 있는 토마스 리차드가 공연 <리빙룸>으로 역사적인 첫 내한을 가졌다. 토마스 리차드와 그의 ‘수단으로서의 예술’ 집중 연구팀 소속 배우 세 명은 현직 배우 또는 연출가, 혹은 관련 학과 전공생 12명을 대상으로 4일 간의 밀도 높은 노래와 연기 워크숍을 진행했다.
  • 일시 : 2015. 10. 27 (화) ~ 10. 30 (금) 10:00~18:00
  • 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스튜디오 하늘
  • 참가대상 및 인원 : 현직 배우, 연출가 혹은 관련 학과 전공생 사전 선발자 12명
예술가와의 대화
공연 종료 후 연출가 또는 안무가, 작가, 배우 등이 무대 위로 올라와 관객들과 자유로운 질의응답을 나누는 시간이다. 공연 직후 관객들이 공연에 대해 느꼈던 감상부터 공열을 보며 갖게 되는 궁금증을 해소하고, 작품 평가 및 의견제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아티스트와 직접 나눌 수 있다.
구분 공연 장소 일시 진행(통역)
해외 초청작 아 루에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10.3(토) 20:15 오선명(이상은)
사키난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10.12(월) 20:55 오선명(조은별)
실화에 따르면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10.15(목) 21:00 오선명(문소영)
셰익스피어 소네트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10.16(금) 22:50 임수연(김예나)
보스케 아르도라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10.23(금) 21:30 오선명(롤라 장)
국내 초청작 믿음의 기원2:후쿠시마의 바람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10.4(일) 20:10 임수연
햄릿_아바따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10.10(토) 20:40 임수연
제12회 젊은 비평가상
현대 공연예술에서 새롭게 제기되는 경향과 가치들을 적극적으로 발견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공연 비평의 저변 확대를 꾀하고자 젊은 비평가상을 개최하고 있다. 아울러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개최를 계기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함으로써 공연예술계의 담론 형성 및 확산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응모기간 : 11.2(월)~11.27(금)
  • 응모자격 : 만 45세 이하로서 연극, 무용 등 공연예술 장르 비평에 관심 있는 자
  • 응모작품 : 2015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공식 참가작을 대상으로 한 비평
    * 다수의 작품으로 공모 가능
2014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14.9.25 (목) ~ 10.19 (일)
  • 장소 아르코예술극장, 대학로예술극장
  • 주최/주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센터
  • 작품 7개국 25작품
    [장르] 연극 12편, 무용 13편
    [참가국] 독일, 러시아, 벨기에, 영국, 오스트리아, 콜롬비아, 한국
  • 관객집계 15,587명 / 총 객석점유율 98.6%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노란 벽지 Die gelbe Tapete
샤우뷔네 극장 Schaubuhne
2
연극 벙커 트릴로지 : 모르가나 THE BUNKER TRILOGY : Morgana 벙커 트릴로지 : 아가멤논 THE BUNKER TRILOGY : Agamemnon 벙커 트릴로지 : 맥베스 THE BUNKER TRILOGY : Macbeth
제스로 컴튼 Ltd. Jethro Compton Ltd.
3
연극 산책자의 신호 Le Signal du promeneur
라울 콜렉티브 Raoul Collectif
4
무용 십자가의 일기 Diario de una Crucifixion
엑스플로즈 L'Explose
5
무용 머쉬룸 MUSH-ROOM
니드컴퍼니 Needcompany
6
무용 SUN
호페쉬 쉑터 컴퍼니 Hofesh Shechter Company
7
무용 상복이 어울리는 엘렉트라 Mourning Becomes Electra
RAMT(Russian Academic Youth Theatre)
8
무용 블라인드 데이트 Blind Date
린츠주립무용단 Dance Company of the Upper Austrian State Theatre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심청이는 왜 두 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 Why Did Shim-Ch'ong Plunge into the Sea Twice?
극단 목화
2
연극 코마치후덴 The Memoir of Komachi
연희단거리패
3
연극 드라마 전시 '그녀의 방' 시즌 3 ? 노크하지 않는 집 The House without Knocking
떼아뜨르 노리
4
연극 알리바이 연대기 Chronicle of Alibis
드림플레이 테제 21
5
연극 파우스트 I+II FAUST I+II
극단 하땅세
6
연극 조용한 식탁 The Silent Table
극단 뿌리
7
무용 달, 千의 얼굴 Moon The Thousand Visages
서정춤세상
8
무용 A CRY
최상철 현대무용단
9
무용 봄의 제전 The Rite of Spring
댄스씨어터 창
10
무용 무림강호(武林江湖) Bloody Warrior
김경영&DTM Dance company

부대행사 탭 내용 시작

개·폐막식 및
리셉션
1) 개막식
  • 일시 : 2014. 9. 25 (목)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1층 로비
  • 개막공연 : <노란 벽지>
  • 참석인원 : 김태훈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국장, 슈테판 드라이어 주한독일문화원장, 주요 국공립·민간 극장장, 공연예술 주요 협회장?단체장, 국내 주요 연극인·무용인 등 100명 내외
2) 폐막식
  • 일시 : 2014. 10. 19 (일)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1층 로비
  • 폐막공연 : <상복이 어울리는 엘렉트라>
  • 참석인원 : <상복이 어울리는 엘렉트라>, <블라인드데이트> 참여 예술가 및 스태프, 폐막공연 초청인사, 센터 임직원, 스파플(자원봉사자) 등 100여명
3) 리셉션 공연 일정별로 해외 아티스트와 국내 단체 및 스태프들 간에 네트워킹을 위한 파티를 마련했다.
  • 일시 : 2014. 9. 25 (목) - 10. 18 (토) / 총 7회
  • 장소 : 스튜디오 하늘(1회), 씨어터까페(6회)
제8회 서울 댄스
컬렉션 & 커넥션
(The 8th Seoul
Dance Collection
& Connection)
해를 거듭할수록 안무가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서울댄스컬렉션은 올해 역대 최대 7:1의 경쟁률을 선보였다. 치열한 예선을 뚫고 본선에 오른 9명의 진출자들은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에서 공연 형태의 경연을 거쳤고, 그 중 3개의 수상작품이 외부 심사위원들에 의해 선발되었다. 1) 컬렉션 ① 예선
  • 접수기간 : 2014. 4. 1 (화) ~ 4. 30 (수)
  • 접수현황 : 총 63개 팀
  • 심사발표 : 6. 16 (월)
  • 예선통과 : 총 9팀
② 본선
  • 대회기간 : 2014. 10. 16 (목) ~ 10. 19 (일)
  • 대회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 수상작품 : 김지욱 <Shock>, 김환희 <몬스터 Monster>, 전흥렬 <Jimmy & Jack>
  • 시상내역 : 해외 예술가와의 교류 기회 제공 등
2) 커넥션 ① 커넥션 2013년 제8회 서울댄스컬렉션 수상자 3인이 각각 독일 포트담 단츠타게 페스티벌 프로그램, 일본 요코하마 댄스컬렉션 EX, 싱가포르 컨텍트 페스티벌과 커넥션을 이루었다. ② 커넥션 공연 개별 공연으로 확장된 올해의 커넥션 작품들은 소품과 자막, 영상 등을 사용하여 공연의 퀄리티를 더욱 높였다. <서울&요코하마 커넥션 팀>
  • 작품명 : 풀다 / 호도쿠
  • 안무 및 출연 : 이상훈 / 다이스케 이누에(Daisuke Inoue)
<서울&싱가포르 커넥션 팀>
  • 작품명 : Absence - 지금 보고 있습니까?
  • 안무 및 출연 : 진병철, 마커스 푸(Marcus Foo)
예술가와의 대화
공연 종료 후 연출가 또는 안무가, 작가, 배우 등이 무대 위로 올라와 관객들과 자유로운 질의응답을 나누는 시간이다. 공연 직후 관객들이 공연에 대해 느꼈던 감상부터 공연을 보며 갖게 된 궁금증을 해소하고, 작품 평가 및 의견제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아티스트와 직접 나눌 수 있다.
구분 공연 장소 일시 진행(통역)
해외작 아 루에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10.3(토) 20:15 오선명(이상은)
사키난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10.12(월) 20:55 오선명(조은별)
실화에 따르면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10.15(목) 21:00 오선명(문소영)
셰익스피어 소네트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10.16(금) 22:50 임수연(김예나)
보스케 아르도라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10.23(금) 21:30 오선명(롤라 장)
국내 초청작 믿음의 기원2:후쿠시마의 바람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10.4(일) 20:10 임수연
햄릿_아바따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10.10(토) 20:40 임수연
<노란 벽지>
백스테이지 투어
독일 샤우뷔네 극장의 <노란 벽지> 백스테이지를 돌아볼 수 있는 시간. 테크니컬 팀은 샤우뷔네 극장 소개 및 <노란 벽지>의 무대 위 운용 방법을 자세히 설명해주었고, 프로듀서는 연출가 케이티 미첼의 콘셉트를 설명했다. 또한 관람객들이 인원수를 나누어 무대를 투어 하는 동안 질의응답을 받았다.
  • 일시 : 2014. 9. 26 (금) 21:30~22:30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 참가대상 및 인원 : <노란 벽지> 예매자 중 개별 신청자(선착순 60명)
  • 진행 : 샤우뷔네 기술 디렉터, 조명 디자이너, 비디오 테크니션, 기계 테크니션, 스테이지 디렉터 5인의 작품 구조 설명 및 팀별 스테이지 투어
호페쉬 섹터
컴퍼니 워크숍
세계 현대무용계를 주도하며 최정상급 단체로 군림하고 있는 호페쉬 섹터 컴퍼니가 내한하여 공연 <SUN>과 더불어 국내 무용수를 대상으로 워크숍을 진행했다. 이번 워크숍은 국내 무용예술인들에게 신선한 자극과 함께 호페쉬 섹터 컴퍼니의 움직임을 배울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했다.
  • 일시 : 2014. 10. 10 (금) - 10. 11 (토) 2일간 11:30~13:30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스튜디어 다락
  • 강사 : 김예지, Philip Hulford, Maeva Berhelot, Chien Ming Chang
다이스케 이누에
움직임 워크숍
제8회 서울댄스컬렉션&커넥션에 참여한 일본 안무가 다이스케 이누에(Daisuke Inoue)가 진행한 움직임 워크숍으로, 무용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인 2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열린 관객 프로그램이다. 참가자들은 움직임 워크숍을 계기로 해당 아티스트 및 현대무용 전반에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는 좋은 반응을 전해주었다.
  • 일시 : 2014. 10. 12 (일) 14:00~16:30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연습실
  • 참가대상 및 인원 : 무용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인 누구나 참여가능
니시도 고진(西堂 行人) 워크숍
국내초청작 연희단패거리패의 <코마치후덴> 공연 시, 일본 연극 평론가 니시도 고진과 원작자 오타 쇼고의 아내 오타 미츠코 여사가 내한하여 부대행사로 워크숍을 가졌다. 오타 쇼고의 작품세계와 이윤택 연출이 <코마치후덴>을 제작하게 된 과정, 그리고 오타 쇼고와 그의 작품이 어떻게 다른지 등을 이야기하는 시간이었다.
  • 일시 : 2014. 9. 30 (화) 19:00~19:40
  • 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북스테이지
  • 참가대상 및 인원 : <코마치후덴> 예매자 및 참가 희망자 (선착순 30명)
제11회 젊은 비평상
현대 공연예술에서 새롭게 제기되는 경향과 가치들을 적극적으로 발견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공연 비평의 저변 확대를 꾀하고자 젊은 비평가상을 개최하고 있다. 아울러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개최를 계기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함으로써 공연예술계의 담론 형성 및 확산에 기여하고자 한다. <공모>
  • 응모기간 : 10.17(금)~11.28(금)
  • 응모자격 : 만 45세 이하로서 연극, 무용 등 공연예술 장르 비평에 관심 있는 자
  • 응모작품 : 2014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공식 참가작을 대상으로 한 비평
    * 다수의 작품으로 공모 가능
  • 응모경과 : 26편 (연극 20편, 무용 6편) 응모
<결과>
  • 연극분야 : 황지윤 <상상적 유토피아를 향한 다섯 산책자의 신호>
  • 무용분야 : 해당자 없음
2013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13.10.2 (수) ~ 10.26 (토)
  • 장소 아르코예술극장, 대학로예술극장
  • 주최/주관 (재)한국공연예술센터
  • 이사장 박계배
  • 작품 7개국 19작품
    [장르] 연극 8편, 무용 7편, 복합 4편
    [국내외] SPAF 연혁 9편, 국내초청작품 10편
    [참가국] 미국, 벨기에, 폴란드, 프랑스, 일본, 중국, 한국
  • 관객집계 13,296명 / 총 객석점유율 99.7%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빅토르 혹은 권좌의 아이들 Victor ou les enfants au pouvoir
떼아트르 드 라 빌 Theatre de la ville
2
연극 손택: 다시 태어나다 SONTAG: REBORN
빌더스 어쏘시에이션 The Builders Association
3
연극 리어왕 King Lear
도가 스즈키 컴퍼니 SCOT Suzuki Company of Toga
4
연극 크라임 Zbrodnia(The Crime)
떼아트르 폴스키 비엘스코-비야와 Theatr Polski Bielsko-Biała
5
무용 스푸마토 Sfumato
L’A.
6
무용 왓더바디 더즈낫 리멤버 What the Body Does Not Remember
울티마 베즈 Ultima Vez
7
복합장르 푄의 오후 L’apres-midi d’un Foehn
논노바 Non Nova
8
복합장르 소용돌이 Vortex
논노바 Non Nova
9
복합장르 축/언 Celebration/Expression
일본국제교류기금, 아오모리현립미술관 Aomori Museum of Art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숙영낭자전을 읽다 A ROMANCE
극단 모시는사람들
2
연극 인생 The Life
무브먼트 당당
3
연극 메디아 온 미디어 MEDEA on media
극단 성북동비둘기
4
연극 달집 Sheaf Burning
신주쿠양산박(스튜디오 반)
5
무용 존재의 전이 Matastasis of being
윤푸름 프로젝트 그룹
6
무용 인간의 리듬 Rhythm of human
앰비규어스 댄스컴퍼니
7
무용 꼭두질 Ggok Doo Jil
이혜경&이즈음 무용단
8
무용 몸의 탐구 Body Investigation
LDP무용단
9
무용 필리아 PHILIA
수미&성임
10
복합장르 로튼 애플 Rotten Apple
콜렉티브 A

부대행사 탭 내용 시작

개·폐막식 및
리셉션
1) 개막식
  • 일시 : 2013. 10. 2 (수) 7pm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1층 로비
  • 개막공연 : <빅토르 혹은 권좌의 아이들>
  • 참석인원 : (재)한국공연예술센터 박계배 이사장, 제롬 파스키에 주한프랑스 대사, 고지마 히로유키 일본국제교류기금 서울문화센터 소장, 연극계 관련 인사, 무용계 관련 인사, 일반 관객 등 350여명
2) 폐막식
  • 일시 : 2013. 10. 26 (토)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1층 로비
  • 폐막공연 : <왓더바디 더즈낫 리멤버>
  • 참석인원 : (재)한국공연예술센터 박계배 이사장, 유인화 사무국장 및 임직원, 연극/무용계 관련인사, 대사관 및 문화원 관계자, <크라임>출연진, <왓더바디 더즈낫 리멤버>출연진, 스파플 등 130여명
3) 리셉션 개·폐막식 리셉션 외 공연 일정별로 해외 아티스트와 국내 단체 및 스텝들 간에 네트워킹 할 수 있는 파티를 개최했다.
  • 일시 : 2013. 10. 4 (금) - 10. 21 (월) / 총 5회
  • 장소 : 씨어터카페(4회), 스튜디오 하늘(1회)
  • 참석인원 : 10. 4 (금) 프랑스, 미국, 국내 1개 단체 등 40여명
    10. 9 (수) 일본, 국내 4개 단체 등 70여명
    10. 13 (일) 프랑스, 국내 1개 단체 등 30여명
    10. 15 (화) 댄스컬렉션 참가자 및 심사위원 등 40여명
    10. 21 (월) 프랑스, 국내 4개 단체 등 60여명
제7회 서울 댄스
컬렉션 & 커넥션
(The 7th Seoul
Dance Collection
& Connection)
<서울댄스컬렉션>은 젊은 안무가를 발굴하고 육성하고자 마련된 안무 경연대회이다. 공연 형태로 진행되는 본선의 수상자에게는 '커넥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댄스커넥션은 해외진출과 협력의 기회를 부여하여 신진 안무가들에게 새로운 도전의 장이자,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고 뒷받침해주고 있다. 1) 컬렉션 ① 예선
  • 접수기간 : 2013. 4. 8 (월) ~ 5. 16 (목)
  • 접수현황 : 총 47개 팀
  • 심사발표 : 6. 13 (수)
  • 예선통과 : 총 9팀
② 본선
  • 대회기간 : 2013. 10. 11 (금) ~ 10. 15 (화)
  • 대회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 수상작품 : 김우진 <두 개 사이 Between the two>, 이상훈 <조각이야기 Story of Status>, 진병철 <공생 Symbiosisk>
  • 시상내역 : 해외 예술가와의 교류 기회 제공 등
2) 커넥션 서울댄스컬렉션의 수상자들에게는 '커넥션' 프로그램을 통해 장기 레지던시, 국제 교류 워크숍, 해외 페스티벌 참관의 기회를 부여한다. 또한, 해외 안무가와의 직접적인 교류와 실질적인 창작의 기회를 제공하여 향후 국제적인 안무가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한다. ① 커넥션 2014년 12월 현재 일정 협의 중이며, 확정된 사항은 추후 공개. ② 커넥션 공연 SPAF의 커넥션 파트너 중 요코하마 컬렉션EX의 수상자 시마다 타다시 Shimada Tadashi와 2012년 서울댄스컬렉션 수상자 김광민은 각각 서울과 요코하마 레지던시에서 체류하며 협업을 통해 합작품을 공연했다. 서울에서 먼저 선보였으며, 이를 수정, 보완하여 요코하마 무대에 올랐다. [서울 공연]
  • 공연일 : 10. 15 (화) 본선 마지막 순서
  • 작품명 : Memories
  • 안무&출연 : 김광민&시마다 타다시 Shimada Tadashi
[요코하마 공연]
  • 공연일 : 2014. 2. 14 (금) ~ 15 (토)
  • 작품명 : Seize the Day
  • 안무&출연 : 김광민&시마다 타다시 Shimada Tadashi
예술가와의 대화
공연종료 후 연출가/안무가, 기술감독, 배우 등이 관객들의 코멘트와 질문을 함께 나누는 시간이다. 올해는 기존에 해외초청작에만 국한되었던 것을 국내초청작까지 범위를 넓혀 진행하였다.
작품명 일시 장소 사회/통역
빅토르 혹은 권좌의 아이들 10. 3 (목) 8pm 공연 후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임수연/이지민
손택: 다시 태어나다 10. 4 (금) 8pm 공연 후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임수연/이보슬
리어왕 10. 9 (수) 3pm 공연 후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이혜정/이수연
존재의 전이/인간의 리듬 10. 9 (수) 4pm 공연 후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오선명
메디어 온 미디어 10. 11 (금) 8pm 공연 후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임수연
스푸마토 10. 12 (토) 6pm 공연 후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오선명/이지민
로튼애플 10. 18 (금) 8pm 공연 후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오선명
필리아 10. 19 (토) 4pm 공연 후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오선명
푄의오후/볼텍스 10. 19 (수) 7pm 공연 후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오선명/이지민
크라임 10. 23 (수) 8pm 공연 후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이제승/이상은
축/언 10. 25 (금) 8pm 공연 후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박근형/이시카와쥬리
더바디 더즈낫 리멤버 10. 25 (금) 8pm 공연 후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오선명/이상은
제2회 국제공연
예술전문가 심포지엄
공연장 근무자, 제작자, 전공자 등 공연예술전문가를 대상으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를 통해 국내 및 해외 공연예술단체의 제작 노하우 및 세계 예술계의 동향을 파악하고 동시대적 이슈를 함께 도출하는 담론을 형성함은 물론, 국내공연단체의 국제교류 및 해외진출을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했다.
  • 일시 : 2014. 10. 4 (금) - 10. 5 (토) 2일간
  • 장소 : 대학로 예술가의 집 다목적홀
  • 발제자 :
    - 엠마뉴엘 드마르씨-모타 / 떼아트르 드 라 빌 예술감독, 파리가을축제 예술감독
    - 마리안 윔즈 / 뉴욕 빌더스 어쏘시에이션 예술감독
    - 권호성 / 극단 모시는사람들 상임연출, 쇼앤라이프 대표
    - 차진엽 / 안무가, Collective A 대표
  • 세부일정 :
    [1일차_ 해외공연예술계의 현황 및 파리 떼아트르 드 라 빌의 프로그래밍 전략]
    세션 주제 발표
    1세션 14:00-15:00 국내 단체의 해외 공연 진출
    <숙영낭자전을 읽다> 2014 에딘버러 프린지 참가 케이스
    권호성
    15:00-15:30 Coffee Break
    2세션 15:30-18:00 떼아트르 드 라 빌의 프로그래밍 전략과
    엠마뉴엘 드마르씨-모타의 작품세계
    -<빅토르 혹은 권좌의 아이들>을 중심으로
    엠마뉴엘 드마르씨-모타
    20:00-21:30 <빅토르 혹은 권좌의 아이들> 관극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 [2일차_ 장르융합형 공연과 뉴욕 빌더스 어쏘시에이션의 작품세계]
    세션 주제 발표
    Coffee Break
    3세션 10:00-11:00 장르 융합형 공연 창작 <Rotten Apple> 차진엽
    4세션 11:00-13:00 Performance, Space & Technology
    빌더스 어쏘시에이션의 멀티미디어 퍼포먼스
    -<손택: 다시 태어나다>를 중심으로
    마리안 윔즈
    15:00-16:20 <손택: 다시 태어나다> 관극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울티마베즈
워크숍
벨기에 최고의 무용단인 울티마베즈의 레퍼토리를 습득할 수 있는 워크숍. 폐막작 <왓더바디 더즈낫 리멤버>를 중심으로 한 움직임을 통해 극적인 기술과 내적 표현력에 집중하는 시간을 가졌다.
  • 일시 : 2013. 10. 25 (금) - 10. 26 (토) 2일간 11:30~13:30
  • 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스튜디오 하늘
  • 강사 : 에두아르도 토레자(Edouardo Torroja) / 울티마 베즈 창단 멤버 및 조안무와 트레이너 역임
  • 세부일정 :
    일시 주제 인원
    10.25(금) 09:30-11:30 울티마 베즈의 기본 플로어 워크 및 왓더바디의 동작군Ⅰ 45명
    10.26(토) 09:30-11:30 울티마 베즈의 기본 플로어 워크 및 왓더바디의 동작군Ⅱ 45명
울티마베즈
/빔 반데키부스
2014 신작 오디션
2013년 울티마 베즈 신작을 위해 3개국의 수도인 리스본, 브뤼셀, 서울에서 개최된 국제 오디션으로, 서울의 경우 SPAF가 주관했다. 한국 무용수의 재능과 열정을 세계무대에서 펼칠 수 있는 흔하지 않은 도전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함께 했다.
  • 일시 : 2013. 10. 25 (금) - 10. 26(토) 2일간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스튜디오 다락
  • 오디션 선발 및 진행자 :
    - 빔 반데키부스(Wim Vandekeybus) / 울티마 베즈 안무가, 예술감독
    - 로라 아리스(Laura Aris) / 울티마 베즈 무용수, 오디션 시범 및 어시스던트
  • 지원방법 : 9. 16 (월) ~ 10. 13 (일)까지 영문이력서(소정양식), 프로필 사진 이메일 제출
  • 세부일정 :
    일시 내용 진행방식 인원
    1차 오디션 10.25(금) 11:30-18:00 웜업(걷기, 뛰기, 구르기),플로어 워크, 동작군 따라하기 1그룹당 25-27명 총6개 그룹 그룹별로 40-50분동안 진행 150명
    2차 오디션 10.26(토) 11:30-18:00 웜업, 2인무 위주의 따라하기, 즉흥무용, 즉흥표현 오전부터 오후까지 1차 선발된 27명 위주로 진행 27명
SPAF 에피타이저
& 디저트
SPAF의 올해 라인업 중에서 가장 기대를 모으고 있는 대작, 전방위적으로 이야기를 확장시킬 수 있는 화제작, 주목할 만한 아티스트 등 작품에 대해 보다 깊은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 하는 관객들을 위해 공연 관람 전 혹은 후에 제공되는 프로그램이다. 작품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과 담론으로 공연관람의 즐거움을 상승시키고자 마련한 시간으로, 해당 공연을 예매한 관객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행사명 일시장소 작품 진행자
SPAF 에피타이저 & 디저트 1 10.5 (토) 16:30-18:00 손택 : 다시 태어나다 (SONTAG : REBORN) 김연수(소설가)
SPAF 에피타이저 & 디저트 2 10.13 (일) 16:00-17:30 스푸마토(Sfumato) 전예완(미학/공연예술론)
SPAF 에피타이저 & 디저트 3 10.19 (토)17:30-18:30 로튼애플(Rotten Apple), 필리아(Philia) 제환정(칼럼니스트), 차진엽(로튼애플 안무가)
SPAF 에피타이저 & 디저트 4 10.23 (수) 18:00-19:00 크라임(Crime) 마르친 야코비(Marcin Jacoby, 아담 미츠키에비츠 문화원 아시아 프로젝트 팀장)
축제센터
10월 축제기간동안 대학로를 찾는 관객들에게 축제에 대해 알리고자 축제센터를 운영했다. 마로니에공원의 리모델링 공사가 완료됨에 따라 아르코예술극장 앞마당에 마련되었으며, 씨어터카페와 협력으로 주말에는 펍(pub) 형태로 운영되었다.
  • 운영기간 : 2014. 10. 2 (수) ~ 10. 26 (토) / 공연시간 기준으로 탄력 운영
  • 운영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앞마당
협력행사
1) 서울아트마켓(PAMS) SPAF기간 중 개최되는 서울아트마켓(PAMS)과 협력하여 해당 기간에 공연되는 작품들이 PAMS LINK에 참가했다. 이를 통해 국내외 공연 관계자들에게 작품을 선보임으로써 국내작품의 해외진출 기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팜스 링크 참가작]
장르 구분 작품명 극단/ 무용단
연극 국내 인생 무브먼트 당당
메디아 온 미디어 극단 성북동비둘기
해외 손택: 다시 태어나다 빌더스 어쏘시에이션
리어왕 도가 스즈키 컴퍼니
무용 국내 존재의 전이 윤푸름 프로젝트 그룹
인간의 리듬 엠비규어스 컴퍼니
해외 꼭두질 이혜경&이즈음 무용단
스푸마토 라 무용단
제10회 젊은 비평상
공연예술 작품 수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장르를 초월한 다양한 작품들과 표현방식의 다양화로 인해 보다 넓고 다양한 시각 확보의 중용성이 대두되고 있는 이 때, 젊은 시각과 견해를 펼칠 수 있는 계기를 마련코자 '젊은비평상' 공모를 진행했다. 예년까지는 '젊은비평가상'이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나, 본 경연에서의 수상이 전문 비평가로 바로 등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의미의 모호함을 줄이기 위하여 '젊은비평상'으로 올해부터 명칭을 변경하였다. 공모
  • 응모기간 : 10.28(월)~12.3(화)
  • 응모자격 : 공연예술 비평에 관심 있는 분 누구나 지원 가능
    이미 등단 혹은 활동 중인 작가/평론가는 제외
    과거 젊은 비평상 지원 경험이 있는 참가자도 지원 가능
  • 응모작품 : 2013년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참가작을 대상으로 한 비평
    다수 작품에 대한 비평도 가능
    원고 분량은 작품당 원고지 50매 내외 (A4용지 4-6매)
  • 응모결과 : 총 15편 (연극 7편, 무용 5편, 복합 4편)
결과
  • 발표 : 1. 24 (금) 홈페이지 공지 및 개별연락
  • 당선작 : 심사 결과, 당선작을 내지 않기로 함.
    - 가작 : 김태희 <숙영낭자전을 읽다, 손택 다시 태어나다>, 백두산 <인생>, 박다솔 <왓더바디 더즈낫 리멤버>
    (수상 혜택은 가작에 준하는 내용으로 일부 조정하여 진행)
2012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12.10.5 (금) ~ 10.27 (토)
  • 장소 아르코예술극장, 대학로예술극장, 동덕여대 공연예술센터,
    대학로 및 서울시내 일원
  • 주최/주관 (재)한국공연예술센터
  • 이사장 최치림
  • 예술감독 무용 안애순
  • 작품 12개국 27작품
    [장르] 융합양식의(Multi-disciplinary) 연극 9편, 무용 18편
    [국내외] SPAF 연혁 12편, 국내초청작품 15편
    [참가국] 네덜란드, 독일, 루마니아, 스위스,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일본, 핀란드, 폴란드, 프랑스, 한국, 호주
  • 관객집계 14,291명 / 총 객석점유율 79.17%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아)폴로니아 (A)pollonia
노비 극단 Nowy Theatre
2
연극 사랑을 끝내다 Cloture de l'amour
제느빌리에 극장 Gennevilliers Theatre
3
연극 오디세이리어왕 The Odyssey
오폴극장 Opole Theatre
4
연극 나, 로뎅 Eu, Rodin
라두스탕카 시비유 국립극단 The Radu Stanca National Theatre in Sibiu
5
무용 리볼버를 들어라 Get a Revolver
에코토피아 댄스 프로덕션 Ecotopia Dance Production
6
무용 커버 업 Cover Up
마마자 Mamaza
7
무용 에스카톤: 종말 Eskaton
콤파니아 루이자 코르테시 Compagnia, Luisa Cortesi
8
무용 우리사회의 민주적인 몸 Our Social Democratic Bodies
피지컬 컨템포러리 아트 Maija Hirvanen, Friends of Physical Contemporary Art
9
무용 소아페라 Soapera
몽펠리에 랑구독-루시옹 국립안무센터
10
무용 시로쿠로 シロクロ White&Black
nb프로젝트, 토모코 무카이야마 재단 nb projects, Tomoko Mukaiyama Foundation
11
무용 먼... Loin...
아소시아시옹 라 Association L’A
12
복합장르 거리에서 en route
원 스탭 엣 어 타임 라이크 디스 one step at a time like this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내가 그랬다고 너는 말하지 못한다 You Cannot Say I Did It
공연창작집단 뛰다
2
연극 베르나르다 Bernarda
극단 노뜰
3
연극 메디아 온 미디어 MEDEA on media
극단 성북동비둘기
4
연극 트루 러브 True Love
극단 작은신화
5
무용 Homework 18
제이케이 프로젝트
6
무용 생소한 몸 Raw Material
임지애
7
무용 접근-i Access-i
Um
8
무용 MARS
ett
9
무용 NOTHING for 60min
백호울&마티아스 에리안 Howool Baek&Matthias Erian
10
무용 내밀의 무한 Intimate Immensity
숨 무브먼트
11
무용 도시의 부재 The Absence of the City
댄스시어터 포피&후지야마 아네트 Dance Theatrea 4P&FujiyamaAnnette
12
무용 공감각적 대화 Synesthesia Dialog
주정민작업
13
무용 패턴: 벽 Pattern: WALL
모아트 MoArT
14
무용 침이 고인다 Salivate
뉴라인 New_line
15
무용 리셋 Reset
염하랑
16
복합장르 숨겨진 시간들 Immemorable times
유랑축제 Nomadic Festival

부대행사 탭 내용 시작

개·폐막식 및
리셉션
1) 개막식
  • 일시 : 2012. 10. 5 (금) 5pm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1층 로비
  • 개막공연 : 노비 극단 Nowy Theatre <(아)폴로니아 (A)pollonia>
  • 참석인원 : (재)한국공연예술센터 최치림 이사장, 문화체육관광부 곽영진 1차관, 권영빈 문화예술위원장, 연극계 관련인사, 주한 외국 대사관 및 외국 문화원, 일반관객 등 400여명
2) 폐막식
  • 일시 : 2012. 10. 27 (토)
  • 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1층 씨어터카페
  • 폐막공연 : <나, 로뎅 Eu, Rodin>
  • 참석인원 : (재)한국공연예술센터 최치림 이사장, 김영수 사무처장 및 임직원, 연극계 관련인사, 주한 외국 대사관 및 외국 문화원, <나, 로뎅 Eu, Rodin> 단체 등 100여명
3) 리셉션 공연 일정별로 해외 아티스트와 국내 단체 및 스텝들 간에 네트워킹 할 수 있는 파티를 마련했다. 독일문화원에서 1회 주최하였고, 축제 사무국 주최로 5회 진행하였다.
  • 일시 : 2012. 10. 6 (토) - 10. 23 (화) / 총 6회
  • 장소 : 스튜디오 하이(1회), 씨어터카페(5회)
  • 참석인원 : 10.6(토) 폴란드 단체 등 50명
    10. 7 (일) 독일 단체 등 40명
    10. 10 (수) 프랑스, 핀란드, 이탈리아, 국내 2개 단체 등 50명
    10. 15 (월) 폴란드, 국내 2개 단체 등 60명
    10. 18 (목) 일본, 댄스컬렉션, 국내 2개 단체 등 50명
    10. 23 (화) 프랑스, 국내 5개 단체 등 50명
제6회 서울 댄스
컬렉션 & 커넥션
(The 6th Seoul
Dance Collection
& Connection)
<서울댄스컬렉션>은 공정한 심사 과정과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심사평 공개를 통해 공신력 있는 신진 안무 경연 대회로 성장해왔다. 수상자에게는 해외 페스티벌 및 워크숍 참관, 레지던시, 쇼케이스 등을 지원하고, SPAF의 국내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장기적으로 작품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신진 안무가 육성을 지향하고 있다. 예선심사에서는 참가자의 학력과 경력을 공개하지 않고 서류와 영상만으로 평가하였으며, 특히 올해에는 서면심사 외에 추가로 인터뷰 심사를 진행하여 안무가의 의지와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1) 컬렉션 ① 예선
  • 접수기간 : 2012. 4. 16 (월) ~ 5. 25 (금)
  • 접수현황 : 총 47개 팀
  • 심사발표 : 7. 16 (월)
  • 예선통과 : 총 9팀
② 본선
  • 대회기간 : 2012. 10. 16 (화) ~ 10. 20 (토)
  • 대회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 수상작품 : 김광민 <사람 (너&나) Person (You&I)>, 손나예 <타임 스케쥴 Time Schedule>, 최명현 <시간은 무게다 Time is Weight>
  • 시상내역 : 해외 예술가와의 교류 기회 제공 등
2) 커넥션 서울댄스컬렉션의 수상자들에게는 커넥션 프로그램을 통해 장기 레지던시, 국제 교류 워크숍, 해외 페스티벌 참관의 기회를 부여한다. 해외 안무가와의 직접적인 교류와 실질적인 창작의 기회를 제공하여 향후 국제적인 안무가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한다. 지난 해 댄스컬렉션 수상자 세 명 중에서 두 명은 각각 독일과 프랑스로 해외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가하였으나 나머지 수상자는 군입대 문제 때문에 일본 파트너와의 협업은 다른 안무가에게 기회가 주어졌다. ① 커넥션 [커넥션1 (포츠담 탄츠 타게 워크샵 프로그램)]
  • 커넥션 파트너 : POTSDAMER TANZ TAGE workshop programe
  • 커넥션 국가 : 독일
  • 수상자 성명 : 곽고은
  • 수상작품명 : 성숙의 유형 The Form of Maturity
  • 커넥션 기간 : 2012년 5월 23일 (수) ~ 6월 3일 (일)
  • 커넥션 내용 : 국제 레지던시 워크숍
[커넥션2 (프랑스 캉 국립안무센터)]
  • 커넥션 파트너 : Centre Choregraphique National de Caen
  • 커넥션 국가 : 프랑스
  • 수상자 성명 : 황인영
  • 수상작품명 : Edge
  • 커넥션 기간 : 2012년 3월 11일 (일) ~ 31일 (토)
  • 커넥션 내용 : 국제 레지던시 워크숍 및 프레젠테이션
[커넥션3 (요코하마 댄스컬렉션)]
  • 커넥션 파트너 : Yokohama Dance Collection
  • 커넥션 국가 : 일본
  • 수상자 성명 : 황수현 (작년 댄스컬렉션 수상자 ‘임진호’의 군입대로인해 2012 한팩 라이징스타 선정자인 ‘황수현’으로 변경됨)
  • 커넥션 기간 : 2012년 1월 14일 (월) ~ 2월 16일 (토)
  • 커넥션 내용 : 요코하마댄스컬렉션 작년 수상자와 콜라보레이션 공연
② 커넥션 공연 오프닝 공연 (서울&프랑스 커넥션)
  • 작품명 : M.E.S ? 존재의 측정 (Measure the existence)
  • 안무자 : 소피 퀘논
  • 출연자 : 소피 퀘논 & 우정
클로징 공연 (서울&일본 커넥션)
  • 안무자 : 유리코 스즈키 & 황수현
  • 출연자 : 유리코 스즈키 & 황수현
예술가와의 대화
해외작품을 대상으로 공연 종료 후 공연의 연출가/안무가, 기술감독, 배우 등이 무대 위에 앉아 객석에 남은 관객들의 코멘트와 질문을 함께 나누는 시간이다. 관객들의 궁금증을 풀어주어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 예술가에게는 작품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이 되었다.
작품명 일시 장소 사회/통역
아폴로니아 10.06 (토) 3pm 공연 후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심재민/이상은
리볼버를 들어라 10.06 (토) 3pm 공연 후 동덕여대공연예술센터 노영덕/이상은
커버 업 10.06 (토) 6pm 공연 후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노영덕/이상은
사랑을 끝내다 10.09 (화) 8pm 공연 후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임선옥/김정은
우리 사회의 민주적인 몸/에스카톤 10.09 (화) 8pm 공연 후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강일중/이상은
소아페라 10.11 (목) 8pm 공연 후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오선명
거리에서 10.14 (일) 12:30pm 카페 바모스 김명화/이경후
오디세이 10.14 (수) 4pm 공연 후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김숙현/안경희
시로쿠로 10.17 (수) 8pm 공연 후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국은미
먼... 10.23 (화) 8pm 공연 후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오선명
나,로뎅 10.26 (금) 8pm 공연 후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최영주/이상은
뱅뉴메리크
디지털아트전시 및
국제학술세미나
디지털 최선진국인 우리나라의 기술력이 디지털 아트를 통해 콘텐츠로 연결될 수 있는 기회 마련하며, 설치작품 전시와 국제학술 세미나를 병행하여 융·복합 예술에 대한 공연예술계 및 시각예술계의 교류를 모색하고자 했다. ① 뱅뉴메리크 디지털아트 전시
  • 제목 : 소마 매핑II (Soma Mapping II)
  • 작가 : Zhan, Jia-Hua (국적 : 대만 Taiwan)
  • 장르 : interactive installation
  • 비고 : 뱅뉴메리크2012 비주얼아트부문 심사위원상
  • 전시기간 : 2012.10.5 ~ 17
  • 전시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로비
  • 작품내용 :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발전된 새로운 예술양식으로 육체의 이미지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관객과의 대화형 메커니즘으로 구성된 커뮤니티 인스톨레이션 작품
① 뱅뉴메리크 디지털아트 전시
  • 제목 : <융·복합예술, 뇌를 흔들다 - 공연, 미디어, 테크놀로지>
  • 일시 : 2012.10.17 (수) 15:00
  • 장소 : 예술가의 집 세미나실
이름 소속 국적 역할
Thomas Hahn 무용평론가 독일 발제
Dominique Roland 뱅뉴메리크 디렉터 프랑스 발제
Takao Norikoshi 무용평론가. 도쿄 트리비에날 댄스 심의위원 일본 토론
Yoshiko Swain 후쿠오카 댄스 프린지 페스티벌 디렉터 일본 토론
최해리 한국춤문화자료원 연구위원 한국 토론
SPAF 에피타이저
& 디저트
관객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공연 관람 전, 또는 관람 후에 아티스트와 관객이 작품에 대해 보다 확장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SPAF 초청작품 중에서 기대를 모으고 있는 대작 또는 전방위적으로 이야기를 확장시킬 수 있는 작품 등을 선정하여 담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진행자가 관객과 아티스트의 대화를 돕도록 구성되었다.
행사명 일시장소 작품 진행자 아티스트
SPAF 에피타이저 & 디저트 1 10/6 (토) 13:00 ~ 14:30 북+스테이지 아폴로니아 ((A)pollonia) 김소연 (평론가)
SPAF 에피타이저 & 디저트 2 10/10 (수) 21:00 ~ 22:30 북+스테이지 Homework18 & 생소한 몸 노영덕 (미학자) 정정아, 이경은, 임지애
SPAF 에피타이저 & 디저트 3 10/12 (금) 21:00 ~ 22:30 북+스테이지 소아페라(Soapera) 정순민(프로젝트 그룹 대표)
SPAF 에피타이저 & 디저트 4 10/20 (토) 20:00 ~ 21:30 북+스테이지 도시의 부재 노영덕 (미학자) 이주형, 네이하세가와
축제센터
10월 축제기간동안 대학로를 찾는 관객들에게 축제에 대해 알리고 기념품, 리플릿 등 축제관련 정보를 접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공연을 보러 온 관객들과의 소통의 장소를 마련하고자 축제센터를 운영하였다.
  • 운영기간 : 2012. 10. 5 (금) ~ 10. 27 (토) / 공연시간 기준으로 탄력 운영
  • 운영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1층 씨어터카페
협력행사
1) 서울아트마켓(PAMS) 부스참가 및 팜스 링크 SPAF 기간 중 개최되는 서울아트마켓(PAMS)과의 협력을 높여, 이 기간에 공연되는 국내작품 두 편의 티켓을 팜스 링크(PAMS Link)에 할인된 가격으로 내놓아 국내외 공연 관계자들에게 국내 작품을 선보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팜스 링크 참가작]
공연명 단체 안무
Homework 18 JK Project 이경은,정정아
생소한 몸 임지애 임지애
접근-i Um 김정은
MARS ett 노경애
2) 아트센터나비 협력전시 <We_Cloud> 모바일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인물에서 풍경까지)를 명시되어 있는 이메일 주소로 보내면 관객이 전송한 이미지가 스크린에 출력된다. 여러 사람들이 전송한 이미지들이 서로 만나 '행복_구름(We_Cloud)'을 만들게 되는 작품이다.
  • 작품명 : We_Cloud
  • 작가명 : Plan B (사운드 아티스트 류한길 / 미디어 아티스트 윤지현 /미디어 아티스트 김태윤/시스템 인터그레이션 오희환 / 프로그래밍 매니저 김일환 / 메인 프로그래머 주민형 /알고리즘 조진희 / 네트워킹 민경희
  • 설치공간 : 대학로예술극장 1층 씨어터카페
제9회 젊은 비평상
현대공연예술에서 새롭게 제기되는 경향과 가치들을 적극적으로 발견하고 평가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실시하게 되었다. 공모
  • 응모 기간 : 2012. 11. 5 (월) ~ 12. 7 (금)
  • 응모 자격 : 만 45세 이하. 연극, 무용, 음악 등 공연예술 장르의 비평에 관심 있는 자(과거 젊은비평가상 지원 경험이 있는 참가자도 지원 가능)
  • 응모 작품 : 2012년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참가작 중에서 특정 주제 또는 일부 작품을 다룬 비평 (다수 작품에 대한 비평도 가능)
    ※ 원고 분량은 원고지 50매 내외(A4 5장 내외)
  • 응모 결과 : 총 10편 (연극 3편, 무용 2편, 복합 2편, 무용&연극 3편)
결과
  • 당선작 : 심사 결과, 당선작을 내지 않기로 함.
    - 가작 : 이주영 / “사랑을 끝내다” (수상 혜택은 가작에 준하는 내용으로 일부 조정하여 진행)
2011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11.9.28 (수) ~ 10.31 (월)
  • 장소 아르코예술극장, 대학로예술극장, 서강대학교 메리홀, 서울역KTX
  • 주최/주관 (재)한국공연예술센터
  • 이사장 최치림
  • 예술감독 무용 안애순, 연극 서재형
  • 작품 8개국 37단체 37작품
    [장르] 무용 13개, 연극 12개, 복합장르 12개
    [공연형태] SPAF공동제작 작품 2편, SPAF 연혁 8편, 국내초청작품 27편
    [참가국] 한국, 콜롬비아, 아르메니아, 호주, 독일,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호주
  • 관객집계 19,490명 / 총 객석점유율 68.94%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홀리 이노센트: 기이한 파티 The Holy Innocents
마파 극단 MAPA Teatro
2
연극 갈매기 I AM SEAGULL
예레반 스테이트 극단 Yerevan State Youth Theatre
3
연극 작은 금속 물체 small metal objects
백투백 시어터 Back to Back Theatre
4
연극 바로 당신 눈앞에 Before Your Very Eyes
갑스쿼드, 캄포 Gob Squad, CAMPO
5
무용 메갈로폴리스 Megalopolis
도키팍 컴퍼니 Constanza Macras/DorkyPark
6
무용 프레스 Press
데르니에 미뉘트 컴퍼니 Compagnie dernier minute
7
무용 라 내추라: 사물의 본질 La Natura Delle Cose
비르질리오 시에니 컴퍼니 Compagina Virgilio Sieni
8
복합장르 시네마티크 Cinematique
아드리앙 엠/클레어 비 컴퍼니 Adrien M/Claire B Company
9
복합장르 히로시마-합천: 두 도시를 둘러싼 전람회(서울 Ver.) (Hiroshima-Hapcheon(Seoul.Ver)
서울국제공연예술제, 마레비토 시어터 컴퍼니 Marebito Theatre Company
10
복합장르 녹턴(공동제작/2011 SPAF 초연) Nocturne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서르카(CIRCA)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리어왕 King Lear
극단 숲
2
연극 비밀경찰 The Inspector
극단 동
3
연극 침입 Invasion
극단 유랑선
4
연극 타이터스 TITUS
극단 상상만발극장
5
연극 토스카 인 서울 Tosca in Seoul
극단 춘추
6
연극 예기치 않은 Unexpected
극단 놀땅
7
연극 화장(化粧) Makeup
극단 청맥
8
연극 스카펭의 간계 The Tricks of Scapin
극단 수레무대
9
무용 관계-빛이 바래다 Fade
백호울
10
무용 휴식 REST
이재영
11
무용 Worst Report
살롱드니나노
12
무용 길 위의 여자 Woman on the Street
가치 프로젝트 그룹
13
무용 불특정한 언어 Unspecific Language
ETT
14
무용 ”율” ? 律 Rule
툇마루 무용단
15
무용 저기요, 이거···.조낸 무거운데요. It’s…… GRAVITY AGAIN
TuuKdance™
16
무용 순간 Momentum
UBIN Dance
17
무용 살로메2011-for salome
김남식 & 댄스투룹-다
18
무용 댄스드라마-新 처용
Hong Dance Company
19
복합장르 IF
김선이프로젝트그룹
20
복합장르 에코 ECHO
무직테아터
21
복합장르 해결의 행동 Acts of Resolution
김성용 & 써니 킴
22
복합장르 무사 마마이 A Batyr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23
복합장르 더 라스트 월 THE LAST WALL
YJK댄스프로젝트
24
복합장르 시네도키, 노라 Synecdoche, Nora
DADASEBEAM
25
복합장르 기도 Pray
아이고 I go
26
복합장르 김,이,박의 고백 Confessions of Mr. Kim, Lee and Park
극단 우투리
27
복합장르 S.U.N Seon. Univesel. Numerique
남영호 무용단

부대행사 탭 내용 시작

개·폐막식
1) 개막식
  • 일시 : 2011. 9. 28 (수) 7pm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1층 로비
  • 개막공연 : <메갈로폴리스>
  • 참석인원 : (재)한국공연예술센터 최치림 이사장, 문화체육관광부 모철민 차관, 연극계 관련인사, 주한 외국 대사관 및 외국 문화원 등 150여명
2) <히로시마-합천(서울 ver.)> 오프닝 행사
  • 일시 : 2011. 10. 14 (금) 7pm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1층 로비
  • 참석 인원 : (재)한국공연예술센터 최치림 이사장, 일본국제교류기금 서울문화센터 혼다 오사무 소장, 야마사키 히로키 예술교류부장, 신승준 사? 업관리부장, 주한 일본대사관 타카라다 토시야, 마쓰다 마사타카 연출 등 30여명
3) 폐막식
  • 일시 : 2011. 10. 31 (월)
  • 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스튜디오 하이
  • 폐막공연 : <라 내추라: 사물의 본질>
  • 참석인원 : (재)한국공연예술센터 최치림 이사장, 김영수 사무처장, 및 임직원, 연극계 관련인사, 주한 외국 대사관 및 외국 문화원, 스텝서울 직원, <라 내추라> 단체 등 100여명
제5회 서울 댄스
컬렉션 & 커넥션
서울댄스컬렉션은 국내 유망 무용인들의 발굴은 물론 해외 진출과 협력에의 기회 증진, 나아가 세계로의 안목 제시 등의 지속적인 뒷받침을 목표로 한다. 또한 올해 가장 큰 특징이라면, 커넥션(Connection)이라는 이름으로 수상자들에 대한 해외 페스티벌 및 기관과 협력하여 사후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는 것이다. 2011년은 총 9팀이 최종 본선에 진출하였다. 1) 컬렉션 ① 예선
  • 접수기간 : 2011. 4. 14 (월) ~ 5. 27 (금)
  • 접수기간 : 2011. 4. 14 (월) ~ 5. 27 (금)
    비고) 해외팀 국가 현황 : 일본(2)
  • 참가자격 : 1편 이상 안무 작품을 발표한 안무가
  • 모집부문 : 솔로를 제외한 모든 형태(15분 내외 신작)
  • 제출자료 : 참가신청서 5부, 작품설명서 5부, 작품동영상 DVD 5개
  • 심사발표 : 6. 30(목)
  • 예선통과 : 총 9개팀
② 본선
  • 대회기간 : 2011. 10. 12 (수) ~ 10. 16 (일)
  • 대회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 수상작품 : 임진호 <I go>, 황인영 <Edge>, 곽고은 <성숙의 유형>
  • 시상내역 : 해외 예술가와의 교류 기회 제공 등
2) 커넥션 ① 일본 요코하마댄스컬렉션
  • 기간 : 9. 19(월)~10. 16(일)
  • 장소 : 홍은예술창작센터,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 대상 : 국내 - 제 4회 서울댄스컬렉션 최우수상 수상자 노경애, 무용수1인(정언진)
    해외 - 2009, 2010 요코하마댄스컬렉션 수상자 유미 오사나이
  • 공연 내용 : 처음에는 두 안무가가 하나의 작품을 창작하려 하였으나,
    제한된 시간 안에 두 안무가가 처음 만나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이 우선적으로 필요했다.
    결과적으로 <Two Aspects>라는 하나의 워킹 타이틀을 가지고,
    각각 15분씩 두 개의 작품을 창작하였다.
    유미 오사나이의 작품은 무용수 정언진의 솔로 무대로,
    뒤 이어 노경애의 작품은 유미와 정언진의 듀엣으로 꾸며졌다.
① 베를린 인터유니버시티 댄스 센터 & 파브릭 포츠담 극장/포츠다머 탄츠타게 페스티벌 2010년 국제워크숍을 통해 선발된 이재영, 박성율(3회 수상자들과 4회 수상팀 노경애, 이래경, 이희승, 정언지 총 6명이 인터유니버시티 댄스 센터 MA 학생들 7명과 다비드 브란드스태터(David Brandstatter)와 말번 게르베스(Malgven Gerbes)가 이끄는 “숫자세기(Counting)” 워크숍은 일주일간 연습을 거친 후에 마지막 날 관객들에게 결과물을 선보이는 인터랙티브 공연으로, 즉흥 안무와 순발력을 훈련하는 프로그램이다.
장소 기간 주요 일정
베를린 인터유니버시티 댄스 센터
(Inter-University Center for Dance Berlin)
5. 27(금)~6. 4(토) 9am-4pm 워크숍
6pm-7pm 13명 개인별 작품 발표
파브릭 포츠담 극장
(Fabric Potsdam)
5. 29(일) 2pm <또 다른 언어>(안무:노경애) 포츠다머 탄츠타게 페스티벌 공식 초청 공연
6. 4(토) 4pm 워크숍 결과 발표
베를린 우퍼 스튜디오
(Ufer Studio)
6. 5(일) 8pm 워크숍 결과 발표
예술가와의 대화
해외작품을 위주로 공연 종료 후 연출가, 배우 등과 관객들의 자유로운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였다. 관객들의 궁금증을 풀어주어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 예술가에게는 작품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이 되었다 [해외작품 CA 일정]
작품명 사회자 통역 일정 극장
메갈로폴리스 장은수 이미정 9.29(목) 8pm 공연 후 아르코예술극장 로비
홀리 이노센트 안치훈 박소영 10.3(월) 4pm 공연 후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갈매기 장성희 함영준 10.4(화) 8pm 공연 후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히로시마-합천 성기웅 성기웅 10.15(토) 4am 아르코예술극장 로비
작은 금속 물체 김남수 이경후 10.15(토) 7pm 공연 후 서울역 KTX
녹턴 최성희 이경후 10.17(월) 8pm 공연 후 서강대학교 메리홀
시네마티크 여운승 임재일 10.19(수) 8pm 공연 후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바로 당신 눈앞에 김미혜 이경후 10.30(토) 4pm 공연 후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프레스 강일중 임재일 10.30(일) 4pm 공연 후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국내작품 CA 일정]
작품명 일정 극장
비밀 경찰 10.11일(화) 8pm 공연 후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예기치 않은 10.22일(토) 7pm 공연 후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S.U.N. 10.24(월) 6pm 대학로예술극장 스튜디오 하이
순간 10.27(목)~29(토) 매회 공연 후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크쉬슈토프
가르바체브스키의
연기 워크숍
  • 일시 : 2011. 10. 11(화)~13(목) 1~6pm
  • 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5층 스튜디오 하이
  • 강사 : 크쉬슈토프 가르바체브스키(Krzysztof Garbaczewski)|통역: 안경희
  • 참가자 : 총 12명(극단 골목길 단원 8명, 현직배우 및 관련종사자 4명)
    강민지, 김민희, 김주헌, 심재현, 김광영, 김영성, 김혜연, 윤정일, 박지혜, 장홍석, 최성필, 이경아
  • 크쉬슈토프 가르바체브스키는 현재 가장 연극이 이슈가 되고 있는 폴란드에서 창조적이고 거침없는 새로운 스타일로 주목 받고 있는 젊은 연출가이다.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연출가는 폴란드와는 또 다른 한국배우들의 작업방식을 발견할 수 있었고, 배우들은 자신에 대해 깊이 사색하고 몰입하는 훈련을 할 수 있었다.
제8회 젊은 비평상
현대공연예술에서 새롭게 제기되는 경향과 가치들을 적극적으로 발견하고 평가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실시하게 되었다.
  • 공모기간 : 2011. 11. 7(월)~12. 2(금)
  • 응모 자격 : 만 40세 이하로 연극, 무용, 음악 등 공연예술 장르의 비평에 관심 있는 자로 지원 경험 있는 참가자도 지원 가능
  • 응모 작품 : 2011년 SPAF 참가작 중에서 특정 주제 또는 일부 작품을 다룬 비평(원고 분량은 원고지 50매 내외)
  • 결과 발표 : 2011.12. 2(수)
  • 시상 : 해외 페스티벌 참관 기본 경비 제공(총액 상한 적용)
    당선작은 계간「연극평론」(2012년 3월호, 한국연극평론가협회 발행)에 게재
    한국연극평론가협회 평론가 등단을 위한 “1차 심사 통과 자격” 부여
    한국공연예술센터 월간지 <HanPAC View>에 리뷰 게재 기회 제공
  • 당선작 : 정영경_인생은 죽음을 향한 역할놀이 <바로 당신의 눈앞에>, 이유라_인간과 연극, 존재의 자각 <바로 당신의 눈앞에>
축제센터
10월 한 달 동안 축제의 중심이 되는 대학로에 축제센터를 마련하여, 누구나 축제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대학로의 잠재 관객을 대상으로 홍보를 펼치며 예술가, 관객 모두가 소통할 수 있는 장이 되고자 하였다.
  • 운영기간 : 2011. 10. 2 (일) ~ 10. 31 (월) 2~10pm
  • 운영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1층
칼로막베스, 비밀경찰:
서울아트마켓(PAMS)
1) 칼로막베스(KILLBETH) 연출_고선웅/작_셰익스피어/단체_극공작소 마방진
2011.10.11(화) 8PM/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서울국제공연예술제와 극공작소마방진이 지난해 공동제작한 <칼로막베스>가 2011서울아트마켓의 팸스초이스에 선정되어 다시 한 번 서울국제공연예술제 무대에 섰다. 셰익스피어의 <멕베스>를 원작으로 한 신개념 무협 액션극 <칼로막베스>는 2010년 동아연극상 작품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올렸다. 2) 비밀경찰(The Inspector) 연출_강량원/단체_극단 동
2011.10.11(화).12(수).13(목) 8PM/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극단 동의 신체행동 연극과 창작국악그룹 불세출이 만드는 연극과 음악과 미술이 새로운 스타일로 만나는 실험적인 연극. 고골 <검찰관>의 시공간을 탈색시켜 미학적이고 창의적인 연기가 돋보이는 작품. SPAF 2011 국내 초청작이자 2011 팸스 초이스에 선정되었다.
헬로우 프로젝트:
아트센터 나비
<헬로우 프로젝트>는 아트센터 나비와 멜버른 대학교가 체결한 5개년 공동연구 협약 ‘공공 스크린과 초국가적 공공권 (Public Screens and the Transnational Public Sphere)’의 일환으로 제작된 행사이며, 한국-호주의 두 광장에서 공공 스크린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벌어지는 관객참여형 퍼포먼스이다.
  • 일시: 2011. 10. 7(금) 5:30~7:30pm
  • 장소: 대학로 아르코예술극장 야외마당
  • 안무: 박순호, 레베카 힐튼
  • 음악: DJ Soolee(+VJ JCUBE)
  • 주최: 아트센터 나비, 호주 멜버른 대학교 공동제작
  • 협력: 한국공연예술센터, 페더레이션 스퀘어, 호주 문예진흥원, 호주 시드니 대학교
  • 협찬: 호주연구위원회 연계프로젝트지원(Australian Research Council Linkage Project Grant), 호한재단(Australia-Korea Foundation)
결과
  • 당선작 : 심사 결과, 당선작을 내지 않기로 함.
    - 가작 : 이주영 / “사랑을 끝내다” (수상 혜택은 가작에 준하는 내용으로 일부 조정하여 진행)
서울아트마켓(PAMS)
부스
서울아트마켓은 쇼케이스, 부스 전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참가 국내외 공연 공연예술단체들을 홍보, 정보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SPAF가 협력 기관으로 참가하였으며 ‘한국공연예술센터’로 포함되어 부스 1개를 함께 운영하였다.
  • 운영 일시 : 2011. 10. 11(화)~13(목)
  • 운영 장소 : 국립극장
  • 주최 : 2011 서울아트마켓 추진위원회
  • 주관 : (재)예술경영지원센터, 국립극장
결과
  • 당선작 : 심사 결과, 당선작을 내지 않기로 함.
    - 가작 : 이주영 / “사랑을 끝내다” (수상 혜택은 가작에 준하는 내용으로 일부 조정하여 진행)
2010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10.10.2 (토) ~ 2010.11.14 (일)
  • 장소 대학로예술극장, 아르코예술극장, 예술의전당, 세종M씨어터, 남산예술센터, 서강대메리홀, 광화문광장, 여의도공원
  • 주최/주관 (재)한국공연예술센터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사무국
  • 대표 최치림
  • 예술감독 김철리
  • 작품 8개국 28단체 28작품
    [장르] 무용 18편, 연극 7편, 음악극 1편, 거리극 2편
    [공연형태] SPAF공동제작 작품 9편, SPAF 연혁 10편, 국내초청작품 9편
    [참가국] 한국, 러시아, 리투아니아, 벨기에, 프랑스, 스위스, 불가리아, 폴란드
  • 관객집계 15,509명(거리극 2편 제외)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몰리에르 단막극 시리즈 3 Comedies by Moliere
국립민중극장 Theatre National Populaire
2
연극 폭풍- 오스트로프스키의 스톰 The Storm
푸쉬킨 드라마 시어터 The Magnitogorsk Pushkin Drama Theatre
3
연극 바냐아저씨 Uncle Vanya
OKT/빌뉴스 시립 극단 OKT/ VILNIUS CITY THEATRE
4
연극 고골의 꿈 Oooo-The Dream of Gogol
스푸마토 실험극단 Theatre-Laboratory "SFUMATO
5
무용 드망-내일은... DEMAIN
미셸 누아레 컴퍼니 Compagnie Michele Noiret
6
무용 제발! Please
우나 프로젝트 OONA project
7
무용 쇼윈도 Showroomdummies
DACM 컴퍼니 The company DACM
8
무용 도시 발레 URBAN BALLET
레볼뤼시옹 Cie Revolution
9
거리극 돈키호테 Quixotage
극단 KTO Teatr KTO
10
거리극 새장 속 사람들 Caged Foam
일로토피 Ilotopie

공동제작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코뿔소 Rhinoceros
서울국제공연예술제, Theatre des Halles,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주프랑스한국문화원
2
연극 칼로막베스 KILLBETH
극공작소 마방진
3
연극 악령 The Possessed
극단 피악
4
무용 몸의 협주곡 Body Concerto
안성수 픽업그룹
5
무용 문워크 MoonWalk
김윤정 댄스프로젝트
6
무용 논쟁 an Argument
최상철 댄스프로젝트
7
무용 Being Involved 2010 Makeup
김원/Group Collaboration OR
8
무용 아 따블르 A table..
SEO 발레단
9
음악극 FRANCISCA
TIMF앙상블

10주년기념 특별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무용 2010 NEW BOLERO
김수정
2
무용 Transforming view_group work
인정주, 밝넝쿨
3
무용 빈 공空의 그림자 The Shadow of Emptiness
임선영
4
무용 9와 의자 9 and Chair
권령은
5
무용 일상을 위한 일상 Daily for Daily
이동원, 김준희
6
무용 A Time for Everything
이재영
7
무용 먼지코끼리 Dust Elephant
손명희
8
무용 내일의 어제 The Day after Yesterday
공영선, 박성현, 허효선
9
음악극 절실함에 대한 이야기 A Story about Desperation
박성율
2009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09.10.13 (화) ~ 11.21 (토), 40일간
  • 장소 아르코예술극장, 대학로예술극장, 예술의전당, 세종문화회관, 명동예술극장, 남산예술센터
  • 주최/주관 (재)서울국제공연예술제
  • 이사장 구자흥
  • 예술감독 김철리
  • 작품 12개국 40작품
    [장르] 무용 17편, 연극 18편, 복합장르 4편, 창극 1편
    [참가국] 한국, 일본, 중국, 프랑스, 캐나다, 헝가리, 폴란드, 호주, 노르웨이, 영국, 러시아, 이탈리아
  • 관객집계 21,180명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시라노 드 벨쥬락 Cyrano de Bergerac
도가 스즈키 극단 Suzuki Company of Toga
2
연극 도쿄노트 Tokyo Notes
청년단 Seinendan Theater Company
3
연극 선비와 망나니 秀才與?子手
상해화극예술센터 Shanghai Dramatic Arts Center
4
연극 체홉의 플라토노프 Paltonov
외르케니 이슈트반 시어터 The Orkeny Istvan Theatre
5
연극 옛날 옛적에 폴란드사람, 폴란드사람, 폴란드사람 그리고 악마가 있었네 Once upon a time there were POLE, POLE, POLE and devil
샤니아프스키 드라마 시어터 Szaniawski Drama Theatre in Wałbrzych
6
연극 모스크바. 사이코 MOSCOW. PSYCHO
모던 드라마 스쿨 School of Modern Drama
7
연극 세르쥬의 효과 L'Effet de Serge
비바리엄 스튜디오 Vivarium Studio
8
연극 햄릿-육신의 고요 AMLETO. Nella Carne il Silenzio
폰테데라 극단 Compagnia Laboratorio di Pontedera
9
무용 디에이지 The Age I'm In
포스 마주르 Force Majeure
10
무용 예스터데이 YESTERDAY
자스민 바르디몽 컴퍼니 Jasmin Vardimon Company
11
무용 축구예찬 A Dance Tribute to the Art of Football
요 스트롬그렌 컴퍼니 Jo Strømgren kompani
12
복합장르 불타는 산 Flaming Mountain
사천성천극원 Sichuan Opera Theater
13
복합장르 노만-노만 맥라렌을 위한 헌정 NORMAN- a Tribute to Norman McLaren
르미유.필론 4D art lemieux.pilon 4D art
14
복합장르 에코 Echos
컴퍼니 아크로노트 company ACRONOTE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다윈의 거북이
서울시극단
2
연극 철종13년의 셰익스피어
극단 미추
3
연극 청춘의 등짝을 때려라
극단 유랑선
4
연극 원전유서
연희단거리패
5
연극 도살장의 시간
극단 물리
6
연극 꿈의 연극
극단 드림플레이
7
연극 햄릿
극단 여행자
8
연극 테레즈라캥
극단 동
9
연극 너무 놀라지마라
극단 골목길
10
무용 It's my Life
LDP무용단
11
무용 다•툼
이혜경&이즈음
12
무용 심포카 바리-이승편
안은미 컴퍼니
13
무용 기억의 방
최상철 댄스 프로젝트
14
무용 FULL MOON
댄스씨어터 까두
15
무용 이것의 당신의 인생이다
유니버설 문화재단 소속 유니버설 발레Ⅱ
16
무용 화첩-공무도花
윤미라무용단
17
무용 눈감은 여우
권령은
18
무용 어떤 소리를 원하는가?
원 댄스 프로젝트 그룹
19
무용 저, 밖으로
이선아
20
무용 아리랑 아라리요-상사병
최경실 Spring Dance Theatre
21
무용
UBIN Dance
22
무용 미친 백조의 호수
댄스씨어터 창
23
무용 장미(봄의제전)&Mating Dance(볼레로)
안성수 픽업 그룹
24
복합장르 인형음악극-시간극장
극단 돌곶이
25
창극 로미오와 줄리엣 Romeo and Juliet
국립창극단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부대행사 탭 내용 시작

개막 행사
올해 SPAF 개막행사는 서울 연극도시 선언 및 2010 서울 씨어터 올림픽스 개최 선언식과 함께 거행되었다. 먼저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내에서 서울 연극도시 선언 및 2010 서울 씨어터 올림픽스 개최 선언식이 진행되었으며, 그 후 로비에서 2009서울국제공연예술제 개막행사가 진행되었다.
  • 일시 : 2009년 10월 19일(월) 오후 5시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및 로비
  • 참석인원 : 스즈키 다다시 씨어터 올림픽스 국제위원, 오세훈 서울특별시장,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오광수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 구자흥 이사장, 안호상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 백성희, 장민호 등 연극계 관련인사, 주한 외국 대사관 및 외국 문화원 등 400여명
  • 식순
    1부_서울 연극도시 선언 및 2010 서울 씨어터 올림픽스 개최 선언식
    특별공연 1 : 2인 마임극 <가난한 사람. 둘>
    '2010 서울 씨어터 올림픽스' 개최 추진 일정
    '2010 서울 씨어터 올림픽스' 소개
    서울 연극도시 선언 및 '2010 서울 씨어터 올림픽스' 개최 선언
    축하인사
    격려사
    '2010 서울 씨어터 올림픽스' 국내 참가작 선발 방식 발표
    특별공연 2 : 국립창극단 <로미오와 줄리엣> 하이라이트
  • 2부_2009서울국제공연예술제 개막행사
    인사말씀 : (재)서울국제공연예술제 구자흥 이사장
    주한 프랑스 문화원 로르 쿠드레로 문화원장
    주한 독일 문화원 라이문트 뵈르데만 문화원장
    건배 제의
    축하연주 : 퓨전국악팀 I M MUSIC
    리셉션
제3회 댄스 컬랙션
(The 3rd Seoul
Dance Collection)
국내외 초청작품을 대상으로 관객이 공연관람 후 느끼는 궁금증을 해결하고 공연예술의 깊이를 더할 수 있도록 마련되었다. 매 공연이 끝난 후 극장에서 관객과 예술가들이 자유롭게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관객들은 공연에서 미처 이해하지 못한 예술가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었다.
  • 일자 : 2009년 10월 22일(목) ~ 10월 23일(금) 20:00
  • 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젊은 무용인들의 예술표현 공간을 점차 세계로 넓힐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기획된 무용경연대회 ‘서울댄스컬렉션’은 국내 유망 무용인들의 발굴은 물론 해외 진출과 협력에의 기회 증진, 나아가 세계로의 안목 제시 등 이들에의 지속적인 뒷받침을 목표로 한다. 참가자들의 서류와 동영상 접수로 치러진 예선에 이어 SPAF 기간 중 본선 대회가 열렸으며, 기존의 ‘솔로 및 듀오’라는 참가자격이 ‘듀엣 및 트리오’로 변경되어 개최되었다. 1) 예선
  • 접수기간 : 2009년 4월 8일(수)~ 5월 29일(금) 오후 5시 (접수 마감일 소인까지 유효)
  • 접수 현황 : 총 53개 팀 (국내팀 51개, 해외팀 2개)
    비고) 해외팀 국가 현황 : 일본(2)
  • 참가자격 : 경력 10년 미만의 젊은 안무가/무용수
  • 참가부문 : 제한 없음 / 단, 듀엣 및 트리오만 참가가능 (15분 내외의 작품)
  • 제출서류 : 참가신청서 | 작품설명서 | 동영상 (15분 내외 기존작 혹은 신작)
    * 각 4부씩 제출
  • 심사위원 : 4인 : 김철리(예술감독), 심정민(무용평론가), 이진아(춤큐레이터),
    최병주(춤이론·오짜노미즈여자대학 박사)
  • 결과발표 : 총 10개 팀(전원 국내팀)
    7월 7일(화) 홈페이지 공고 및 개별 연락
2) 본선
  • 1차 미팅 : 8월 13일(수) 오후 2시
  • 작품관련 텍스트와 사진 수합(9월 11일) 및 기술협의서 수합(9월 18일)
  • 2차 미팅 : 10월 5일(월) 오후 2시 _ 공연 순서 고지 및 기술스텝 위주 미팅
수상자 시상내역
최우수상 <헤매고 찾고>
안무_공영선, 허효선/ 출연_공영선, 허효선, 박성현
- 2010년 해외 페스티벌 참관 지원
- 2010서울국제공연예술제 초청
<바벨>
안무_이재영 / 출연_이재영, 김지혜
우수상 <동행>
안무 및 출연_박성율, 김석중, 최재언
- 2010서울국제공연예술제 초청
<먼지코끼리>
안무_손명희 / 출연_손명희, 김동욱
제1회 액터스플렛폼
배우의 기본요소인 화술 및 발성 능력 그리고 인문학적 사고 함양을 통해 국내 연극인들의 연기력을 보다 향상시키는데 일조하고자 기획된 서울액터스플랫폼은 국내 연극인들의 잠재 가능성을 발굴하여 나아가 한국 공연예술이 세계로 확산되어 나가는 출발점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1회 서울액터스플랫폼은 내년(2010년), 서울국제공연예술제의 10주년을 맞이하여 진행되는 한·불 공동제작 작품 이오네스코의 <코뿔소> 캐스팅과 연계하여 진행되었다. 1) 예선 예선은 두 차례에 걸쳐 접수를 받았다. 예선 접수를 받는 과정에서 참가자격의 나이제한의 문제점과 제출 자료인 동영상 촬영의 어려움을 발견하여 개선하였고, 2010년 한·불 공동제작 작품 이오네스코의 <코뿔소> 캐스팅과 연계되면서 추가 접수를 진행하게 되었다. ① (1차) 예선 접수
  • 공동주최 : 명동예술극장
  • 접수기간 : 2009년 5월 4일(월) ~ 5월 29일(금)
  • 참가자격 : 만 21세 ~ 만 35세 (1973년 1월~1987년 12월 사이 출생자)
  • 참가부문 : 제한 없음 / 단, 듀엣 및 트리오만 참가가능 (15분 내외의 작품)
  • 제출자료 : - 참가신청서 5부
    - 동영상 5매
    (지정된 2종의 대본으로 촬영(Full shot/Waist shot))
  • 접수방법 : 우편 및 방문 접수
  • 지정대사 : 소설 <칼의 노래(김훈 작)> 1권 중
    ① Full shot ② Waist shot
  • 접수결과 : 13명
  • 1차 예선 심사위원 : 김철리(예술감독), 김정남(행정감독), 우상전(연극 자문위원)
  • 결과발표 : 13명 본선 진출
② 추가 예선 접수
  • 공동주최 : 명동예술극장, 아르코예술극장 ○ 후원 : 조선일보
  • 후원 : 조선일보
  • 접수기간 : ~ 2009년 10월 8일(목)
  • 참가자격 : 1988년 1월 1일 이전 출생자
  • 제출서류 : - 참가신청서 5부
  • 접수방법 : 우편 및 방문 접수
  • 지정대사 : 소설 <칼의 노래(김훈 작)> 1권 중 ① 남 ② 여
  • 접수결과 : 196명
  • 예선 일시 및 장소 : 2009년 10월 13일(화) 오전 9시 30분 ~ 오후 6시 /명동예술극장
  • 추가 예선 심사위원 : 5명 : 김정남(행정감독), 우상전(연극 자문위원),
    김종석(용인대 교수),박상하(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교수),
    Cathy Rapin(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총 5명
    * 불어통역자: SPAFLE 박지애
  • 예선 진행 일정
    그룹 시간 인원수
    1 9:30~ 49명
    2 11:30~ 48명
    3 14:00~ 51명
    4 16:00~ 48명
    - 사진촬영 : SPAFLE
    - 영상촬영 : 아르코예술정보관 자원활동가
  • 결과발표 : 24명(본선진출)
2) 본선
  • 본선 일시 및 장소 : 2009년 10월 23일(금) ~ 26일(월), 14시~18시 (4일 4시간)
    아르코예술극장 지하 연습실
  • 본선 진출 인원 : 1차 예선접수자 13명 + 추가 예선 통과자 24명 총 37명
  • 본선 심사위원 : [4명] 알랭티마르(Alain Timar-<코뿔소>연출자),
    김철리(예술감독), 김정남(행정감독), 성무량(국제팀장)
    * 불어통역자: 조의행
  • 본선 진행 일정
    일시 분류 내용 결과
    10월 23일(금) 개인 자유 독백 37명중 17명 통과
    10월 24일(토)
    10월 25일(일) 개인 희극,비극,
    무언극,노래
    17명중 8명 통과
    10월 26일(월) 그룹 워크샵 8명 중 6명 최종 합격
    추후 알랭 티마르 연출자의 검토와 기록을 위해 사진촬영과 영상촬영을 진행하였다.
    - 사진촬영 : SPAFLE
    - 영상촬영 : 직원 (아르코예술정보관의 협조로 6mm카메라로 진행)
  • 최종 결과 발표 : [6명] 김하준, 박선희, 염혜란, 우돈기, 이지현, 지춘성
예술가와의 대화
해외 초청작품을 대상으로 관객들이 공연 관람 후 가지는 궁금증을 해결하고 공연 예술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할 수 있도록 마련되었다. 공연 종료 후, 극장에서 관객과 예술가들이 자유롭게 토론하는 시간을 약 30분 정도 가졌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관객들에게 공연관람으로는 부족했던 예술가의 세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작품명 사회자 통역 일정 극장
도쿄노트
Tokyo Notes
김명화 성기웅 10월 19일(월)
20:00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노만 - 노만 맥라렌을 위한 헌정
NORMAN
노소영 이경후 10월 27일(화)
20:00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리체르카레
Ricercar
심재민 조의행 10월 30일(금)
20:00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디에이지
The Age I’m In
유인화 이경후 10월 31일(토)
15:00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예스터데이
Yesterday
심정민 이경후 11월 1일(일)
16:00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체홉의 <플라토노프(Platonov)>
Fatherlessness
이미원 이상동 11월 5일(목)
16:00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폴폴폴...
...POLE, POLE, POLE...
이선형 최소영 11월 6일(금)
20:00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모스크바. 사이코
MOSCOW. PSYCHO
이혜경 강경윤 11월 10일(화)
16:00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세르쥬의 효과
L'Effet de Serge
임선옥 조의행 11월 12일(목)
20:00
명동예술극장
햄릿-육신의 고요
AMLETO. Nella Carne il Silenzio
최영주 공선민 11월 15일(일)
19:00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축구예찬
A Dance Tribute to the Art of Football
김승현 김경진 11월 21일(토)
15:00
세종 M 씨어터
슈퍼노바. 복원
(Supernova.
Reconstruction)
2009 서울국제공연예술제 부대행사로 참가하게 된 폴란드 연극 <수퍼노바. 복원>은 크로코우 지역에서 가장 젊은 극단인 와지니아 노바에 의해 선보여졌다. 본 극단의 예술감독이자, 디바인 코미디 페스티벌의 감독인 바르토슈 쉬드오프스키는 2010년 공동제작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기 위해 올해 본 공연을 선보임으로써 국내 연극 관계인들에게 본 단체의 작품성향을 소개하고 성향이 비슷한 파트너를 찾고자 하였다.
  • 단체명 : 와지니아 노바 극단
    (Teatr Łaznia Nowa)
  • 공연일정 : 10월 28일 셋업
    10월 29일 총 1회 공연
  • 국적/장르 : 폴란드/연극
  • 공연개요 : 공연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초청인원 - 총 14명 (연출, 예술감독, 투어매니저, 기술스탭 4명, 배우 7명)
    자막 번역 - 고승희, 오퍼 : 최소영
마츠모토
유코(松本祐子)의
연기 워크숍
극단 미추, (사)한국연극배우협회와 공동으로 SPAF2009 초청 작품인 극단 미추의 철종 13년의 셰익스피어 연출자 마츠모토 유코(松本祐子)를 강사로 초빙하여 무료 연기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 강의 내용 및 일정 : 10월 24일 (토) 14:00 ~ 17:00 (3시간)
    장소 : 서울문화재단 연습실
    간단한 게임과 실습을 통해 <보고, 말하고, 생각하기>라는 연기의 기본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시간을 갖는다.이와 같은 워크샵의 기본 내용은 영국과 일본의 연극 학교 등에서 커리큘럼으로도 많이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프랑스 르꼭 시스템의 영향을 받아 구성된 것이다. 이밖에 <철종13년의 셰익스피어>중의 한 장면을 택하여 '장면 만들기'를 하였다. (장면 만들기에 사용할 대본 당일 배포)
  • 초청강사 : 마츠모토 유코(松本祐子)
  • 참가대상 : 한국연극배우협회 회원 외
  • 참가인원 : 백준무,서경식,신현승,송하미,안지혜,유가희,유은정,이성식,이정진, 이준영, 임세환, 정해욱, 최정우, 최현준, 하민희, 홍기용(이상 16인)
프세발로트 메이어홀드
(Vsevolod Meyerhold)
작품상영회 및 전시회
현대공연예술에서 새롭게 제기되는 경향과 가치들을 적극적으로 발견하고 평가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젊은 비평가상 행사가 5회로 개최되었다. 1) 목적 20세기 초 연극에서의 관객 참여를 시도한 러시아의 연출가 프세발로트 메이어홀드(Vsevolod Meyerhold)의 작품을 영상으로 상영하고, 그의 생애 및 작품세계를 엿볼 수 있는 짧은 강연회와 전시회가 선보여졌다. 2) 세부내용 ① 작품상영회
  • 일시 : 2009년 10월 21일(수), 22일(목) 14:00
    (관객수 : 21일 42명, 22일 51명)
  • 장소 : 아트센터 나비
  • 자료제공 : The Meyerhold Centre
  • 일정 :
    시간 내용 비고
    14:00~15:00 메이어홀드의 생애
    및 작품 세계 소개
    메이어홀드 센터 프로그램 감독 : Pavel Rudnev
    * 통역 : 김올가
    15:00~15:45 <검찰관>
    The Puzzles of General Inspector
    메이어홀드 대표작
    <검찰관>의 공연실황을 담은 다큐멘터리
    15:45~15:55 <생체역학 연기법>
    Biomechanics Training
    20세기 초의 연기법 영상과 최근에 재구성된 버전의 생체역학 연기법이 실린 짧은 필름.
② 전시회
  • 일시 : 2009년 10월 19일(월) ~ 11월 11일(수)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로비
  • 자료 제공 : A.A.Bakhrushin State Central Theatrical Museum
  • 메이어홀드 프로필 사진 뿐 아니라 고골의 <검찰관>, 에르트만의 <위임장>, 그리바예도프의 <지혜의 슬픔> 등과 같은 작품사진 30편.
자스민 바르디몽컴퍼니
(Jasmin Vardimon Company)
무용 워크숍
  • 일시 : 2009년 11월 1(일) 오전 10시 ~ 12시 30분
  • 장소 : 서울문화재단 대학로연습실
  • 강사 : Tim Casson, Luke Burrough회
  • 참가자 명단 : 국지인, 권양현, 김영재, 김예린, 김은경, 김은지, 김정선, 김정아, 문진학, 박혜선, 심가연, 양호식, 이혜민, 장혜진, 하미희, 한상률 (이상 16인)
  • <예스터데이>로 예술제를 찾은 자스민 바르디몽 컴퍼니의 무용수 Tim Casson, Luke Burrough가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전문무용수지원센터와 공동주최한 본 행사에는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신청자 10인과 전문무용수지원센터측 지원자 6명이 참여하였다. 행사 당일 지원자들은 워크숍 시작 30분전까지 집합하여 출석여부를 확인하고, 이용시설과 워크숍 세부 일정 등에 대한 안내를 받았다. 워크숍의 프로그램은 가벼운 워밍업 후 현대무용의 테크닉을 공유하고, 레퍼토리 소개 후 창작 세션으로 확장되었다. 프로그램 참가 무용수들에게 올해로 창단 10주년을 맞는 자스민 바르디몽 컴퍼니의 현대 사회이슈와 사람들의 행동양식을 연결시켜 우리 몸의 특징들을 살려내는 '바르디몽' 식의 독창적인 안무 스타일을 배울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되었다.
미셸 르미유(Michel Lemieux)의
미디어아트 워크숍
  • 일시 : 2009년 10월 23일(금) 19:00~21:00
  • 장소 및 협력: 아트센터 나비
  • 입장료 : 무료 (좌석이 한정되어 있어 선착순 접수)
미디어아트와 공연이 결합된 형식에 대한 자유로운 대화로 이루어진 본 워크숍은 약 80여명의 한국의 미디어아티스트들을 대상으로 아트센터 나비에서 이루어졌다. 서울국제공연예술제의 부대행사이자 아트센터 나비의 뉴씨어터 시리즈 중 하나였던 본 워크숍은 지금까지 작업해온 르미유의 작품 영상을 상영하고 이에 대한 설명 및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제12회
신작희곡페스티벌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한국연극연출가협회,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공동주최로 진행된 신작희곡페스티벌은 희곡공모를 통하여 선정된 작품으로 무대독회를 가졌다. 1) 희곡공모
  • 응모대상 : 극작에 관심 있는 모든 사람(기성작가 포함)
    * 공연이 가능한 희곡이면 출연 인원이나 형식, 공연시간상의 제약은 없습니다.
  • 응모작품 : 공연 가능한 미발표 창작희곡
  • 응모기간 : 2009년 8월 4일(화) ~ 9월 4일(금) 18:00까지.
  • 상금 : 편당 각 5백만원과 상패
  • 선정방법 : 신작희곡페스티벌 운영위원회에서 선정한 심사위원에 의하여 선정
  • 심사위원 : ① 노이정(연극평론가) ② 이진아(연극평론가)
  • 심사결과 : 총 95편중 2편 선정 (당선작 없는 가작)
2) 무대독회
  • 일시 : 2009년 10월 26일(월) 13:30~18:00
  • 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 작품 : <특별한 저녁식사>, 오혜원 作, 박장렬 연출, <두더지의 태양>, 최원종 作, 신동인 연출
제6회 젊은 비평가상
현대공연예술에서 새롭게 제기되는 경향과 가치들을 적극적으로 발견하고 평가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 공모기간 : 2009년 11월 16일(화) ~ 12월 11일(금), 마감일 18:00 도착분에 한함
  • 응모자격 : 만 40세 이하로 연극, 무용, 음악 등 공연예술 장르의 비평에 관심 있는 자.
  • 응모작품 : 2009년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참가작(SPAF 연혁 15작품 및 국내초청작품 25작품) 중에서 한 가지 주제를 다루며 두 작품 이상을 다룬 비평(타 장르간도 가능)/혹은 한 가지 작품을 다룬 비평. (원고지 50매 내외,A4 5장 분량)
  • 응모요령 : 공모 시 첫 장에 주소,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이름을 기재
    응모자격을 만 40세 이하로 제한하여 생년월일도 기재
    응모한 서류는 복사하여 5부 제출( 파일형식 포함)
    우편접수 및 방문접수 모두 가능
  • 심사 : 당선작은 장르에 구애됨이 없이 최고 3편까지 선정할 예정이며, 당선작이 없을 경우 가작을 내지 않음.
  • 시상 : 해외 유수 페스티벌 참관 1주일 항공료, 숙박비 제공
    당선작은 계간「연극평론」(2010년 봄호, 한국연극평론가협회 발행)에 게재
    한국연극평론가협회 평론가 등단을 위한 "1차 심사 통과 자격"이 주어진다.
  • 당선작 : 목정원 _ 인생의 효과 - <세르쥬의 효과>
    방혜진 _ 프레임을 통한 통합과 분리의 세 가지 사례
    : <노만>, <모스크바. 사이코>, <리체르카레>
    김민승 _ 리체르카레, 이미지와 거세된 언어, 그리고 지각의 문제
제6회 서울포럼 및
아시아공연
예술축제연맹(AAPAF)
총회
  • 일시 : 2009년 10월 22일(목) 09:00~12:00
  • 장소 : 서머셋팰리스호텔 세미나실
  • 주최 :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서울문화재단
  • 협력 : 통영국제음악제, 한국공연예술축제협의회
  • 협찬 : 서울관광마케팅(주) 컨벤션뷰로, 서머셋팰리스 호텔
<Future Collaboration>라는 주제로 구성된 이번 서울포럼은 AAPAF AGM 포럼과 함께 진행되었다. AAPAF(아시아공연예술축제연맹)은 아시아 축제들과 유사 기구들 간의 국제협력을 도모하고 아시아 축제 기구와 예술가의 개발과 홍보를 지원, 공동 제작의 기회를 만들고 촉진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설립된 단체로 서울국제공연예술제가 이사회 멤버로 소속되어 있다. AAPAF 총회는 한국에서 처음 열렸으며, 서울국제공연예술제와 서울문화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경기문화재단의 오세형 팀장과 안산거리극축제의 박상순 예술감독이 각각 <다원적 경향 수용을 시도하는 프로젝트-Monoon Project2009>, <한국에서의 공연예술축제간 네트웍 소고>라는 제목으로 발제를 담당하여 포럼의 구성을 더욱 풍성하게 했다.
연극<다윈의 거북이>
특강시리즈
① 특강 시리즈 국내초청작 연극<다윈의 거북이>는 스페인 현대극으로 올해 다윈 탄생 200주년과 다윈의 <종의 기원> 출판 15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된 작품이다. 해당 분야 최고의 전문가들의 특강을 통하여 연극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작품의 의미를 깊이 있게 살펴볼 수 있도록 관련 강사를 초빙하여 관객들을 대상으로 특강을 가졌다.
  • 시간 및 장소 : 17:00~18:30/세종M씨어터
일시 및 장소 주제 강사
특강1 10월 14일(수) <다윈의 거북이>작가 후안 마요르가의 작품세계 김재선 교수(<다윈의 거북이>번역가)
특강2 10월 15일(목) 다윈의 식탁: 진화론을 둘러싼 맛있는 논쟁 장대익 교수 (동덕여대)
특강3 10월 21일(수) 현대 스페인 연극 개관 임호준 교수
특강4 10월 22일(목) 스페인 황금시기의 연극유산 김선욱 교수
특강5 10월 28일(수) 진화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연극의 변화 박연숙 교수(숭실대 철학과)
② 후안 마요르가 초청 내한 특강
  • 일시 및 장소: 10월 13일(화) 17:00~18:30/세종 M씨어터
  • 강사 : 후안 마요르가 (통역: 김재선 교수)
피콜로 극단의
코메디아 델라르테
마스터 클래스
① 목적 이태리 밀라노에 소재하는 피콜로 극단을 초청하여 이탈리아만의 독특한 연기 기법인 코메디아 델라르테를 소개하는 3일의 워크숍이었다.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유행했던 이탈리아 전통 코미디 코메디아 델라르테에서 사용하는 독특한 몸짓과 말투, 기교를 직접 한국 배우들이 체험하는 시간이 되었다. ② 세부내용
  • 일시 : 2009년 11월 18일(수), 19일(목), 20일(금) (총 3일 18시간)
  • 장소 : 서강대학교 메리홀 소극장
  • 참가자 : 18일 강연회-40명, 19일-20명, 20일 시연회-30명
    (사전에 인터넷 접수를 받았으며, 참가자는 선착순으로 선별하였음)
  • 일정 :
    일정 시간 내용 강연자 (통역:조원정)
    11월 18일 10:00~11:00 특강 Ferrucio Soleri
    11:00~17:00 워크숍 Tommaso Minnit & Stefano Guizzi
    10월 19일 10:00~13:00 워크숍
    14:00~17:00 워크숍
    11월 20일 10:00~13:00 워크숍
    14:00~17:00 워크숍
    19:00 시연회 (러닝타임 : 1시간)
서울아트마켓(PAMS)
부스 운영
국내외 공연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두 모여, 공연단체는 자신들을 효과적으로 소개•홍보하고, 프리젠터는 다양한 한국 공연을 한눈에 보면서 원하는 작품을 선택해 갈 수 있는 작품 교류를 위한 자리에 올해도 SPAF가 협력기관으로 참가하였다. 올해는 '한국공연예술축제협의회' 부스를 회장인 SPAF가 책임지고, 총 2개의 부스를 제공받아 운영하였다. 총 83개의 부스 중 3층 로비에 2개의 부스가 나란히 자리하였다.
  • 운영일시 : 2009년 10월 13일(화)~10월 15일(목) 13:00~15:30
  • 운영장소 :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2~3층 로비
  • 주최 : 2009 서울아트마켓 추진위원회
  • 주관 : (재)예술경영지원센터, 국립극장
2008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08.9.18 (목) ~ 10.19 (일) (32일간)
  • 장소 아르코예술극장, 예술의전당, 세종문화회관, 서강대학교 메리홀, 드라마센터, 구 서울역사 등
  • 주최/주관 (사)서울국제공연예술제
  • 이사장 김정옥
  • 예술감독 김철리
  • 작품 13개국 39단체 총 38작품
    [장르] 무용 20편, 연극 14편, 복합장르 4편
    [참가국] 한국, 영국, 러시아, 칠레, 프랑스, 아르헨티나, 일본, 독일, 폴란드, 스페인, 미국, 호주, 아일랜드
  • 관객집계 22,842명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체홉의 '네바' NEVA
블랑꼬 극단극단 Teatro En El Blanco
2
연극 비련의 여인을 바라보는 스파이 Espia a una mujer que se mata
체홉 프로젝트 Proyecto Chejov
3
연극 어린 시절의 가스펠 Gospels of Childhood
극단 자르 Teatr ZAR
4
연극 바냐 아저씨 Uncle Vanya
타바코프 극단 Tabakov Theatre
5
연극 돈키호테 Don Quixotte
자크 부르고 Jacques Bourgaux
6
연극 오셀로 Othello
뮌헨 캄머슈필레 Munchner Kammerspiele
7
연극 잠자는 숲 속의 미녀 Sleeping Beauty
베스 모리슨 프로젝트 Beth Morrison Projects
8
무용 으으으음 Mmm…
마이클 클락 컴퍼니 Michael Clark Company
9
무용 기이이익 Geeeeek
베이비 큐 Baby-Q
10
무용 목신들의 오후 Faune(s)
올리비에 뒤부아 Olivier Dubois
11
무용 빠에야 믹스타 Paella Mixta
솔 피코 무용단 Sol Pico Cia de Danza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조선의 뒷골목 '이옥 이야기'
극단 연劇미
2
연극 벚꽃동산
극단 수
3
연극 염소 혹은 실비아는 누구인가?
극단 신기루 만화경
4
연극 두 메데아
극단 서울공장
5
연극 엘렉트라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아르코예술극장, 베세토연극제한국위원회, (재)무대예술연극인회의
6
연극 키스
극단 파티
7
무용 소녀와 죽음
UBIN댄스
8
무용 Moment
LDP무용단
9
무용 천사의 숨결
유니버설발레Ⅱ
10
무용 천축(天竺)
창무회
11
무용 갈라파고스
안애순무용단
12
무용 엘리베이터 살인사건
댄스씨어터 까두
13
무용 북천(北天)에 잠들다
오! 마이라이프 무브먼트 씨어터
14
무용 Dawn Chorus
김수정
15
무용 Ice or Water
홍's 댄스 컴퍼니
16
무용 Fluide
SEO발레단
17
복합장르 잃어버린 풍경들
극단 우투리, 극단 NYID
18
복합장르 돈키호테 - 인간적 열정
극단 몸꼴
19
복합장르 사운드 뮤지컬 '행복한 왕자'
극단 코러스
20
복합장르 광기의 역사
4관객 프로덕션

부대행사 탭 내용 시작

축제센터
'기억, 추억에 관한 기록' 지금까지 서울국제공연예술제가 걸어온 길을 추억해보고, 올해의 축제가 오기까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시간을 마련
  • 일정 : 축제기간 전 8월 15일(금)~9월 17일(수) _ SPAF를 알아가는 소개의 장
    축제기간 중 9월 18일(목)~10월 19일(일) _ SPAF2008과의 만남의 장
  • 장소 : 서울연극센터
  • 구성 :
    기록으로 추억하다
    SPAF의 지난 작품 중, 다시 보고 싶은 작품을 접수 받은 후 서울연극센터 회의실 및 로비에서 상영회를 개최. 관람의 기회와 더불어 다양한 이벤트 선물을 제공
    [첫 상영 : 8월 30일 2006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개막작 '정화된 자들(폴란드)']

    기억을 남기다
    공연예술에 관심을 가지고 소통하려는 많은 사람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안내데스크에서 관객의 소리를 들어보는 기회를 마련. 설문조사와 병행하여 진행

    에릭 부데 사진 전시회: 9월 23일~10월 5일

    홍보부스 운영
    서울연극센터 1층에 홍보부스를 마련, 국 영문 리플렛 포함 프로그램 및 2008서울국제공연예술제의 작품 안내는 물론 젊은 비평가상 등 다양한 부대행사들을 홍보할 수 있는 공간 마련
예술가와의 대화
(Conversation wit Artists)
국내외 초청작품을 대상으로 관객이 공연관람 후 느끼는 궁금증을 해결하고 공연예술의 깊이를 더할 수 있도록 마련되었다. 매 공연이 끝난 후 극장에서 관객과 예술가들이 자유롭게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관객들은 공연에서 미처 이해하지 못한 예술가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었다.
작품명 사회 통역 일정 공연장
체홉의 '네바'(NEVA) 김선욱 김재선 9월 19일(금)
20:00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비련의 여인을 바라보는 스파이 이진아 박소영 9월 27일(토)
16:00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으으으음(Mmm...) 김승현 김철승 9월 28일(일)
19:00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기이이익 (Geeeeek) 심정민 이홍이 10월 3일(금)
16:00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어린 시절의 가스펠
(Gospels of Childhood)
권경희 김철승 10월 3일(금)
20:00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바냐 아저씨 (Uncle Vanya) 전정옥 올가 10월 4일(토)
16:00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목신들의 오후(Faune(s)) 허명진 이경후 10월 6일(월)
20:00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돈키호테 (Don Quixotte) 노이정 정현주 10월 8일(수)
20:00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오셀로 (Othello) 심재민 이단비 10월 11일(토)
16:00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빠에야 믹스타(Paella Mixta) 김경애 박소영 10월 18일(토)
18:00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잠자는 숲 속의 미녀
(Sleeping Beauty)
김숙현 김철승 10월 18일(토)
16:00
서강대학교
메리홀
장애인과 함께하는
하모니카연주회
'제7회 하늘연달
소리모꼬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국내 하모니카 동호인들의 합동 행사. 1부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합주, 2부는 클래식, 재즈, 보사노바 등 다양한 장르의 곡들이 전문 뮤지션의 연주로 이루어졌다.
  • 일시 : 2008년 9월 30일(화) 19:30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 가격 : 로얄석 4만원, 일반석 2만원
  • 주관 : 전문예술법인 (사)대한하모니카협회
에릭 부데(Eric Boudet)
사진워크숍
프랑스, 독일, 튀니지 등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무용공연전문사진가 에릭 부데를 초청해 이론 강의 및 촬영실습을 갖고 이를 토론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사진워크숍이 3차례 진행되었다.
Part1. 이론강의 Part2. 촬영실습 Part3. 포토샵 사진 보정
a. 공연촬영
-공연촬영 시 주의할 점
-소음 없는 촬영을 위한 장비 준비방법
b. 장비와 기술
-카메라 최소 필요장비
-카메라 세팅
-공연촬영 시 여러 조명환경에 따른 촬영기술
a. 리허설 자유 촬영
b. Part1에서 학습한 것을 이용한 실습
a. Adobe Photoshop CS3 기본강의
b. Raw 이미지 작업
c. 이미지 편집
d. 현상 시 주의할 점
제11회
신작희곡페스티벌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한국연극연출가협회,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공동주최로 진행된 신작희곡페스티벌은 희곡공모를 통하여 선정된 작품으로 무대독회를 가졌다.
  • 응모대상 : 극작에 관심있는 모든 사람(기성작가 포함)
    * 공연 가능한 미발표 창작 희곡-공연이 가능한 희곡이면 희곡 인원이나 형식, 공연시간상의 제약은 없음.
  • 응모작품 : 공연 가능한 미발표 창작희곡
  • 응모기간 : 2008년 7월 7일(월) ~ 8월 8일(금)
    18:00까지.
    방문접수 또는 우편접수
  • 응모기간 : 2008년 7월 7일(월) ~ 8월 8일(금)
    18:00까지.
    방문접수 또는 우편접수
  • 선정방법 : 신작희곡페스티벌 운영위원회에서 선정한 심사위원에 의하여 선정(9월 1일 발표)
  • 심사위원 : ①박정희(연출가, 극단 풍경 대표)
    ②조만수(평론가)
    ③고연옥(작가)
  • 심사결과 : 총 67편중 2편 선정
    안재승 <누가 무하마드 알리의 관자놀이에 미사일 펀치를 꽂았는가?>
    김철영 <오만스럽게, 완벽하도록>
  • 무대독회 : 2008년 9월 23일(화) ~ 24일(수) 18:00/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상자무대 2
    당선작 중 한 편을 선정하여 차년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국내 초청작으로 상연될 자격을 부여함. 단, 적합한 작품이 없을 경우 선정하지 않음.
    당선작은 희곡집으로 제작됨.
제2회 서울 댄스
컬렉션 (The 2nd Seoul
Dance Collection)
젊은 무용인들의 예술표현 공간을 점차 세계로 넓힐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작년에 이어 2회째로 개최된 서울댄스컬렉션은 국내외 유망 무용인들의 발굴은 물론 해외 진출과 협력에의 기회 증진, 나아가 세계로의 안목 제시 등 이들에의 지속적인 뒷받침을 목표로 한다. 참가자들의 서류와 동영상 접수로 치러진 예선에 이어 SPAF 기간 중 본선 무대가 열렸다. 예선
  • 접수기간 : 2008년 6월 2일(월) ~ 7월 4일(금)
  • 참가자격 : 경력 10년 미만의 젊은 안무가/무용수
  • 참가부문 : 제한 없음 / 단 솔로 및 듀엣 만 참가가능 (15분 내외의 작품)
  • 제출서류 : 참가신청서 | 작품설명서 | 동영상 (15분 내외 기존작 혹은 신작)
  • 결과발표 : 총 10개 팀(국내팀 8개, 해외팀 2개_이스라엘, 헝가리)
본선
  • 기간 : 2008년 9월 30일 (화) ~ 10월 1일 (수) 20:00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수
  • 시상 :
    수상자 시상내역
    최우수상 이동원, 김준희 (공동안무) 해외 페스티벌 참관 지원
    권령은(안무 및 출연), 김보람(출연) 2009서울국제공연예술제 초청
    우수상 이문석, 최기섭 (공동안무) 2009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초청
제5회 젊은 비평가상
현대공연예술에서 새롭게 제기되는 경향과 가치들을 적극적으로 발견하고 평가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젊은 비평가상 행사가 5회로 개최되었다.
  • 공모기간 : 2008년 10월 1일(수)~11월 10일(월), 11월 10일(월) 18:00 도착분에 한함
  • 응모자격 : 만 40세 이하로 연극, 무용, 음악 등 공연예술 비평에 관심이 있는 자
  • 응모작품 : 2008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참가작(SPAF 연혁 11작품 및 국내초청작품 27작품)중에서 한가지 주제를 다루며 두 작품 이상을 다룬 비평(타 장르간도 가능)/혹은 한 가지 작품을 다룬 비평
    (원고지 50매 내외, A4 5장 분량)
    ** 단, 기존에 발표된 작품은 참가자격 없음 **
  • 응모요령 : 공모 시 첫 장에 주소,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이름을 기재
    응모자격을 만 40세 이하로 제한하여 생년월일도 기재
    응모한 서류는 복사하여 5부 제출, 파일형식도 함께 제출
    우편접수와 방문접수 모두 가능
  • 심사 : 당선작은 장르를 가리지 않고 최고 3편까지 선정 예정이며, 당선작이 없을 경우 가작을 내지 않음.
  • 시상 : 해외페스티벌 참관기회 제공 (항공료 및 1주일 숙박비 지원)
    당선작은 월간 <한국연극> 2009년 1월호, 계간 <연극평론> 2009년 3월호 게재 예정.
  • 당선작 : 임형진 - <음악의 바다에 부유하는 셰익스피어의 몸>
예지 그로토프스키
(Jerzy Grotowski)
강연과 작품상영회
및 전시회
① 목적 세계적인 연출가 예지 그로토프스키의 작품을 사진과 영상을 통해 볼 수 있는 기회 마련. 폴란드의 그로토프스키 협회에서 주관하는 작품에 대한 강연과 그의 대표작품인 <불굴의 왕자(The Constant Prince)>(1965), <아크로폴리스(Akropolis)>(1962)의 상영을 통해 '가난한 연극'으로 대변되는 그로토프스키의 연극관을 엿볼 수 있었다. ② 그로토프스키 작품 강연 및 상영회
  • 장소 : 예술의 전당 內 아르코예술정보관 세미나실
  • 가격 : 회당 5,000원
  • 강연자 : 그로토프스키협회 프로그램디렉터 그제고쉬 지우코프스키 (Grzegorz Ziołkowski)
  • 강연 및 상영회 일정
    10/2(목) 내용(작품) 비고
    15:00~16:30 '그로토프스키의 연극관과 작품' 강연자: Grzegorz Ziołkowski
    (영어통역 제공)
    16:30~16:45 휴식 15분
    16:45~17:45 불굴의 왕자
    The Constant Prince, 1965
    60분, 영어자막 제공
    10/3(금) 내용(작품) 비고
    15:00~16:30 '그로토프스키의 연극관과 작품' 강연자: Grzegorz Ziołkowski
    (영어통역 제공)
    16:30~16:45 휴식 15분
    16:45~17:45 아크로폴리스
    Akropolis, 1962
    60분, 자막 없음
    (시놉 참조)
③ 그로토프스키 전시회 그로토프스키가 연출한 공연의 포스터 및 일러스트, 디자인스케치 17점, 공연사진 13점 등 총 30점으로 구성되었으며 무료전시
  • 기간 : 2008.9.18~10.12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로비
We, 5+1
공연제목과 동일한 단체명을 가진 'We, 5 + 1'에서 준비한 국악과 양악의 크로스오버 공연이다. 기타, 피아노, 드럼과 아쟁, 가야금, 25현 등의 환상적인 어우러짐을 선보였으며, 시, 소리, 춤의 만남과 창작 국악연주 등으로 구성되었다.
  • 일시 : 2008년 10월 7일(화) 20:00
  • 장소 :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 장소 :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협력행사]
서울아트마켓(PAMS)
부스 운영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기간에 개최되는 서울아트마켓(PAMS) 부스전시. 해외 디렉터 및 국내공연관계자와 명함을 교환하고 리플렛 및 프로그램이 비치되었다.
  • 운영시간 : 2008년 10월 8일(수) 13:00~15:30, 10월 9일(목) 10:00~15:30
  • 운영장소 : 세종문화회관 세종홀
  • 주최 : 2008서울아트마켓추진위원회
  • 주관 :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세종문화회관
제5회 서울포럼
(The 5th Seoul Forum)
2008년 제 5회 서울포럼은 제동 없이 우후죽순으로 늘어나고 있는 한국 공연예술축제의 현주소를 축제관계자 내부의 평가에서 그치지 않고, 외부의 시각으로 정확히 바라보아 다시 한 번 점검하고 재정비할 수 있는 자리를 갖고자 마련되었다.
  • 일시 : 10월 13일(월), 14:00~16:30
  • 장소 : 서울연극센터 1층
  • 공동 주최 : 서울국제공연예술제, 한국공연예술축제협의회
주제 한국 공연예술축제 재점검
사회 이승엽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교수)
1부 14:00-14:40 류정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책기획팀장) 한국 공연예술축제의 현황 및 역할과 기능
응모요령 이용관 (한국예술경영연구소장) 조직측면에서 바라보는 공연예술축제
휴식 14:40-15:00
2부 15:00-15:40 추미경 (다움문화예술기획연구회 상임이사) 지역 공연예술축제의 살아남기
윤성진 (안양대학교 공연예술학과 겸임교수) 공연예술축제의 부대프로그램 활성화 방안과 필요성
토론 15:40-16:20
자크 부르고(Jacques Bourgaux) <변신이야기> 프리젠테이션 16:20-16:30
핑팽퐁:
노리단 에피소드 5
생태주의 퍼포먼스 그룹 노리단의 <핑팽퐁>은 상처받기 쉬운 순수한 영혼의 아이와 불완전한 인간들이 음악과 몸짓을 통해 저마다의 개성과 상생을 찾는다는 메시지를 독특한 쇼로 전하고 있다. <핑팽퐁>은 배우/퍼포머들이 연주하는 라이브 음악을 바탕으로 신체극, 물체극, 춤극, 서커스 등을 넘나드는 유쾌한 향연이었다. 산업자재로 만든 악기 기계들과 퍼커션, 꽹과리, 몸짓 등이 한데 어우러져 치유와 신명의 축제를 선사하였다.
  • 일시 : 2008년 10월 15일(수) 20:00
  • 장소 :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 가격 : 돌봄권 3만원, 배려권 2만원
  • 기획, 연출 : 노리단
2007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07.9.20 (목) ~ 10.14 (일) (25일간)
  • 장소 아르코예술극장,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서강대학교 메리홀, 드라마센터,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정동극장, 마로니에공원, 청계천 등
  • 이사장 김정옥
  • 예술감독 김철리
  • 작품 16개국 35개 단체 39개 작품
  • 관객집계 30,000명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아라비안 나이트 Arabian Night
퍼포머스 앳 워크 Performance at Work
2
연극 롱라이프 Long Life
뉴 리가 극단 New Riga theatre
3
연극 미친 밤 Delirium
플라즈마 극단 PLASMA
4
연극 서울의 비 Rain in Seoul
아오모리현립일한연극교류실행위원회/극단 골목길 Golmokgil Theatre, Aomori Executive Committee for Theatrical Exchange between Japan and Korea
5
연극 웨이팅룸 Waiting Room
팜 인 더 케이브 Farm in the Cave
6
연극 돈키호테 Don Quixotte
자크 부르고 Jacques Bourgaux
7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 Death of a Salesmam
베를린 샤우뷔네 극단 Schaubuhne am Lehniner Platz
8
연극 라두 스탄카 극단 National Theatre "Radu Stanca" Sibiu
고도를 기다리며 Waiting for Godot
9
연극 비극의 여인들 Performing women
제작단체: 일본국제교류기금 Planned and Produced by The Japan Foundation
10
무용 백색의 방 Chambre Blanche
미셸 누아레 컴퍼니 Cie Michele Noiret
11
무용 마파 & 자크의 방 MAPA & Les Chambres des Jacques
몬트리올 재즈발레단 BJM danse
12
무용 두개의 시선 Double vision
루베 노르-파 드 칼레 국립 안무센터 Cie Carolyn Carlson/CCN de Roubaix
13
무용 그 때 그 시간 At This Point
남정호 무용단
14
무용 쉐이커 Shaker
인발 핀토 댄스 컴퍼니 Inbal Pinto Dance Company
15
무용 올리비에 뒤부아 Olivier Dubois
지상의 모든 금을 위하여 Pour tout l'or du monde
16
무용 멜트 Melt
루시 게랭 컴퍼니 Lucy Guerin Inc.
17
야외공연 인 네이처 In 人 Nature
체인지 페이시스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체 게바라
나무닭움직임연구소
2
연극
극단 물리
3
연극 장님들
사다리움직임연구소
4
연극 홍동지 놀이
극단 우투리
5
연극 피의 결혼
연희단 거리패
6
무용 밤부,밤부! / 그윽한 향기 난-눈을 감으면 / 마이너스 세븐
유니버설 발레단Ⅱ
7
무용 돌아온 퍼즐속의 기억 / 로미오와 유령 줄리엣
댄스씨어터 까두
8
무용 뉴 볼레로
SEO 발레단
9
무용 서울발레시어터
마스크
10
무용 사막열
UBIN Dance
11
무용 마띠에르, 마띠에르 그리고 마띠에르...
남영호 무용단
12
무용 2007'수류
강혜련 댄스프로젝트
13
무용 베케트의 방
YJK 댄스프로젝트
14
무용 가지마세요
묻지마세요
전미숙 무용단
15
음악극 입센 인 뮤직
한국페스티벌앙상블
16
음악극 로즈
TIMF 앙상블
17
음악극 물을 찾아서
음악극집단 바람곶

부대행사 탭 내용 시작

서울포럼
'기억, 추억에 관한 기록' 2007년 4회 '서울포럼'은 축제 기간 동안 마련되는 공연예술 관계자들의 만남의 장으로써, 세계 페스티벌 관계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네트워킹에 대한 논의와 함께 그 간의 성과를 점검해 보는 것은 물론 해외 유수 페스티벌의 현황을 나누는 자리이기도 하다.
  • 주제 : 세계 주요 페스티벌 살펴보기
  • 일시 : 10월 8일 (월), 오후 2시-5시
  • 장소 : 두산아트센터 소극장 (SPACE 111)
  • 공동주최 :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공연예술축제협의회
  • 발제자 : 박상순(수원화성국제연극제 예술감독), 김철리(서울국제공연예술제 예술감독), 임수택(과천한마당축제 예술감독), 인재진(자라섬 재즈페스티벌 집행위원장)
제1회 서울 댄스
컬렉션(The 1st
Seoul Dance
Collection)
국내외 젊은 무용인들의 예술 표현 공간을 점차 세계로 넓힐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개최되었을 뿐 아니라 국내외의 유망한 젊은 무용수가 해외 무용수와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리고 무용에 대한 안목을 세계로 넓힐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선
  • 접수기간 : 2007년 7월 2일 - 8월 3일
  • 참가자격 : 경력 10년 미만의 젊은 안무가/무용수
  • 참가부문 : 제한 없음 / 단 솔로 및 듀엣 만 참가가능 (15분 내외의 작품)
  • 제출서류 : 참가신청서, 작품설명서,15분 이내의 작품 동영상이 담긴 cd 또는dvd 사본
  • 발표 : 총 10개 작품, 8월 17일(홈페이지 공고)
본선
  • 기간 : 2007년 10월 10일(수) ~ 10월 11일(목) 오후 8시 1일, 5개 작품 연속공연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 시상 :
수상자 시상내역
박영준, 인정주(듀오) 2008 해외페스티벌(아비뇽페스티벌 또는 몽펠리에 페스티벌) 참가(항공료 및 숙박비 전액 지원(1주일)
임혜리(솔로) 2008서울국제공연예술제 참가
김수정, 김준기(듀오) 2008서울국제공연예술제 참가
예술가와의 대화
작품명 일정 사회
아라비안나이트 9.21(금) 이진아
롱라이프 9.27(목) 장경욱
미친밤 9.28(금) 김재엽
웨이팅룸 9.29(토) 이선형
서울의 비 9.29(토) 송선호
백색의 방 9.30(일) 김승현
돈키호테 10.3(수) 유효숙
마파/자크의 방 10.4(목) 박재홍
타데우즈 칸토르작품상영회 10.7(일)~8(월) 이병훈
세일즈맨의 죽음 10.8(월) 김윤철
두 개의 시선 10.11(목) 이병옥
그 때 그 시간 10.11(목) 심정민
고도를 기다리며 10.13(토) 오세곤
지상의 모든 금을 위하여/멜트 10.14(일) 김남수
쉐이커 10.14(일) 허명진
비극의 여인들 - 메데아, 요카스타, 헬렌 10.14(일) 이혜정
제 4회
"젊은 비평가상"
  • 공모기간 : 2007년 10월 18일(목)~ 11월 9일(금), 11월 9일(금)
  • 응모작품 :
    - 2007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참가작(장르 제한 없음) 중 1편을 대상으로 한 비평
    - 한 가지 주제로 두 작품(타 장르간도 가능) 이상을 다룬 비평
  • 시상 : 해외페스티발 참관기회 제공 (항공료 및 숙박비 지원)
    당선작은 한국연극 12월호에 게재 예정.
  • 당선작 : 없음
타데우즈 칸토르(Tadeusz Kantor)
작품상영회 및 전시회
20세기 현대연극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타데우즈 칸토르의 작품을 영상으로 관람하며, 또한 그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엿볼 수 있는 전시 및 강연회가 열렸다.
  • 일시 : 2007년 10월 7일(일)~10월 8일(월) 오후 1시부터 연속상영
  • 장소 : 아르코 예술극장 대극장
  • 대상 : SPAF2007 공연티켓 소지자 (1일 선착순 600명)
  • 사회 : 이병훈 (연출가, 용인대학교 교수)
  • 참여 : 보그단 렌친스키(Bogdan Renczynski), 나탈리아 자르제카(Natalia Zarzecka)
  • 상영작품 : "죽음의 교실(The Dead Class)"
    "빌로폴, 빌로폴(Wielopole, Wielopole)"
    "예술가는 죽어야 한다(Let the Artists Die)"
    "나는 다시는 돌아오지 않으리(I Shall Never Return)"
배우워크샵
(사)한국연극배우협회와 공동 주최로 2007서울국제공연예술제의 초청 작품 1인극 <돈키호테(Don Quixotte)>의 연출자이자 배우인 자크 부르고(Jacques Bourgaux)를 강사로 초빙하여 연기 워크샵을 개최하였다. 예선
  • 강의주제 : 동작, 제스처, 소리를 이용한 연기와 스토리텔링
  • 초청강사 : 자크 부르고(jacques bourgaux)
  • 참가대상 : 한국연극협회 소속 배우 및 한국연극배우협회 소속 배우
  • 공동주최 : (사)서울국제공연예술제, (사)한국연극배우협회
2007년
「제 10회 신작희곡
페스티벌」
희곡 공모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한국연극연출가협회,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공동주최로 진행된 신작희곡페스티벌은 희곡공모를 통하여 선정된 작품으로 무대독회를 가졌다.
  • 응모기간 : 2007년 7월 9일(월) - 8월 10일(금)
  • 상금 : 편당 각 2백만원과 상패
  • 심사결과 : 총 58편중 3편 선정
  • 무대독회 : 이해성 <고래>, 유희경 <별을 가두다>, 천정완 <모두 안녕하십니까>
    2007년 10월 5일(금) - 6일(토), 쇼틱극장 1관
팜스부스운영
① 목적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기간에 개최된 2007서울아트마켓(PAMS)에 SPAF부스를 설치, 운영하였다. 해외디렉터 및 국내공연관계자와 접촉을 하며 명함을 교환하고 리플렛 및 프로그램을 비치, 자유롭게 가져갈 수 있도록 했다.
  • 운영시간 : 2007년 10월 12일(금) 9시 30분 ~ 16시 30분
  • 운영장소 : 국제교류재단 문화센터 갤러리 아름 (중앙일보 빌딩 내 호암아트홀 건너편)
축제센터
  • 운영일정 : 축제 전 기간 (2007.9.20~10.14)
  • 평일 : 저녁6시~8시. 주말 : 오후1시~5시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앞마당
  • 활용 : 엽서, 전단, 포스터, 배너 비치 & TV 10대 SPAF 2007 홍보동영상 상영
  • 조형물 : 디자이너 하지원
    - 중앙의 문과 여러 개의 조명탑, 투명한 천의 페인팅 그늘막으로 구성된 조형물
제3회 젊은 비평가상
황유정 '말해질수 없는 것들을 위하여'연극
합평회
  • 일시 : 2007년 10월 27일 토요일 14:00
  • 장소 : 국민대학교 제로원디자인센터 307호
  • 전체사회 : 김정남 (사)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사무국장
  • 사회 : 최영주(연극부문), 김승현(무용부문)
  • 발제 : 최영주, 이미원, 심재민, 이진아, 김태원, 문애령, 심정민
  • 토론 : 김명화, 김소연
2006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06.10.7 (토) ~ 10.29 (일)
  • 장소 아르코예술극장,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서강대학교 메리홀, 드라마센터, 동덕여대 공연예술센터, 마로니에공원 외
  • 주최/주관 (사)서울국제공연예술제
  • 이사장 김정옥
  • 예술감독 김철리
  • 작품 14개국 27개 단체 26개 작품
  • 관객집계 48,000명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정화된 자들 Cleansed
브로츠와프 현대극단(폴란드) Wroclawski Theatre Wspolczesny
2
연극 도화선
강소성곤극원(중국)
3
연극 오해 Le Malentendum
고치현립미술관 (재)시즈오카현 무대예술센터(일본)
4
연극 사중주 Quartet
E.P.I. Center, Zavod za Kulturno dejavnost(슬로베니아)
5
연극 세자매 Three Sisters
토마 카라쥐 씨어터 Toma Caragiu Theatre Ploiesti(루마니아)
6
연극 개와 늑대 사이 Between Dog and Wolf
포르말리니이 극단(러시아) Formanly Theatre
7
연극 풀리지 않는 매듭 Plonter
텔아비브 카메리 씨어터(이스라엘) Cameri Theatre of Tel Aviv
8
연극 갈매기 The Seagull
크레타코르 극단
9
연극 떠들썩한 잔치 De Farra
엔클레이브 댄스컴퍼니 Enclave Dance Company
10
무용 꼴렉시옹 빠티큘리에 Collection Particuliere
디조리엔따(프랑스) Disorienta
11
무용 Pushed
SPAF제작/빠드미니 체투(인도)
12
무용 Light!
모쑤-봉떼 컴퍼니(벨기에) Compagnie Mossoux-Bonte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
극단 청우
2
연극 막득이 실연 전말기
창작극회
3
연극 아름다운 남자
연희단거리패
4
연극 4.48 싸이코시스
극단 풍경
5
연극
완자무늬
6
무용 노래하듯이
김윤진 댄스컴퍼니
7
무용 닻을 내리다_피터를 위한
YJK 댄스프로젝트
8
무용 선택&볼레로 2006-귀신이야기
안성수 픽업그룹
9
무용 가을 그리고 또 봄
서울발레시어터
10
무용 안팎
손인영 NOW 무용단
11
음악극 쇼팽과 조르쥬 상드
한국페스티발앙상블
12
야외공연 요리의 출구 Sortie de Cuisine
일로또삐Ilotopie(프랑스)/호모루덴스 댄스컴퍼니(한국)
13
야외공연 토탈씨어터 앨리스
홍성민(한국)
14
무용 Heart'n Seoul Unplugged
하트 앤 소울(영국) Heart and Seoul

부대행사 탭 내용 시작

서울포럼
  • 주제 : 사례발표를 통한 네트워킹의 노하우How to Network
  • 일시 : 10월 16일(월) 오후 2시-6시
  • 장소 : 대학로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 공동주최 : (사)서울국제공연예술제, 한국공연예술축제협의회
  • 사회 : 박상순(수원화성연극제 예술감독)
  • 주요참석자 : 임수택(한국공연예술축제협의회 회장), 곽병창(전주세계소리축제 ·예술감독), 최석규(춘천마임축제 예술부감독), 조동희(과천한마당축제 기획실장), 김현주(전국문예회관 연합회 사업팀장), 김의숙(파임커뮤니케이션즈 대표), 크리스티나 메스너(Krystyna Meissner)(Dialog축제 예술감독) 등
2006한민족연극
100년 대토론회
  • 일시 : 2006년 10월 17일(화) 오전 10시-오후 5시30분
  • 장소 : 선재아트센터
  • 주최 : 서울연극협회, (사)서울국제공연예술제
  • 주관 : 서울평양연극제 추진위원회
  • 후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사)한국연극협회
예술가와의 대화
작품명 일정 사회
아라비안나이트 9.21(금) 이진아
롱라이프 9.27(목) 장경욱
미친밤 9.28(금) 김재엽
웨이팅룸 9.29(토) 이선형
서울의 비 9.29(토) 송선호
백색의 방 9.30(일) 김승현
돈키호테 10.3(수) 유효숙
마파/자크의 방 10.4(목) 박재홍
타데우즈 칸토르작품상영회 10.7(일)~8(월) 이병훈
세일즈맨의 죽음 10.8(월) 김윤철
두 개의 시선 10.11(목) 이병옥
그 때 그 시간 10.11(목) 심정민
고도를 기다리며 10.13(토) 오세곤
지상의 모든 금을 위하여/멜트 10.14(일) 김남수
쉐이커 10.14(일) 허명진
비극의 여인들 - 메데아, 요카스타, 헬렌 10.14(일) 이혜정
제 4회
"젊은 비평가상"
  • 공모기간 : 2007년 10월 18일(목)~ 11월 9일(금), 11월 9일(금)
  • 응모작품 :
    - 2007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참가작(장르 제한 없음) 중 1편을 대상으로 한 비평
    - 한 가지 주제로 두 작품(타 장르간도 가능) 이상을 다룬 비평
  • 시상 : 해외페스티발 참관기회 제공 (항공료 및 숙박비 지원)
    당선작은 한국연극 12월호에 게재 예정.
  • 당선작 : 없음
타데우즈 칸토르(Tadeusz Kantor)
작품상영회 및 전시회
20세기 현대연극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타데우즈 칸토르의 작품을 영상으로 관람하며, 또한 그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엿볼 수 있는 전시 및 강연회가 열렸다.
  • 일시 : 2007년 10월 7일(일)~10월 8일(월) 오후 1시부터 연속상영
  • 장소 : 아르코 예술극장 대극장
  • 대상 : SPAF2007 공연티켓 소지자 (1일 선착순 600명)
  • 사회 : 이병훈 (연출가, 용인대학교 교수)
  • 참여 : 보그단 렌친스키(Bogdan Renczynski), 나탈리아 자르제카(Natalia Zarzecka)
  • 상영작품 : "죽음의 교실(The Dead Class)"
    "빌로폴, 빌로폴(Wielopole, Wielopole)"
    "예술가는 죽어야 한다(Let the Artists Die)"
    "나는 다시는 돌아오지 않으리(I Shall Never Return)"
배우워크샵
(사)한국연극배우협회와 공동 주최로 2007서울국제공연예술제의 초청 작품 1인극 <돈키호테(Don Quixotte)>의 연출자이자 배우인 자크 부르고(Jacques Bourgaux)를 강사로 초빙하여 연기 워크샵을 개최하였다. 예선
  • 강의주제 : 동작, 제스처, 소리를 이용한 연기와 스토리텔링
  • 초청강사 : 자크 부르고(jacques bourgaux)
  • 참가대상 : 한국연극협회 소속 배우 및 한국연극배우협회 소속 배우
  • 공동주최 : (사)서울국제공연예술제, (사)한국연극배우협회
2007년
「제 10회 신작희곡
페스티벌」
희곡 공모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한국연극연출가협회,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공동주최로 진행된 신작희곡페스티벌은 희곡공모를 통하여 선정된 작품으로 무대독회를 가졌다.
  • 응모기간 : 2007년 7월 9일(월) - 8월 10일(금)
  • 상금 : 편당 각 2백만원과 상패
  • 심사결과 : 총 58편중 3편 선정
  • 무대독회 : 이해성 <고래>, 유희경 <별을 가두다>, 천정완 <모두 안녕하십니까>
    2007년 10월 5일(금) - 6일(토), 쇼틱극장 1관
팜스부스운영
① 목적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기간에 개최된 2007서울아트마켓(PAMS)에 SPAF부스를 설치, 운영하였다. 해외디렉터 및 국내공연관계자와 접촉을 하며 명함을 교환하고 리플렛 및 프로그램을 비치, 자유롭게 가져갈 수 있도록 했다.
  • 운영시간 : 2007년 10월 12일(금) 9시 30분 ~ 16시 30분
  • 운영장소 : 국제교류재단 문화센터 갤러리 아름 (중앙일보 빌딩 내 호암아트홀 건너편)
축제센터
북연극의 원활한 교류 및 북한연극 바로알기를 위해 동북아시아에 흩어진 한민족의 지난 100여년 연극예술활동을 돌아보고, 21세기 연극의 예술적 발전과 전망을 짚어본다.
  • 운영일정 : 축제 전 기간 (2007.9.20~10.14)
  • 평일 : 저녁6시~8시. 주말 : 오후1시~5시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앞마당
  • 활용 : 엽서, 전단, 포스터, 배너 비치 & TV 10대 SPAF 2007 홍보동영상 상영
  • 조형물 : 디자이너 하지원
    - 중앙의 문과 여러 개의 조명탑, 투명한 천의 페인팅 그늘막으로 구성된 조형물
젊은 연극평론가를
위한 비평워크샵
  • 주제 : 새로운 연극성과 비평
  • 디렉터 : 마르가레타 소렌슨(Margareta Sorenson)
  • 모니터 : 마르가레타 소렌슨(Margareta Sorenson), 칼리나 스테파노바(Kalina Stefanova)
  • 기간 : 2006년 10월 19일(목)-25일(수)
  • 장소 : 동국대학교
  • 주최 : 한국연극평론가협회
춤의 소리
  • 일시 : 10월 20일(금) 오후 3-6시
  • 장소 :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예술가와의 대화
꼴렉시옹 빠티큘리에(김승현) 정화된 자들(최영주) Pushed(김승현) Light!(김형연) 사중주(심재민) 개와 늑대사이(안지영) 풀리지 않는 매듭(박미섭) 갈매기(전정옥) 떠들썩한 잔치(손미나)
라디오 희곡 읽어주기
극단 완자무늬 “선” 일시 : 2006년 10월 7일 공동주최/기획 : EBS, (사)서울국제공연예술제 제작/방송: EBS FM 한영애의 문화 한 페이지(EBS FM 104.5Mhz)
예술제에서 만나는
연극인 전시회
1) 브레히트의 연극세계
  • 아르코예술극장 로비 2006년 10월 7일(토)-29일(일)
  • 서강대학교 메리홀 2006년 10월 17일(화)-19일(목)
  • 주최: (사)서울국제공연예술제, 한국브레히트협회
2) 김동원/차범석
  • 일시 : 2006년 10월 7일(토)-29일(일)
  • 장소 : SPAF축제센터 (Theater the Other)
상상력 프로젝트
요리의 출구(일로또삐Ilotopie/호모루덴스 댄스컴퍼니), 10월 7-8일 마로니에공원(공식초청작) 토탈씨어터 앨리스(홍성민) 10월 14-15일 마로니에공원(공식초청작) SPAF를 사랑한 비보이 10월 22일, 28일 TTL무대
마일연극의 날
  • 일시/장소 : 2006년 9월 24일(일) 마로니에공원
    2006년 10월 29일(일) 마로니에공원
  • 주관 : 전국소공연장연합회
제3회 젊은 비평가상
  • 황유정 '말해질수 없는 것들을 위하여'연극
팜스부스운영
2006서울아트마켓(PAMS)에 SPAF부스 설치운영
  • 일시 : 2006년 10월 11-14일, 10-18시
  • 장소 : 마로니에 미술관
축제센터
정보센터 기능(10-18시)과 연계 축제 전 기간 오전 10시-새벽 2시 운영 장소 : Theater the Other
합평회
  • 일시 : 2006년 11월 11일(토) 오후 2시
  • 장소 : 아르코미술관 세미나실
  • 사회 : 김정남( (사)서울국제공연예술제 사무국장), 김형기(연극부문), 김승현(무용부문)
  • 발제 : 김형기, 최영주, 김숙현, 김승현, 박민경
  • 토론 : 김미혜, 심재민, 이경미
전문무용수와
배우들을 위한
축제 즉흥 워크숍
  • 일시 : 2006년 10월 7일(화)-10월 25일(수)
  • 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연습실
  • 초청강사 : Katie Duck(네덜란드-Magpie Music Dance Company 예술감독)
  • 참가인원 : 회당 13 명 참여
2005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05.9.23 (금) ~ 10.16 (일)
  • 장소 아르코예술극장 대·소극장, 서강대학교 메리홀, 국립극장 하늘극장·달오름극장, 충무아트홀, 사다리아트센터, 동덕여대공연예술센터
  • 주최/주관 (사)서울국제공연예술제 이사회
  • 이사장 김정옥
  • 예술감독 김광림
  • 작품 12개국 25단체 22작품
  • 관객집계 48,000명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맥도널드의 로널드, 광대이야기
La carniceria (스페인)
2
연극 광대들의 학교 School for Fools
Formalny Theatre (러시아)
3
연극 주눈의 눈 Junun
Familia Productions (튀니지아)
4
연극 2191 Nuits
Les Deux Mondes (캐나다)
5
무용 Do We Ever Know?
Michele Noiret (벨기에)
6
무용 H2 - 2005 ; 철학하는 브레이크 댄서들
Groupo de Rua (브라질)
7
무용 Twin Houses
Company Mossoux-Bonte (벨기에)
8
무용 Letters from Tentland
Helena Waldmann (이란)
9
무용/연극 Back to the Present
Dorky Park Company (독일)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K
SPAF 제작 / NYID+극단돌곶이 (한국/호주)
2
연극 빨간 도깨비(赤鬼)
SPAF 제작 (한국/일본)
3
연극 서쪽부두
극단 골목길
4
연극 자객열전(Terrorists)
극단 파티
5
연극 로미오와 줄리엣
목화레파토리컴퍼니
6
연극 사다리움직임연구소의 '벚나무 동산'
사다리 움직임 연구소
7
무용 W ; 조우 그리고 반란
정신혜, 홍혜전, 김윤진
8
무용 김삼진의 창작 안무 현대무용 ‘터미널(Terminal)’
김삼진 무용단
9
무용 '푸른돌'
댄스씨어터 까두
10
무용 삼색 모던 발레
(사)서울발레시어터
11
무용 Let Me Change Your Name?
SPAF & 안 컴퍼니 공동제작
12
무용/음악 The Two
이경은 & 에비스 사무티즈 (한국/프랑스)
13
음악 톨스토이 in music
(사)한국페스티발앙상블

부대행사 탭 내용 시작

야외까페
KT&G 협찬진행으로 운영 필룩스 협찬으로 경관조명 상상마당 / 야외까페 운영 아르코예술극장 앞마당에 설치 운영 목화레파토리컴퍼니 <로미오와 줄리엣> 사다리 움직임 연구소 <사다리움직임연구소의 '벚나무 동산'>
상상마당
[샹송공연과 함께하는 와인파티] [스톤째즈] [프로젝트 엑스] [뭄바트랲] [샹투스] [예술광고 상영] 외
서울포럼
  • 일시 : 2005년 10월 8일(토), 오후 2:30-5:30
  • 주제 : 해외 공동 제작의 문제점과 그 극복 방안
  • 장소 : SPAF 페스티벌 센터 (모짜르트 커피숍 2층 세미화랑)
  • 주요참석자 : Serina Chan(Taipei Int. Arts Festival ) , Bernard d'Arcier(ex Avignon Festival), Bernard d'Arcier(ex Avignon Festival), Frie Leysen(Kunsten festival), Airan Berg((Austria Schauspielhaus ), 임수택(과천한마당축제 예술감독) 외
예술과의 대화
맥도날드의 광대, 로널드 이야기 (김동현) Do We Ever Know? (박성혜) 2191 Nights (오지혜) 광대들의 학교(이진아) 주눈의 눈 JUNUN (유효숙) Let me change your name? (이정우) Back to the Present 김성희 터미널 H²- 2005 ; 철학하는 브레이크 댄서들 (김승현) K (김동현) 빨간도깨비 (권해효)
프로페셔날
워크샵 (연극)
20세기 현대연극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타데우즈 칸토르의 작품을 영상으로 관람하며, 또한 그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엿볼 수 있는 전시 및 강연회가 열렸다.
  • 일시 : 9월 14일(수), 오후 2시-6시
    주제 : 'The Dramaturgy of Making Art'
    '새로운 아트 형식의 모색:혼합 장르로서의 연극 방법론'
  • 장소 : 한예종 돌곶이 연습실
  • 진행자 : 데이빗 플레저(NYID극단, K)
악인악담
대학로 스타벅스 외에서 진행 / 진행자 : 권영하, 권해효, 오지혜
라디오 희곡 읽어주기
극단 골목길 서쪽부두(베르나르-마리콜테스) 제작/ 방송 : EBS FM 한영애의 문화 한 페이지실 방송 : 2005. 9. 17, 오전 10시(2부- 책 읽어주는 여자)
젊은 비평가 상
이성곤 "감시와 상품화된 기억과 처벌에 관한 연극
합평회
  • 일시 : 10월 29일(토) 오후 1:00∼5시
  • 장소 : 함춘회관 세미나실(3층)
  • 주관 : 한국연극평론가협회, 무용평가위원회
  • 연극부문 사회자 : 김승현 / 발제자 : 박성혜, 김남수, 장광열
  • 무용부문 사회자 : 허순자 / 발제자 : 조만수, 장성희, 박상순
2004 서울국제공연예술제
  • 기간 2004.10.8 (금) ~ 10.23 (토)
  • 장소 서강대학교 메리홀, 국립극장, 리틀엔젤스 예술극장, 대학로 게릴라극장, 학전블루 소극장 외
  • 주최/주관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집행위원회
  • 이사장 김정옥
  • 예술감독 김광림
  • 작품 아래 표 참조
  • 관객집계 45,952명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엘렉트라 Electra
오라데아 주립극단(루마니아) The State Theatre of Oradea
2
연극 알 햄릿 서밋 Al-Hamlet Summit
슐라이만 알 바쌈 씨어터 컴퍼니 (쿠웨이트) Sulayman Al-Bassam Theatre Company
3
연극 슐라이만 실종사건 Looking for a Missing Employee
라비 무레이(레바논) Rabih Mroue
4
무용 Present Tense / Canto Pianto / Groove and Countermove
트리샤 브라운 댄스 컴퍼니(미국) Trisha Brown Dance Company
5
무용 Solos
빠드미니 추(인도) Padmini Chettur
6
무용 하녀들 The Maids
시어터하우스 슈튜트가르트(독일) Theaterhaus Stuttgart
7
인형극 스탈린그라드 전투
티빌리시 인형극장(그루지아) Tbilisi Marionette Theater
8
인형극 카르멘 Carmen! My Carmen!
국립모스크바 중앙인형극장(러시아) The State Academic Central Puppet Theatre
9
음악 Two Strings
Ting Ting & 김애라(한·중·일)

국내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연극 초혼
연희단거리패
2
연극 최승희
극단 미추
3
연극 차력사와 아코디언
극단 '이와삼'
4
연극 거기
극단 차이무
5
무용 원-After the Other, 열 한번째 그림자
안애순 무용단
6
무용 휴가지에서의 밤
안성수 픽업 그룹
7
무용 8 days
YJK Dance Company
8
무용 달보는 개 / 싸이프리카
댄스시어터 온
9
오페라 휘가로의 결혼
오페라무대 新
10
음악 Korean SuperCussion
(사)김덕수패 사물놀이
11
음악 파우스트 인 뮤직
(사)한국페스티발앙상블

부대행사 탭 내용 시작

공연예술 네트워킹을 위한 서울포럼
KT&G 상상력 홀
"한밤에 펼쳐지는 예술영화제" 외
예술가와의 대화
5회 미하이 마뉴티우(엘렉트라) / 슐라이만 알 바쌈(슐라이만 실종사건) / 이스마엘 이보(하녀들) / 히라타 오리자, 박광정(서울노트) /슐라이만 알 바쌈(알 햄릿 서밋)
제1회 KT&G
젊은 비평가상 공모
  • 최창근 "<서울노트>에 나타난 현대 동양연극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소고"
  • 이지선 "무중력에서 현실로, <트리샤 브라운 댄스컴퍼니> 내한 공연"
전시
<거기에서 하얀 김이 피어나고 있다.>
연극평론가협회 합평회
2003 서울공연예술제
"공연예술! 그 무한한 공간을 위하여!"
  • 기간 2003.10.4 ~ 11.2
  • 장소 문예진흥원 예술극장, 국립극장, 마로니에 공원, 광화문 외
  • 주최/주관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집행위원회
  • 집행위원장 장민호, 김혜식
  • 예술감독 이종훈
  • 작품 아래 표 참조
  • 관객집계 100,369명
  • 기타 한국연극협회와 한국무용협회로부터 분리하고 전문예술감독제 도입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공식초청참가작 PERFORMANCE 연극 에피주, 아파시아 EPIZOO, AFASIA
마르셀 리(스페인) Marcel Li
2
무용 오이디프스 렉스 Oedipus-Rex
리체이넘 극단(러시아) Liteynom Theater
3
연극 갈매기 The Seagull
유고자파드 극단(러시아) Ugo-Zapad Theater
4
무용 애프터 에로스 After eros
Maureen Fleming Performance(미국)
5
무용 우리가 있던 그곳은 There Where We Were
Deja donne Company (체코)
6
무용 Taboo or not, Chocolate
싸브루큰 주립 발레단 돈론 컴퍼니(독일) Saarbrucken Staatstheater Donlon Dance Company
7
자유참가작 아버지 The Father
도게자 극단(일본)
8
자유참가작 무멘산츠의 넥스트 Mummenschanz's Next
무멘산츠(스위스) Mummenschanz

국내작품-연극 탭 내용 시작

1
국내 공식초청 연극 오아시스세탁소 습격사건
극단 모시는 사람들
2
국내 공식초청 연극 구사일생
극단 가교
3
국내 공식초청 연극 늙은 부부 이야기
극단 오늘
4
국내 공식초청 연극 서안화차(西安火車)
극단 물리
5
국내 공식초청 연극 윤대성 페스티벌 이혼예찬
극단 신화
6
국내 공식초청 연극 졸업(卒業)
컬티즌
7
국내 공식초청 연극 상봉(相逢)
창작극회
8
새로운 공간을 찾는 젊은 연극초대전 상자 속 한여름밤의 꿈
공연 창작집단 뛰다
9
새로운 공간을 찾는 젊은 연극초대전 온 에어 햄릿
극단 가변
10
새로운 공간을 찾는 젊은 연극초대전 우동 한 그릇
김동수 컴퍼니
11
새로운 공간을 찾는 젊은 연극초대전 아가멤논가의 비극
그룹 動 - 시대
12
새로운 공간을 찾는 젊은 연극초대전 나의 교실
극단 동숭무대
13
새로운 공간을 찾는 젊은 연극초대전 휴먼 코메디
사다리 움직임 연구소
14
새로운 공간을 찾는 젊은 연극초대전 잠들 수 없다
연희단거리패
15
새로운 공간을 찾는 젊은 연극초대전 우리나라 우투리
연극원극단 돌곶이
16
국내자유참가작 프랑켄슈타인
호모루덴스 남긍호컴퍼니
17
국내자유참가작 햄릿
연희단거리패
18
국내자유참가작 서툰사람들
우리극연구소
19
국내자유참가작 배우우배
배우세상
20
국내자유참가작 벚나무동산
백수광부
21
국내자유참가작 찬란한 오후
극단 알과핵
22
국내자유참가작 무지개가 뜨면 자살을 꿈꾸는 여자들
극단 알과핵
23
국내자유참가작 용띠 위의 개띠
이랑씨어터
24
국내자유참가작 강택구
애플씨어터 & 축제를 만드는 사람들
25
국내자유참가작 산불
극단 두레
26
국내자유참가작 청혼 그리고 결혼 피로연
극단 파크
26
국내자유참가작 신 살아보고 결혼하자
극단 예우
27
국내자유참가작 발소리 / 독백한마디
피악
28
국내자유참가작 Jump
(주)예감
29
국내자유참가작 락 뮤지컬 "한"
극단 "무", "예성동인"
30
국내자유참가작 성인用 황금박쥐
악어컴퍼니
31
국내자유참가작 그럼 우린 뭐야
이랑씨어터
32
국내자유참가작 황금도자기
극단 예휘
33
국내자유참가작 돼지사냥
극단 차이무

국내작품-무용 탭 내용 시작

1
공식 초청 무용 물빛그늘
윤미라 무용단
2
공식 초청 무용 아이고
안애순 무용단
3
공식 초청 무용 Active Zone 2003
Yoo Moving Exchange
4
공식 초청 무용 제 3탐 "움직임과 인터액팅 -원더랜드"
최테레사 무용단
5
공식 초청 무용 코끼리를 어떻게 먹을 수 있을까?
크래용댄스프로젝트
6
공식 초청 무용 강철새잎
조훈일 무용단
7
공식 초청 무용 심청
이명진 무용단
8
공식 초청 무용 삼륜 자전거를 타고
박인자 발레단
9
공식 초청 무용 Color of Life
서울발레시어터
10
공식 초청 무용 GENⓔSYS
발레블랑
11
공식 초청 무용 얼음 江
창무회
12
공식 초청 무용 시간 속의 심판
가람다 현대 무용단
2002 서울공연예술제
"열정, 그리고 무한한 자유의 공간을 향해"
  • 기간 2002.5.4 ~ 6.9
  • 장소 세종문화회관, 예술의 전당, 국립극장, 호암아트홀, 마로니에공원 외
  • 주최/주관 한국무용협회 / 한국연극협회
  • 이사장 최종원(한국연극협회장)
  • 작품 아래 표 참조
  • 관객집계 199,168명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해외공식초청작 라이트 모티브 Leitmotiv
레두몽드(캐나다) Les Deux Mondes
2
해외공식초청작 불의 가면 Fire Face
오스카라스 코르슈노바스(리투아니아) Oskaras Korsunovas Theatre
3
해외공식초청작 어매이징 퍼펫쇼 <진기한 콘서트> Amazing Puppet Show <Unusal Concert>
세르게이 오브라쵸프의 국립모스크바 중앙 인형극장(러시아) The State academic central puppet Theatre
4
해외공식초청작 행복의 조건 The Conditions of Happiness
도케자(道化座)(일본)
5
해외공식초청작 진쯔 Jin Zi
중경시천극원(重慶市川劇院)(중국)

국내작품-연극 탭 내용 시작

1
개막공연 시골선비 조남영
연희단거리패
2
국내 연극 공식참가작 이발사 박봉구
극단 동숭아트센터
3
국내 연극 공식참가작 예비대왕
극단 인혁
4
국내 연극 공식참가작 행복한 집
극단 현빈
5
국내 연극 공식참가작 수릉
극단 맥토
6
국내 연극 공식참가작 장화홍련 실종사건
극단 민예
7
국내 연극 공식참가작 사물의 왕국
극단 창파
8
국내 연극 공식초청작 하녀들
극단 풍경
9
국내 연극 공식초청작 오페라 "아빠, 나 몰래 결혼했어요!"
(재)세종문화회관/서울시오페라단
10
국내 연극 공식초청작 그래도 세상은 살만하다
극단 신화
11
국내 연극 공식초청작 대머리 여가수
연극집단 자유
12
국내 연극 공식초청작 그것은 목탁 속의 작은 어둠이었습니다
극단 천지인
13
국내 연극 공식초청작 Farce Festival
극단 수레무대
14
국내 연극 공식초청작 고도를 기다리며
극단 산울림
15
국내 연극 공식초청작 생존도시
극단 유시어터
16
국내 연극 공식초청작 야외총체음악극 '고려의 아침'
극단 서울예술단
17
자유참가작품 염화미소
극단 창고극장
18
자유참가작품 아름다운 침묵Ⅱ
극단 제3무대
19
자유참가작품 어린이 뮤지컬 <토토>
극단 동숭아트센터
20
자유참가작품 내 아내의 남편은 누구인가?
극단 열린극장
21
자유참가작품 쉼, 표(부제: 우리에겐 축제가 필요하다)
극단 여행과 꿈
22
자유참가작품 OFF 대학로 연극페스티벌- 부조리극 시리즈
극단 다락기획
23
자유참가작품 정약용 PROJECT
극단 아리랑
24
자유참가작품 "13년 하구, 255일"
극단 꼭두
25
자유참가작품 White(순수)
극단 상상 동물농상
26
자유참가작품 "新 살아보고 결혼하자"
극단 예우
26
자유참가작품 지하철 1호선
극단 학전
27
자유참가작품 "용띠 위의 개띠"
극단 이랑씨어터
28
자유참가작품 "처녀비행"
극단 이랑씨어터
29
자유참가작품 튀어!
극단 파파
30
자유참가작품 이구아나
극단 배우세상
31
자유참가작품 콤플렉스 리어
극단 가변
32
자유참가작품 일곱광대와 오이디푸스
극단 동유엔터프라이즈
33
자유참가작품 장렬의 발견
극단 연극집단 반
34
자유참가작품 오! 마이 루브
극단 수레무대
35
자유참가작품 칼이수마
극단 파파프로덕션
36
자유참가작품 엿¡ 놈의 꿈
극단 까망
37
자유참가작품 "Korea Fantasy"
현대인형극회
38
자유참가작품 코메디 휴먼
사다리 움직임 연구소

국내작품-무용 탭 내용 시작

1
경연단 참가작 Jazz-산조(散調)
Medeindance.com
2
경연단 참가작 美人-자고 가는 저 구름아
이미영 무용단
3
경연단 참가작 新 광대곡
춤-타래 무용단
4
경연단 참가작 인텔리겐치아
(사)밀물현대무용단
5
경연단 참가작 붉은 영혼의 시
아지드 현대무용단
6
경연단 참가작 나무 물고기(木魚)
김혜림무용단
7
경연단 참가작 귀거래(歸去來)
백정희무용단
8
경연단 참가작 아수라(阿修羅)Ⅲ
김용철 섶무용단
9
경연단 참가작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장선희발레단
10
경연단 참가작 불꽃
튓마루무용단
11
문화재 및 명작무 보유자 공연 태평무(太平舞)
강선영
12
문화재 및 명작무 보유자 공연 산조(散調)-내 마음의 흐름-
김진걸
13
문화재 및 명작무 보유자 공연 살풀이 춤
이매방
14
문화재 및 명작무 보유자 공연 부채춤
김백봉
15
문화재 및 명작무 보유자 공연 가사호접(袈裟胡蝶)
김문숙
16
문화재 및 명작무 보유자 공연 비상(飛翔)
최 현
17
문화재 및 명작무 보유자 공연 승무(僧舞)
이애주
18
현대발레갈라 멀리 사라지는 물방울들…
발레사라방드
19
현대발레갈라 인연(因緣)의 주머니
백연옥
20
현대발레갈라 1*1=?
서울발레시어터
21
현대발레갈라 비상(飛翔)
문영철발레단
22
레파토리 공연 김근희 무용단
천상천하(天上天下)
23
레파토리 공연 아리랑의 혼(魂)
정영례목포무용단
24
재즈댄스 The Game - 희노애락(喜怒哀樂)
서울전미례재즈무용단, G.N.S Dance Company, D.I.F Dance Company, S.F.A Dance Company
25
페스티발 Free Style / Woman
Dance "Move" Company(일본)
26
페스티발 What The Future Can Bring? / Body Talk
L.A. Performing Arts Jazz Dance Company(미국
27
새로운 무용수를 찾아서… 조화로운 순간
성창용
28
새로운 무용수를 찾아서… 장타령
서상재
29
새로운 무용수를 찾아서… 레퍼토리
이승민
30
새로운 무용수를 찾아서… 에스메랄다
빅영진
31
새로운 무용수를 찾아서… 머물러 있는 자리
이현주
32
새로운 무용수를 찾아서… Pieces
박현석
33
새로운 무용수를 찾아서… 바람
유혜정
34
새로운 무용수를 찾아서… 우연
조지영
35
새로운 무용수를 찾아서… 해적中
조용신
36
새로운 무용수를 찾아서… The Play
박인주
37
새로운 무용수를 찾아서… The Play
박인주
38
새로운 무용수를 찾아서… Queen
김혜경
39
새로운 무용수를 찾아서… 파리의 불꽃中
서윤석
50
새로운 무용수를 찾아서… 백조의 호수中
김은미
51
새로운 무용수를 찾아서… 비상
전기환
52
새로운 무용수를 찾아서… Liquid
김민정
53
한일합작 무대작 제전의 날 (祭典の日)
안성수 & 이토김
54
한일합작 무대작 갑판 위의 새들
파파 타라흐마라(Pappa TARAHUMARA)
55
자유참가 정동(正東)
부산현대무용단
56
단체공연 움직임과 기호
최 테레사 무용단
57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청산향, 춤을 위한 나나니
춤다솜무용단
58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해설이 있는 조승미 명작 발레
(사)조승미 발레단
59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여인의 고정 外
서울기독대송정은무용단
60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FOREVER
남진희현대무용단
61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조윤라 발레공연
조윤라발레단
62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서울에서 꿈꾸다
서울시무용단
63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세레나데 外
황규자발레단
64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축원 2002
오혜순무용단
65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은빛 겨울 外
김민희 한양발레아카데미
66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한국 옛 춤의 향기
허성재무용단
67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갈라콘서트
국립발레단
68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더울어 삶
밀레현대무용단
69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휘(輝) 外
조남규무용단
70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홍경무 外
김명주Aura무용단
71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다이빙, 미련
안병순현대무용단
72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모란꽃 춤 外
인천시립무용단
73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오늘
이화석발레단
74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춤의 소리
광무
75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해적 外
서울기독대김인숙발레단
76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듣는 귀 外
단국대학교김혜정현대무용단
77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신명이 넘치는 춤판
김운미 Kum Dance Company
78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There is no one
경희발레
79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머리카락, 그 춤
남수정무용단
80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가을소묘
김현남현대무용단
81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고운빛 우리춤
한양대학교 오율자백남무용단
82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풍매화, 시골쥐 & 서울쥐
최성옥 Meta Dance Project
83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Ⅰ. 정오의 야외춤 한마당 뮤지컬 코메니 '대박'
서울예술단
84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Ⅱ. 테마가 있는 주말예술무대 젊은 무용스타와 함께하는 클래식으로의 여행
85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Ⅱ. 테마가 있는 주말예술무대 젊은 무용스타와 함께하는 팝뮤직의 밤
86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Ⅱ. 테마가 있는 주말예술무대 최승희 춤과 의상으로의 여행
87
광화문 댄스 페스티발 Ⅱ. 테마가 있는 주말예술무대 젊은 안무가와 대중음악의 만남
2001 서울공연예술제
  • 기간 2001.5.4 ~ 6.9
  • 장소 세종문화회관, 예술의 전당, 국립극장, 호암아트홀, 마로니에공원 외
  • 주최/주관 한국무용협회 / 한국연극협회
  • 이사장 조흥동(한국무용협회장)
  • 작품 아래 표 참조
  • 기타 세계적인 종합공연예술축제를 육성하기 위해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서울연극제(1977년 시작, 주최 한국연극협회)와 서울무용제(1978년 시작, 주최 한국무용협회)를 통합한 서울공연예술제 개최

해외초청작품 탭 내용 시작

1
초청작 바로크퍼레이드 La Parade Baroque
L'abre a Nomades (프랑스)
2
초청작 밥 정어 콘서트 Barb Jungr - Cabarat
Martin Sutherland Productions(영국)
3
초청작 외투 The Overcoat
Credo Theatre(불가리아)

국내작품-연극 탭 내용 시작

1
공식초청작
극단길라잡이 마당극
2
공식초청작
뮤지클 그룹
3
공식초청작 천국과 지옥
연희단 거리패
4
공식초청작 취선록
극단 진달래피네
5
공식초청작 동방에서 온 햄릿
극단 노뜰
6
공식초청작 돼지사냥
극단 연인무대
7
공식참가작 브레히트 죽이기
실험극장
8
공식참가작 젋은 베르테르의 슬픔
갖가지
9
공식참가작 히트 앤트 런
남긍호컴퍼니
10
공식참가작 시골선비 조남명
연희단 거리패
11
공식참가작 체어
표현과 상상
12
공식참가작 오! 해피데이
서울뮤지컬컴퍼니
13
공식참가작 바리공주
현빈
14
공식참가작
연우무대
15
공식참가작 달님은 이쁘기도 하셔라
미연
16
공식참가작 세상 어머니의 노래
뿌리
17
공식참가작 유리가면
애플
18
공식참가작 대지의 딸들
그룹 여행자
19
공식참가작 고추말리기(원제/미연이 출생비화)
민예
20
공식참가작 이중섭 이야기
사다리
21
공식참가작 쥐사냥
알과핵
22
자유참가작 원더풀초밥
그룹 동시대
23
자유참가작 우어파우스트
그림연극
24
자유참가작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까망
25
자유참가작 사자와 보석
대하
26
자유참가작 청춘예찬
동숭무대
27
자유참가작 락희맨쇼
동숭아트센터
28
자유참가작 불티나
백수광부
29
자유참가작 Farce Festival
수레무대
30
자유참가작 그래도 세상은 살만하다
신화
31
자유참가작 슈가
심철종퍼포먼스제작소
32
자유참가작 정약용 프로젝트
아리랑
33
자유참가작 서울하늘아래 문밖에서
연극집단 반
34
자유참가작 아누크에메의 기억
오늘
35
자유참가작 세빌리아의 이발사
오페라무대 신
36
자유참가작 임팔라의 발은 길다
완자무늬
37
자유참가작 용띠 위에 개띠
이랑씨어터
38
자유참가작 연애소설 읽는 노인
창작무대우림
39
자유참가작 조용석 줄인형 콘서트2
현대인형극회
40
자유참가작 튀어!
파파프로덕션

국내작품-무용 탭 내용 시작

1
역대수상작 공연 넋들임
창무회
2
역대수상작 공연
현대무용단-탐
3
역대수상작 공연
정재만·김현자 무용단
4
역대수상작 공연 ?네
애지회
5
역대수상작 공연 0의 세계
김근회 무용단
6
역대수상작 공연 불림소리
툇마루 무용단
7
역대수상작 공연 만남
한국컨템포러리 무용단
8
역대수상작 공연 회귀선
춤타래 무용단
9
역대수상작 공연 황조가
박명숙 서울현대무용단
10
역대수상작 공연 신용비어천가
이숙재밀물현대무용단
11
역대수상작 공연 토템
김화례발레단
12
역대수상작 공연 또 다른 고향
김민희&한양발레아카데미
13
역대수상작 공연 柳-生命의 나무
강미라 무용단
14
역대수상작 공연 인간나무
손관중
15
역대수상작 공연 거미줄에 걸린 꽃잎
서울현대무용단
16
역대수상작 공연 청령포기행
김정학 무용단
17
역대수상작 공연 무애(무애)
정혜진 무용단
18
뮤지컬속의 춤 렌트(Rent) / 키스미, 케이트
신시뮤지컬컴퍼니
19
뮤지컬속의 춤 둘리
에이콤
20
뮤지컬속의 춤 카르멘시타
서울시립뮤지컬단
21
뮤지컬속의 춤 록기호러쇼
진우기획
22
뮤지컬속의 춤 에밀레에밀레(EMILEEMILE)
동랑댄스&뮤지컬앙상블
23
갈라초청공연 20 gener@태풍전야.com
서울현대무용단
24
갈라초청공연 태(胎)
이미영 무용단
25
갈라초청공연 춤을추는 남자
푸름현대 무용단
26
갈라초청공연 소피의 세계
황규자 발레단
27
갈라초청공연 하늘빛 오렌지Ⅱ
아지드 현대무용단
28
갈라초청공연 리플레이
백정희 무용단
29
갈라초청공연 머리와 밧줄
장정윤 현대무용단
30
갈라초청공연 왔다갔다Ⅱ
황미숙 현대무용단
31
갈라초청공연 붉디, 붉은…
섶 무용단
32
갈라초청공연 Vibration
툇마루 무용단
33
갈라초청공연 불활하는 신시
장선희 발레단
34
2000 우수작품 초청공연 공룡시대
이영희 무용단
35
2000 우수작품 초청공연 Human Clilk
포즈댄스시어터
36
2000 우수작품 초청공연 결혼
김긍수 발레단
37
2000 우수작품 초청공연 에클립스
전순희 무용단
38
2000 우수작품 초청공연 더블웨이-하나
이윤경 무용단
39
2000 우수작품 초청공연 아리랑
김영희 무트댄스
40
우리옛춤 한마당 홍애수건춤
허순선
41
우리옛춤 한마당 설장구
김동언
42
우리옛춤 한마당 살풀이춤
권명화
43
우리옛춤 한마당 양산사찰학춤
김덕명
44
우리옛춤 한마당 진도북춤
양태옥
45
우리옛춤 한마당 도살풀이
강남기
46
젊은 안무가를 위한 열린 무대
김종덕
47
젊은 안무가를 위한 열린 무대 트리플 칼라
박은성
48
젊은 안무가를 위한 열린 무대 뼈와 가루전
서경선
49
젊은 안무가를 위한 열린 무대 딸의 결혼식Ⅱ
송성아
50
젊은 안무가를 위한 열린 무대 권태, 이중방정식
지제욱
51
젊은 안무가를 위한 열린 무대 눈, 눈물, 눈을 감추다
이경은
52
춤과 테크놀로지 (해외초청작) 올가 큐메거(Olga Kumeger)
53
춤과 테크놀로지 (해외초청작) 디에 오디오그룹(Die Audio Gruppe)
54
대중춤 페스티벌 The Party is on!
서울 댄스스포츠
54
대중춤 페스티벌 일본동경K-브로드웨이 댄스컴퍼니
째즈페스티발
54
대중춤 페스티벌 한국뭉치째즈회-서울전미례재즈단, S.F.A 댄스컴퍼니, G.N.S 댄스컴퍼니
54
대중춤 페스티벌 SMS 댄스컴퍼니 부산재즈댄스 아카데미, 부산 재즈댄스 코리아, 부산 '주디' 재즈댄스월드, 순천 재즈 댄스컴퍼니, 김영희 재즈 컴퍼니